莊子(雜篇) ; 第32篇 列禦寇 18


343` 사물에 무심히 감응할 줄 알아야 한다 (잡편:32.열어구,18) 

- 장자(잡편) ; 제32편 열어구[18]- 

공평치 못한 척도로써 공평하게 하려 한다면 공평한 것조차도 공평하지 못하게 된다. 올바로 감응되지 않은 사람의 마음을 가지고 사물에 감응하려 한다면, 올바로 감응 할 것조차도 제대로 감응하지 않게 된다. 

명철한 사람이란 오직 외물을 따라 부림을 당하는 것이며, 신령스러운 사람이란 외물을 따라 감응하여 나가는 것이다. 그러나 명철한 것이 신령스러운 것을 이겨내지 못하는 것은 오래된 사실이다. 그런데도 어리석은 자들은 그들이 본 것에 의지하고서 인위적인 일에 빠져들어 간다. 그들의 공로란 모두 외부적인 것들이니 또한 슬프지 않은가? 


- 莊子(雜篇) ; 第32篇 列禦寇[18]- 

以不平平, 其平也不平. 以不徵徵, 其徵也不徵. 明者唯爲之使, 神者徵之. 夫明之不勝神也久矣, 而愚者恃其所見入於人, 其功外也, 不亦悲乎! 


(이불평평, 기평야불평. 이부징징, 기징야부징. 명자유위지사, 신자징지. 부명지불승신야구의, 이우자시기소견입어인, 기공외야, 불역비호!)


徵 zhēng, zhǐ, chéng (zhēng) 부를 징,음률 이름 치  1. 부르다 2. 징집하다(徵集--) 3. 소집하다(召集--) 4. 구하다(求--), 모집하다(募集--) 5. 거두다, 징수하다(徵收--) 6. 징계하다(懲戒--) 7. 밝히다 8. 증명하다(證明--), 검증하다(檢證--) 9. 이루다... [부수]彳(두인변)

瀓 맑을 징 / 㠞 징 징 / 懲 징계할 징 / 藢 검붉은 토란 치 / 癥적취 징



(참조 : http://www.yetgle.com/2jangja.htm 옛글닷컴 )



莊子(雜篇) ; 第32篇 列禦寇 17


342` 하늘과 땅을 관으로 삼고 (잡편:32.열어구,17) 

- 장자(잡편) ; 제32편 열어구[17]- 

장자가 죽으려 할 때, 제자들이 그를 성대히 제사 지내려 했다. 그러자 장자가 말했다. 

“나는 하늘과 땅을 관과 관뚜껑으로 삼고, 해와 달을 한 쌍의 구슬 장식으로 삼고, 별자리들을 진주와 옥 장식으로 삼고, 만물을 부장품으로 삼으려 하니, 나의 장례 용품은 다 갖추어진 것이 아니냐? 여기에 더 무엇을 보태려 하느냐?” 

제자들이 말했다. 

“저희들은 까마귀나 솔개가 선생님을 뜯어먹을까 두렵습니다.” 

장자가 말했다. 

“위쪽에 놓아두면 까마귀와 솔개가 먹을 것이고, 아래쪽에 묻으면 개미들이 먹을 것이다. 어느 것들이 먹는다고 그것을 빼앗아 다른 것들에게 주는 것이다. 어찌하여 그리 편벽되게 생각을 하는 것이냐?” 


- 莊子(雜篇) ; 第32篇 列禦寇[17]- 

莊子將死, 弟子欲厚葬之. 莊子曰:「吾以天地爲棺槨, 以日月爲連璧, 星辰爲珠璣, 萬物爲齎送. 吾葬具豈不備邪? 何以加此!」 

弟子曰:「吾恐烏鳶之食夫子也.」 

莊子曰:「在上爲烏鳶食, 在下爲螻蟻食, 奪彼與此, 何其偏也!」 

(장자장사, 제자욕후장지. 장자왈:[오이천지위관곽, 이일월위련벽, 성신위주기, 만물위재송. 오장구기불비야? 하이가차!]

제자왈:[오공오연지식부자야.]

장자왈:[재상위오연식, 재하위루의식, 탈피여차, 하기편야!])


葬 장사지낼 장  1. 장사지내다(葬事---) 2. 매장하다(埋葬--) 3. 장사(葬事) [부수]艹(초두머리)

棺槨 관곽 (시체(屍體)를 넣는)관(속널)과 곽(겉널)

棺 널 관  1. 널(시체를 넣는 관이나 곽 따위를 통틀어 이르는 말) 2. 입관하다(入棺--: 시신을 관 속에 넣다) [부수]木(나무목)

槨 외관 곽  1. 외관(外棺) 2. 덧널(관을 담는 궤(櫃: 나무로 네모나게 만든 그릇)) [부수]木(나무목)

連 잇닿을 련,잇닿을 연,거만할 련,거만할 연,손숫물 련,손숫물 연,산 이름 란,산 이름 난  1. 잇닿다(서로 이어져 맞닿다) 3. 연속하다(連續--) a. 산(山)의 이름 (란) [부수]辶(책받침)

璧 구슬 벽  1. 구슬 2. 둥근 옥 3. 주름 4. 쌓다 5. 되돌려주다 [부수]玉(구슬옥)

珠 구슬 주  1. 구슬 2. 진주(眞珠ㆍ珍珠) 3. 방울 4. 붉은색(--色) 5. 붉다 [부수]王(구슬옥변)

璣 구슬 기,별 이름 기  1. 구슬, 모난 구슬 2. 별의 이름 3. 선기(천문 기계) [부수]王(구슬옥변)

