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歸去來辭 ]
작가
도연명(陶淵明)
출생 - 사망
365년 ~ 427년
목차
작가 소개작품 설명작품 내용
작가 소개
동진(東晉) 시대 심양(潯陽) 채상(柴桑) 출신으로 자는 원량(元亮)이다. 유송(劉宋)으로 왕조가 바뀐 뒤에 이름을 잠(潛)으로 고쳤고 스스로 호를 지어 오류선생(五柳先生)이라고 하였다. 젊은 시절에 몇 차례 군부의 말직을 역임하다가 41세에 팽택(彭澤)의 현령(縣令)을 마지막으로 관직을 떠나 고향의 전원으로 돌아왔다. 그는 전원생활을 바탕으로 평담하면서도 뜻이 깊은 시를 지어 전원시(田園詩)의 창시자가 되었다.
작품 설명
도연명(陶淵明)이 관직을 떠나 전원으로 돌아온 뒤에, 돌아오게 된 배경과 당시의 심경, 깨달음과 앞으로의 각오 등을 서술한 글로, 혼란한 시대에 자신의 인격을 고상하게 했던 도연명의 의지가 잘 드러나 있다. 송대(宋代) 구양수(歐陽修)는 이 글에 대하여, “서진(西晉)과 동진(東晉)에는 문장이 없는데, 다행히 이 한 편이 있을 뿐이다.(兩晉無文章, 幸獨有此篇耳.)”라고 극찬하였다.
작품 내용
A.
歸去來兮여. 田園將蕪하니 胡不歸리오. 旣自以心爲形役이나 奚惆悵而獨悲리오. 悟已往之不諫하고 知來者之可追로다. 實迷途其未遠하니 覺今是而昨非로다. 舟搖搖以輕颺하고 風飄飄而吹衣로다. 問征夫以前路하고 恨晨光之熹微로다.
(귀거래혜 전원장무 호불귀 기자이심위형역 해추창이독비 오이왕지불간 지래자지가추 실미도기미원 각금시이작비 주요요이경양 풍표표이취의 문정부이전로 한신광지희미)
돌아가리라. 전원(田園)이 장차 거칠어져 가는데 어찌 돌아가지 않겠는가. 이미 스스로 마음을 육체에 부림 받게 하였으나, 어찌 근심하며 홀로 슬퍼만 하겠는가. 이미 지나간 것은 따질 것 없음을 깨달았고 앞으로 올 일은 제대로 따를 만함을 알겠다. 진실로 길을 잃은 것이 그렇게 멀리 가지는 않았으니, 지금이 옳고 지난날이 잘못되었음을 깨달았다. 배는 흔들흔들 가벼이 떠가고 바람은 살랑살랑 옷자락에 분다. 길가는 나그네에게 앞길을 물으면서 새벽빛이 희미한 것을 한스러워한다.
兮 어조사 혜 1. 어조사(語助辭) 2. 감탄사(感歎詞) [부수]八(여덟팔)
蕪 거칠 무 1. 거칠다 2. 어지럽다 3. 달아나다 4. 순무(십자화과의 한해살이풀 