齎 가져올 재,탄식할 자  1. 가져오다 2. 가져가다 3. 주다, 보내다, 증여하다(贈與--) 4. 가지다, 지니다 5. 갖추다, 대비하다(對備--) 6. 휴대(携帶)하는 물건(物件) 7. 소용돌이치며 흐르는 모양 a. 탄식하다(歎息ㆍ嘆息--)...[부수]齊(가지런할제)

恐 두려울 공  1. 두렵다, 두려워하다 2. 무서워하다 3. 공갈하다(恐喝--) 4. 위협하다(威脅--), 으르다(무서운 말이나 행동으로 위협하다) 5. 염려하다(念慮--), 조심하다 6. 두려움 7. 아마도 [부수]心(마음심)

鳶 솔개 연  1. 솔개(수릿과의 새) 2. 연(공중에 높이 날리는 장난감) 3. 나무 연 [부수]鳥(새조)

螻蟻 누의 땅강아지와 개미라는 뜻으로,  작은 힘의 비유(比喩ㆍ譬喩)

螻 땅강아지 루,땅강아지 누  1. 땅강아지(땅강아짓과의 곤충) 2. 청개구리 3. 악취(惡臭) 4. 악취(惡臭)를 풍기다 [부수]虫(벌레훼)

蟻 개미 의  1. 개미(개밋과의 곤충을 통틀어 이르는 말) 2. 검은 빛깔 3. 술구더기(걸러 놓은 술에 뜬 밥알) 4. 미천함의 비유(比喩ㆍ譬喩) 5. 검다 6. 보잘것없다 [부수]虫(벌레훼)

奪 빼앗을 탈,좁은 길 태  1. 빼앗다 2. 약탈하다(掠奪--) 3. 빼앗기다 4. 잃다 5. 없어지다 6. 관직(官職)을 삭탈하다 7. 징수하다(徵收--) a. 좁은 길 (태) [부수]大(큰대)

偏 치우칠 편  1. 치우치다, 쏠리다, 기울다 2. 편향되다(偏向--), 편중되다(偏重--) 3. 먼저 실례하다(失禮--) 4. 속이다 5. 나부끼다 6. 곁, 가 7. 반, 절반(折半) 8. 한쪽, 한편 9. 하나, 한 사람 10. 보좌(補佐ㆍ輔佐)... [부수]亻(사람인변)



(참조 : http://www.yetgle.com/2jangja.htm 옛글닷컴 )



莊子(雜篇) ; 第32篇 列禦寇 16


341` 높은 관직이란 재물로 쓰이는 소와 같다 (잡편:32.열어구,16)

- 장자(잡편) ; 제32편 열어구[16]- 

어떤 사람이 장자를 초빙하려 하자, 장자가 그의 사자에게 말했다. 

“당신은 제물로 쓰이는 소를 본 일이 있습니까? 무늬가 수놓인 옷을 입고, 좋은 풀과 콩을 먹으며 지내지만, 일단 그 소가 끌려서 태묘로 들어갈 때가 되면 비록 외로운 송아지가 되려 한다 해도 될 수가 있겠습니까?” 


- 莊子(雜篇) ; 第32篇 列禦寇[16]- 

或聘於莊子. 莊子應其使曰:「子見夫犧牛乎? 衣以文繡, 食以芻菽, 及其牽而入於大廟, 雖欲爲孤犢, 其可得乎!」

(혹빙어장자. 장자응기사왈:[자견부희우호? 의이문수, 식이추숙, 내기견이입어대조, 수욕위고독, 기가득호!])


或 혹 혹,나라 역  1. 혹(或), 혹은(或-: 그렇지 아니하면), 혹시(或是: 그러할 리는 없지만 만일에) 2. 또 3. 어떤 경우(境遇)에는 4. 어떤 이 5. 어떤 것 6. 있다, 존재하다(存在--) 7. 괴이쩍어하다(怪異----) 8. 의심... [부수]戈(창과)

聘 부를 빙  1. 부르다 2. 찾아가다, 안부를 묻다 3. 구하다(求--) 4. 장가들다 [부수]耳(귀이)

應 응할 응 1. 응하다(應--) 2. 대답하다(對答--) 3. 맞장구치다 4. 승낙하다(承諾--) 5. 화답하다(和答--) 6. 당하다(當--) 7. 응당 ~하여야 한다 8. 받다 9. 아마도 10. 조짐(兆朕)이나 대답(對答) 11. 성(姓)의... [부수]心(마음심)

犧 희생 희,술 그릇 사  1. 희생(犧牲) 2. 짐승 a. 술 그릇 (사) [부수]牛(소우)

犧牲 희생 천지종묘(天地宗廟) 제사(祭祀) 때 제물로 바치는 산 짐승을 일컫는 말로,  ①犧(희)는 색이 순수(純粹)한 것, 牲(생)은 길함을 얻지 못해 죽이는 것 ②어떤 사물(事物), 사람을 위(爲)해서 자기(自己) 몸을 돌보지 않고 자신의 목숨, 재산, 명예 따위를 바치거나 버림

繡 수놓을 수  1. 수놓다(繡--) 2. 오색을 갖추다 3. 수(繡: 헝겊에 색실로 그림이나 글자 따위를 바늘로 떠서 놓는 일) 4. 비단(緋緞) 5. 비단(緋緞) 조각 [부수]糹(실사변)

芻 꼴 추  1. 꼴(말이나 소에게 먹이는 풀) 2. 꼴꾼(말이나 소에게 먹일 꼴을 베는 사람) 3. 짚(이삭을 떨어낸 줄기와 잎) 4. 풀 먹는 짐승 5. 기르다 [부수]艹(초두머리)

菽 콩 숙  1. 콩(콩과의 한해살이풀) 2. 대두(大豆) 3. 콩잎 [부수]艹(초두머리)

牽 이끌 견,끌 견  1. 이끌다 2. 끌다 3. 강제하다(強制--) 4. 거리끼다, 구애되다(拘礙--) 5. 매이다 6. 관련되다(關聯ㆍ關連--), 연계되다(連繫ㆍ聯繫--) 7. 거느리다, 통솔하다(統率--) 8. 끌려가는 동물(動物), 희생(犧牲)... [부수]牛(소우)

牽强附會 견강부회 이치(理致)에 맞지 않는 말을 억지로 끌어 붙여 자기(自己) 주장(主張)의 조건(條件)에 맞도록 함

犢 송아지 독  1. 송아지 [부수]牛(소우)



(참조 : http://www.yetgle.com/2jangja.htm 옛글닷컴 )



莊子(雜篇) ; 第32篇 列禦寇 15


340` 아첨으로 이익을 얻는 것은 위험하다 (잡편:32.열어구,15) 

- 장자(잡편) ; 제32편 열어구[15]- 

어떤 사람이 송나라 임금을 만났는데 수레 열 채를 받았다. 그는 수레 열 채를 받았다고 장자에게 자랑을 했다. 

장자가 말했다. 

“황하가에 가난하게 사는 집이 있는데, 싸리로 삼태기를 짜서 생활을 꾸려나가고 있었습니다. 그 집 아들이 하루는 깊은 물에 잠수를 하여 천금의 진주를 얻었습니다. 그러자 그의 아버지가 말했습니다. 

「돌을 가져다 깨뜨려버려라. 천금의 진주란 반드시 깊은 물 속 검은 용의 턱 밑에 있는 것이다. 네가 그 진주를 주울 수 있었던 것은 마침 용이 잠을 자고 있었기 때문일 것이다. 만약 검은 용이 잠을 자고 있지 않았다면 네가 어찌 잡아먹히지 않고 살아 나올 수 있었겠느냐?」 

지금 송나라의 알 수 없기는 깊은 물에 그치는 정도가 아니고, 송나라 임금의 사나움은 검은 용에 비교할 바가 아닙니다. 당신이 수레를 얻을 수 있었던 것은 그가 잠을 자고 있었기 때문일 것입니다. 만일 송나라 임금이 깨어 있었다면 당신은 가루가 되었을 것입니다.” 


- 莊子(雜篇) ; 第32篇 列禦寇[15]- 

人有見宋王者, 錫車十乘, 以其十乘驕穉莊子. 

莊子曰:「河上有家貧恃緯蕭而食者, 其子沒於淵, 得千金之珠. 其父謂其子曰:‘取石來鍛之! 夫千金之珠, 必在九重之淵而驪龍頷下, 子能得珠者, 必遭其睡也. 使驪龍而寤, 子尙奚微之有哉!’ 今宋國之深, 非直九重之淵也. 宋王之猛, 非直驪龍也. 子能得車者, 必遭其睡也. 使宋王而寤, 子爲𩐈粉矣!」 

(인유견송왕자, 사차십승, 이기십승교치장자.

장자왈:[하상유가빈시위소이식자, 기자몰어연, 득천금지주, 기부위기자왈:’취석래단지! 부천금지주, 필재구중지연이려룡함하, 자능득주자, 필조기수야. 사려룡이오, 자상해미지유재!’ 금송국지심, 비직구중지연야. 송왕지맹, 비직려룡야. 자능득차자, 필조기수야. 사송왕이오, 자위(구)분의!])


錫 주석 석,줄 사,다리 체  1. 주석(朱錫) 2. 구리 3. 석장(錫杖: 승려가 짚고 다니는 지팡이) 4. 가는 베, 고운 삼베(삼실로 짠 천) 5. 성(姓)의 하나 6. 주다, 하사하다(下賜--) a. 주다, 하사하다(下賜--) (사) b. 다리(여자들의... [부수]金(쇠금)

驕 교만할 교  1. 교만하다(驕慢--) 2. 경시하다(輕視--) 3. 오만하다(傲慢--) 4. (말이)길들여지지 않다 5. (말이)굳세다 6. 씩씩하다 7. 속이다, 기만하다(欺瞞--) 8. 사랑하다, 총애하다(寵愛--) 9. 제멋대로 하다... [부수]馬(말마)

穉 어릴 치  1. 어리다 2. 유치하다(幼稚--) 3. 작다 4. 늦다 5. 더디다 6. 오만하다(傲慢--) 7. 어린 벼 8. 작은 벼 9. 만생종(晩生種) 10. 치자(稚子: 열 살 전후의 어린아이) [부수]禾(벼화)

恃 믿을 시,어머니 시  1. 믿다, 의지하다(依支--) 2. 의뢰하다(依賴--) 3. 자부하다(自負--) 4. 어머니(≠怙) [부수]忄(심방변)

緯 씨 위  1. 씨, 씨줄 2. 예언서 3. 현, 악기(樂器)의 줄 4. 가로 5. 짜다, 만들다 6. 묶다 7. 구상하다(構想--) 8. 다스리다, 주관하다(主管--) [부수]糸(실사)

蕭 쓸쓸할 소,맑은대쑥 소  1. 쓸쓸하다 2. 시끄럽다 3. 바쁘다 4. (바람이) 불다 5. 떨어지다 6. (말이) 울다 7. 맑은대쑥(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8. 물건(物件) 소리 [부수]艹(초두머리)

蕭牆之變 소장지변 「병풍(屛風) 사이의 변(變)이라는 뜻으로,  ①내부(內部)에서 일어난 변란(變亂)  ②「형제(兄弟) 간(間)의 싸움」을 이르는 말

鍛 불릴 단  1. (쇠를)불리다 2. 두드리다 3. 대장일(수공업적인 방법으로 쇠를 달구어 연장 따위를 만드는 일) 4. 익히다 5. 때리다 6. 숫돌(연장을 갈아 날을 세우는 데 쓰는 돌) 7. 약포(藥脯) [부수]金(쇠금)

鍛冶硏磨 단야연마 단련(鍛鍊)하고 또 단련(鍛鍊)하여 갈고 닦음

驪 검은 말 려,검은 말 여,검은 말 리,검은 말 이  1. 검은 말 2. 가라말(털빛이 온통 검은 말) 3. 검다 4. 나란히 하다 a. 검은 말 (리) b. 가라말(털빛이 온통 검은 말) (리) [부수]馬(말마)

探驪得珠 탐려득주 '흑룡(黑龍)을 찾아 진주를 얻는다'라는 뜻으로,  ①큰 위험(危險)을 무릅쓰고 큰 이익(利益)을 얻는 것을 의미  ②문장(文章)이나 용어(用語)가 주제(主題)나 핵심(核心)을 잘 드러내고 있음을 비유(比喩ㆍ譬喩)하는 말

頷 끄덕일 암,턱 함  1. 끄덕이다 a. 턱(발음하거나 씹는 일을 하는 기관), 아래턱 (함) b. 굶어 누렇게 뜬 모양 (함) c. 부황(浮黃)이 들다 (함) d. 얼굴빛이 누렇다 (함) [부수]頁(머리혈)

太守爲脫頷頤 태수위탈함이 태수 되자 턱 빠진다는 속담(俗談)의 한역으로,  오랜 노력(努力)이 모처럼 결실을 보자, 복이 없어 허사가 된다는 말 

睡 졸음 수  1. 졸음 2. 잠 3. 꽃이 오무려지는 모양 4. 자다 5. 졸다 [부수]目(눈목)

他人鼾睡 타인한수 「다른 사람의 코 고는 소리」라는 뜻으로,  자기(自己) 영토(領土) 안의 다른 세력(勢力)을 그냥 둘 수 없음을 비유(比喩ㆍ譬喩)하여 이르는 말 

寤 잠 깰 오  1. 잠을 깨다 2. 깨닫다, 각성하다(覺醒--) 3. 만나다 4. 꿈 5. 거꾸로 [부수]宀(갓머리)

寤寐 오매 깨어 있을 때나 자고 있을 때

尙 오히려 상  1. 오히려 2. 더욱이 3. 또한 4. 아직 5. 풍습(風習) 6. 풍조 7. 숭상하다(崇尙--) 8. 높다 9. 높이다 10. 자랑하다 11. 주관하다(主管--) 12. 장가들다 13. 꾸미다 14. 더하다 [부수]小(작을소)

奚 어찌 해  1. 어찌, 왜 2. 무슨, 어떤 3. 어디, 어디에서 4. 무엇 5. 어느 곳 6. 종, 하인(下人) 7. 종족(種族)의 이름 [부수]大(큰대)

微 작을 미  1. 작다, 자질구레하다 2. 정교하다(精巧--), 정묘하다(淨妙--), 자세하고 꼼꼼하다 3. 적다, 많지 않다 4. 없다 5. 어렴풋하다, 또렷하지 아니하다 6. 어둡다, 밝지 아니하다 7. 쇠하다(衰--), 쇠미하다(衰微--:... [부수]彳(두인변)

𩐈  

勅 칙서 칙,신칙할 칙  1. 칙서(勅書) 2. 조서(詔書) 3. 신칙하다(申飭--: 단단히 타일러서 경계하다) 4. 꾸짖다 5. 삼가다(몸가짐이나 언행을 조심하다) 6. 다스리다 7. 정돈하다(整頓--) 8. (신을)신다 [부수]力(힘력)

韭 부추 구  1. 부추(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 2. 산부추 [부수]韭(부추구)


(참조 : http://www.yetgle.com/2jangja.htm 옛글닷컴 )



莊子(雜篇) ; 第32篇 列禦寇 14


339` 사람이 궁해지는 여덟 가지 법칙 (잡편:32.열어구,14) 

- 장자(잡편) ; 제32편 열어구[14]- 

사람을 해치는 일 중에서 덕에 대하여 유위(有爲)한 마음을 갖는 것보다 더 큰 것이 없으니, 그 마음이 눈썹처럼 움직이기 때문이다. 그의 마음이 눈썹처럼 움직이게 되면 모든 일을 자기 마음대로 보고 판단한다. 자기 마음대로 보고 판단을 하면 실패를 하게 된다. 

흉한 덕에는 다섯 가지가 있는데, 중덕(中德)이 그 중에서도 첫째가는 것이다. 무엇을 중덕이라 하는가? 중덕이란 것은 자기 마음으로만 판단을 하여 무엇을 좋아하고 한편으로 자기가 좋아하지 않는 것은 욕하는 것이다. 

궁하여 지는 데는 여덟 가지 법칙이 있고, 뜻대로 통하게 되는 데에는 꼭 필요한 세 가지 조건이 있으며, 육체에 화를 부르는 데에는 여섯 가지 조건이 있다. 

아름답고, 멋진 수염이 났고, 키가 크고, 몸집이 크고, 힘이 세고, 멋이 있고, 용기가 있고, 과감한 이 여덟 가지가 모두 남보다 뛰어나면, 이것 때문에 궁해지는 것이다. 

밖의 물건에 순응하고, 남을 따라 행동하고, 곤경에 빠져 남만 못한 듯 두려워하는 것, 이 세 가지 것은 모두 사람을 통달하게 하는 것이다. 

지혜는 밖의 물건에만 통용되는 것이며, 용기 있게 행동하는 것은 많은 원망을 사게 되며, 어짊과 의로움을 내세우는 것은 많은 책망을 듣게 된다. 

삶의 실정에 통달해 있는 사람은 위대하다. 지식에 통달해 있는 사람은 작아 보인다. 위대한 천명에 통달해 있는 사람은 자연을 따라 자유롭다. 자기의 작은 운명에만 통달해 있는 사람은 운명에 기대를 건다. 


- 莊子(雜篇) ; 第32篇 列禦寇[14]- 

賊莫大乎德有心而心有睫, 及其有睫也而內視, 內視而敗矣, 凶德有五, 中德爲首. 何謂中德? 中德也者, 有以自好也而吡其所不爲者也. 

窮有八極, 達有三必, 形有六府. 美髥長大壯麗勇敢, 八者俱過人也, 因以是窮. 緣循偃佒, 困畏不若人, 三者俱通達. 智慧外通, 勇動多怨, 仁義多責. 達生之情者傀, 達於知者肖. 達大命者隨, 達小命者遭. 

(적막대호덕유심이심유첩, 급기유첩야이내시, 내시이패의, 흉덕유오, 중덕위수. 하위중덕? 중덕야자, 유이자호야이비기소불위자야.

궁유팔극, 달유삼필, 형유육부. 미염장대장려용감, 팔자구과인야, 인이시궁. 연순언앙, 곤외불약인, 삼자구통달. 지혜외통, 용동다원, 인의다책. 달생지정자괴, 달어지자초. 달대명자수, 달소명자조.)


賊 도둑 적  1. 도둑 2. 도둑질 3. 역적(逆賊) 4. 벌레의 이름(마디를 갉아먹는 해충) 5. 사악한(邪惡-) 6. 나쁜 7. 도둑질하다 8. 해치다(害--) 9. 학대하다(虐待--) 10. 그르치다 11. 죽이다 [부수]貝(조개패)

睫 속눈썹 첩,깜작일 섭  1. 속눈썹 2. 안목(眼目) a. (눈을)깜작이다 (섭) b. (눈을)감다 (섭) c. 눈 움직이는 모양 (섭) [부수]目(눈목)

吡 새소리 필,비난할 비  1. 새소리 a. 비난하다(非難--) (비) b. 헐뜯다 (비) c. 꾸짖다 (비) [부수]口(입구)

髥 구레나룻 염  1. 구레나룻(귀밑에서 턱까지 잇따라 난 수염) 2. 수염이 많은 사람 [부수]髟(터럭발)

鬚髥 10대 후반(後半)의 나이가 되면서부터 남자(男子)의 입 주위(周圍)나 턱 또는 뺨에 나는 털. 나룻  ②동물(動物)의 입 주위(周圍)에 다소(多小) 굵고 길게 나는 몇 가닥의 털. 또는, 염소와 같은 동물(動物)의 턱 밑에 길게 나는 털  ③메기ㆍ미꾸라지 따위의 물고기의 주둥이 옆에 길거나 짧게 뻗은 돌기(突起)  ④벼ㆍ보리ㆍ옥수수 따위의 낟알 끝이나 사이에 가늘게 난 가스랑이 또는 털 모양(模樣)의 것

緣 인연 연,부인 옷 이름 단  1. 인연(因緣), 연줄 2. 연분(緣分) 3. 가장자리, 가선(-縇: 의복의 가장자리를 딴 헝겊으로 가늘게 싸서 돌린 선) 4. 까닭, 이유(理由) 5. 가설(架設) 6. 장식(裝飾) 7. 겉(물체의 바깥 부분) 8. 연유...[부수]糸(실사)

循 돌 순  1. 돌다, 빙빙 돌다 2. 돌아다니다 3. 좇다 4. 미적미적하다, 주저하다(躊躇--), 머뭇거리다 5. 어루만지다, 위무하다(慰撫--: 위로하고 어루만져 달래다) 6. 질서(秩序) 정연하다(整然--: 가지런하고... [부수]彳(두인변)

偃 쓰러질 언,쓰러질 언   1. 나부끼다 2. 쓰러지다 3. 눕다 4. 눕히다 5. 쉬다, 휴식하다(休息--) 6. 편안하다(便安--) 7. 그치다 8. 교만하다(驕慢--) 9. 쏠리다 10. 깃발(旗-)이 나부끼는 모양 11. 방죽(물이 밀려들어 오는 것을... [부수]亻(사람인변)

佒 새가슴 앙  1. 새가슴 2. 곱사등이(등이 굽고 큰 혹 같은 것이 불쑥 나온 사람) 3. 몸이 펴지지 아니하는 모양 4. 몸이 거북하다 [부수]亻(사람인변)

傀 허수아비 괴,클 괴,클 회  1. 허수아비 2. 꼭두각시 3. 귀신(鬼神), 재앙(災殃) 4. 하늘 5. 위대(偉大)한 모양, 큰 모양 6. 하늘의 모양 7. 괴이하다(怪異--) 8. 크다 9. 성하다(盛--: 기운이나 세력이 한창 왕성하다) 10. 좋다,... [부수]亻(사람인변)

隨 따를 수,게으를 타  1. 따르다 2. 추종하다(追從--) 3. 부화하다(附和--: 주견이 없이 경솔하게 남의 의견에 따르다) 4. 좇다, 추구하다(追求--) 5. 발 6. 발꿈치 7. 괘(卦)의 이름 8. 따라서 9. 즉시, 곧바로 a. 게으르다... [부수]阝(좌부변)

遭 만날 조  1. (우연히)만나다 2. (나쁜 일을)당하다(當--) 3. 두르다 4. 둘레 5. 번(횟수를 세는 말) 6. 바퀴(둘레를 세는 말) [부수]辶(책받침)



(참조 : http://www.yetgle.com/2jangja.htm 옛글닷컴 )




2.2톤의 차체 무게에 이런 연비가 나오는게 신기하다


莊子(雜篇) ; 第32篇 列禦寇 13


338` 지위가 높아질수록 겸손해져야 한다 (잡편:32.열어구,13) 

- 장자(잡편) ; 제32편 열어구[13]- 

정고부는 사(士)에 임명되자 허리를 굽히고, 대부에 임명되자 온몸을 굽히고, 경으로 임명되자 몸을 굽히고 담장 아래로 붙어 걸어다녔다. 이런 태도는 누구나 모범으로 삼아야할 일이다. 보통 사람들을 보면 사에 임명되면 몸을 뻣뻣이 거만한 태도를 지니고, 대부에 임명되면 수레 위에서 춤이라도 출 듯 멋대로 행동하고, 경에 임명되기만 하면 자기 아저씨들까지 이름을 부를 정도가 된다. 이들은 요임금이나 허유의 겸손한 태도에 합치될 수가 없는 것이다. 


- 莊子(雜篇) ; 第32篇 列禦寇[13]- 

正考父, 一命而傴, 再命而僂, 三命而俯, 循牆而走, 孰敢不軌! 如而夫者, 一命而呂鉅, 再命而於車上儛, 三命而名諸父, 孰協唐許! 

(정고부, 일명이구, 재명이루, 삼명이부, 순장이주, 숙감불궤! 여이부자, 일명이려거, 재명이어차상무, 삼명이명제부, 숙협당허!)


傴 구부릴 구  1. 구부리다 2. 허리를 굽히다 3. 불쌍히 여기다 4. 공경(恭敬)하는 모양 5. 삼가는 모양 6. 곱사등이(등이 굽고 큰 혹 같은 것이 불쑥 나온 사람) [부수]亻(사람인변)

僂 구부릴 루,구부릴 누  1. 구부리다 2. 굽다 3. (손가락을)꼽다 4. 재빨리 움직이다 5. 영리하다(怜悧ㆍ伶俐--) 6. 공경(恭敬)하는 모양 7. 곱사등이(등이 굽고 큰 혹 같은 것이 불쑥 나온 사람) [부수]亻

俯 구부릴 부  1. 구부리다 2. (고개를)숙이다 3. 눕다, 드러눕다 4. 숨다, 잠복하다 5. 가지런하지 아니하다 [부수]亻(사람인변)

循 돌 순  1. 돌다, 빙빙 돌다 2. 돌아다니다 3. 좇다 4. 미적미적하다, 주저하다(躊躇--), 머뭇거리다 5. 어루만지다, 위무하다(慰撫--: 위로하고 어루만져 달래다) 6. 질서(秩序) 정연하다(整然--: 가지런하고... [부수]彳(두인변)

牆 담 장  1. 담, 담장(-牆) 2. 경계(境界) 3. 관을 덮는 옷 4. 관의 옆널 5. 궁녀(宮女) 6. (담을)치다, 쌓다 [부수]爿(장수장변)

軌 바퀴 자국 궤  1. 바퀴의 자국 2. 수레바퀴 3. 좌우 바퀴 간의 거리(距離) 4. 바퀴 굴대(한가운데에 뚫린 구멍에 끼우는 긴 나무 막대나 쇠 막대) 5. 수레 6. 궤도(軌道) 7. 길, 도로(道路) 8. 법도(法道), 규범(規範),... [부수]車(수레거)

呂 성씨 려,성씨 여,법칙 려,법칙 여  1. 성(姓)의 하나 2. 법칙(法則) 3. 음률(音律) 4. 등뼈 5. 풍류(風流) 6. 나라의 이름 7. 땅의 이름 [부수]口(입구)

鉅 클 거,강할 거,어찌 거  1. 크다 2. 강하다(強--), 단단하다 3. 높다 4. 희다 5. 강철(鋼鐵) 6. 강(強)한 쇠 7. 갈고리, 낚싯바늘 8. 존귀(尊貴)한 사람 9. 활의 이름 10. 어찌, 어찌하여 [부수]金(쇠금)

儛 춤 출 무  1. 춤추다 2. 뛰어다니다, 날아다니다 3. 희롱하다(戱弄--) 4. 북돋다 5. 고무하다(鼓舞--), 부추기다 6. 조롱하다(操弄--) 7. 춤, 무용(舞踊) [부수]亻(사람인변)

孰 누구 숙,익을 숙  1. 누구 2. 무엇 3. 어느 4. 익다 5. 여물다 6. 무르익다 7. 익히다 8. 정통하다 9. 무르게 되다 10. 숙련하다(熟鍊ㆍ熟練--) 11. 익숙하다 [부수]子(아들자)

協 화합할 협  1. 화합하다(和合--) 2. 돕다 3. 복종하다(服從--) 4. 적합하다(適合--) 5. 좇다 6. 맞다 7. 합하다 (合--) 8. 협력하다 [부수]十(열십)

唐 당나라 당,당황할 당  1. 당나라(唐--), 나라의 이름 2. 길, 도로(道路), 통로(通路) 3. 둑, 제방(堤防) 4. 새삼(메꽃과의 한해살이 기생 식물) 6. 뜰 안의 길 7. 허풍(虛風), 큰소리 8. 정자 9. 갑자기, 느닷없이 10. 당황하다(唐慌ㆍ唐惶ㆍ惝怳--), 황당하다 11. 공허하다(空虛--), 텅 비다 12. 저촉되다(抵觸--), 위반되다(違反--) 13. 허풍(虛風)을 떨다 14. 크다, 넓다 [부수]口(입구)

許 허락할 허,이영차 호  1. 허락하다(許諾--) 2. 승낙하다(承諾--) 3. 들어주다, 바치다 4. 약속하다(約束--) 5. 약혼하다 6. 편들다 7. 나아가다 8. 바라다, 기대하다(期待ㆍ企待--) 9. 곳, 장소(場所) 10. 나라의 이름 11. 매우 12. 가량, 정도, 쯤 13. 어조사(語助辭) 14. 아마도, 혹시(或是: 그러할 리는 없지만 만일에) a. 이영차(힘을 모을 때) (호) 부수言 (말씀언, 7획)획수총11획[사성음] xǔ, hǔ (xǔ)



(참조 : http://www.yetgle.com/2jangja.htm 옛글닷컴 )


莊子(雜篇) ; 第32篇 列禦寇 12


337` 공자의 사람 보는 법 아홉 가지 (잡편:32.열어구,12) 

- 장자(잡편) ; 제32편 열어구[12]- 

공자가 말했다. 

“사람들의 마음이란 산천보다도 험난한 것이어서 자연에 대하여 알기보다 어려운 일이다. 자연에는 봄, 가을과 겨울, 여름 및 아침, 저녁의 일정한 시간의 변화가 있다. 사람이란 두툼한 외모 속에 감정을 깊이 간직하고 있다. 그러므로 외모는 성실한 듯 하면서도 마음은 교만한 자가 있고, 외모는 잘난 듯 하면서도 사실은 못난 자가 있고, 외모는 신중한 듯 하면서도 마음은 경박한 자가 있고, 외모는 견실한 듯 하면서도 속은 유약한 자가 있고, 외모는 느린 듯 하면서도 마음은 성급한 자가 있다. 그러므로 목마른 듯이 의로움으로 나아가는 사람은 뜨거운 것을 피하듯 의로움을 떠나기도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군자는 멀리 놓고 부리면서 그의 충성됨을 살피고, 가까이 놓고 부리면서 그의 공경함을 살피는 것이다. 그에게 번거로운 일을 시키고서 그의 능력을 살피고, 갑자기 질문함으로써 그의 지혜를 살피는 것이다. 급작스럽게 그와 약속을 함으로써 그의 신용을 살피고, 재물을 그에게 맡겨봄으로써 그의 어짊을 살피는 것이다. 그에게 위태로움을 얘기해줌으로써 그의 절의를 살피고, 그를 술로 취하게 함으로써 그의 법도를 살피는 것이다. 남녀가 섞여 지내게 함으로써 그의 호색함의 정도를 살피는 것이다. 이 아홉 가지 시험을 다 마치면 못난 자를 가려낼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 莊子(雜篇) ; 第32篇 列禦寇[12]- 

孔子曰:「凡人心險於山川, 難於知天. 川猶有春秋冬夏旦暮之期, 人者厚貌深情. 故有貌愿而益, 有長若不肖, 有順懁而達, 有堅而縵, 有緩而釬. 故其就義若渴者, 其去義若熱. 故君子遠使之而觀其忠, 近使之而觀其敬, 煩使之而觀其能, 卒然問焉而觀其知, 急與之期而觀其信, 委之以財而觀其仁, 告之以危而觀其節, 醉之以酒而觀其則, 雜之以處而觀其色. 九徵至, 不肖人得矣.」 

(공자왈:[범인심험어산천, 난어지천. 천유유춘추동하단모지기, 인자후모심정. 고유모원이익, 유장약불초, 유순환이달, 유견이만, 유완이간. 고기취의약갈자, 기거의약열. 고군자원사지이관기충, 근사지이관기경, 번사지이관기능, 졸연문언이관기지, 급여지기이관기신, 위지이재이관기인, 고지이위이관기절, 취지이주이관기칙, 잡지이처이관기색, 구징지, 불초인득의.])


險 험할 험,괴로워할 삼,낭떠러지 암  1. 험하다(險--) 2. 높다, 험준하다(險峻--) 3. 음흉하다(陰凶--), 음험하다 4. 간악하다(奸惡--) 5. 멀다 6. 위태롭다(危殆--) 7. 간난하다(艱難--: 몹시 힘들고 고생스럽다) 8. 넓다, 평평하다 9. 고민(苦悶),... [부수]阝(좌부변)

旦 아침 단  1. 아침, 해 돋을 무렵 2. 환한 모양, 누그러지는 모양, 정성(精誠)스러운 모양 3. 연극에서 여자(女子)로 분장(扮裝)하는 배우(俳優) 4. 형벌(刑罰)의 이름 5. (밤을)새우다 6. (밤이)새다 [부수]日(날일)

暮 저물 모  1. (날이)저물다 2. (시간에)늦다 3. 늙다, 노쇠하다(老衰--) 4. 밤 5. 저물녘, 해질 무렵 6. 끝, 마지막 [부수]日(날일)

愿 원할 원  1. 원하다(願--) 2. 바라다 3. 빌다, 기원하다(祈願--) 4. 성실하다(誠實--) 5. 공손하다(恭遜--) 6. 정중하다(鄭重--) 7. 사모하다(思慕--) 8. 부러워하다 9. 삼가다(몸가짐이나 언행을 조심하다) 10.... [부수]心(마음심)

肖 닮을 초,같을 초,꺼질 소  1. 닮다 2. 모양이 같다 3. 본받다 a. 꺼지다 (소) b. 쇠약하다(衰弱--) (소) c. 쇠하다(衰--) (소) d. 흩어지다 (소) e. 작다 (소) [부수]月(육달월)

不肖불초 ①못나고 어리석음, 또는 그런 사람. 어버이의 덕행(德行)이나 사업(事業)을 이을 만한 능력(能力)이 없음, 또는 그런 사람  ②자기(自己)를 겸손(謙遜)하여 이르는 말

懁 성급할 환,성급할 현  1. 성급하다(性急--) 2. 조급하다(躁急--) 3. 격렬하다(激烈--) 4. 세차다 a. 성급하다(性急--) (현) b. 조급하다(躁急--) (현) c. 격렬하다(激烈--) (현) d. 세차다 (현) [부수]忄(심방변)

達 통달할 달  1. 통달하다(通達--: 사물의 이치나 지식, 기술 따위를 훤히 알거나 아주 능란하게 하다) 2. 통하다(通--), 막힘이 없이 트이다 3. 이르다(어떤 장소나 시간에 닿다), 도달하다(到達--) 4. 달하다(達--),... [부수]辶(책받침)

縵 무늬 없는 비단 만  1. 무늬 없는 비단(緋緞) 2. 명주(明紬: 명주실로 무늬 없이 짠 피륙) 3. 잡악(雜樂: 아악 이외의 여러 가지 속악) 4. 악기 줄 5. 휘장(揮帳: 피륙을 여러 폭으로 이어서 빙 둘러치는 장막) 6. 무늬가... [부수]糹(실사변)

緩 느릴 완  1. 느리다 2. 느슨하다 3. 늦추다 4. 부드럽다 5. 너그럽다 [부수]糸(실사)

釬 활팔찌 한,급할 간  1. 활팔찌(활을 쏠 때에 활 쥔 팔의 소매를 걷어 매어 두는 띠) 2. 물미(창의 자루 끝을 싼 쇠붙이로 만든 원추형의 물건) 3. 갑옷의 토시(추위나 더러워지는 것을 막기 위하여 팔뚝에 끼는 것) 4. 땜납... [부수]金(쇠금)

熱 더울 열  1. 덥다, 따뜻하다 2. 더워지다, 타다 3. 태우다 4. 바쁘다, 성하다(盛--: 기운이나 세력이 한창 왕성하다) 5. 몸이 달다, 흥분하다(興奮--) 6. 친밀해지다(親密---) 7. 열(熱) 8. 더위, 더운 기운 9.... [부수]灬(연화발)

煩 번거로울 번  1. 번거롭다 2. 번잡하다(煩雜--) 3. 성가시다 4. 귀찮다 5. 장황하다(張皇--) 6. 괴로워하다 7. 바쁘다 8. 어지럽다 9. 시끄럽다 10. 번민(煩悶) 11. 걱정 [부수]火(불화)

節 마디 절  1. (식물의)마디 2. (동물의)관절(關節) 3. 예절(禮節) 4. 절개(節槪ㆍ節介), 절조(節操: 절개와 지조를 아울러 이르는 말) 5. 철, 절기(節氣) 6. 기념일(記念日), 축제일(祝祭日), 명절(名節) 7. 항목(項目),...[부수]竹(대죽)

醉 취할 취  1. 취하다(醉--) 2. 취(醉)하게 하다 3. 술에 담그다 4. 빠지다 5. 지나치게 좋아하다 6. 탐닉하다(耽溺--) [부수]酉(닭유)

則 법칙 칙,곧 즉  1. 법칙(法則) 2. 준칙(準則) 3. 이치(理致) 4. 대부(大夫)의 봉지(封地) 5. 본보기로 삼다 6. 본받다, 모범으로 삼다 a. 곧 (즉) b. 만일(萬一) ~이라면 (즉) c. ~하면, ~할 때에는 (즉) [부수]刂(선칼도방)

雜 섞일 잡  1. 섞이다, 뒤섞이다 2. 섞다 3. 어수선하다, 번다하다(煩多ㆍ繁多--) 4. 남다 5. 꾸미다 6. 같다 7. 만나다, 만나게 하다 8. 모이다, 모으다 9. 돌다 10. 뚫다 11. 거칠다 12. 천하다(賤--), 낮다 13.... [부수]隹(새추)

徵 부를 징,음률 이름 치  1. 부르다 2. 징집하다(徵集--) 3. 소집하다(召集--) 4. 구하다(求--), 모집하다(募集--) 5. 거두다, 징수하다(徵收--) 6. 징계하다(懲戒--) 7. 밝히다 8. 증명하다(證明--), 검증하다(檢證--) 9. 이루다... [부수]彳(두인변)



(참조 : http://www.yetgle.com/2jangja.htm 옛글닷컴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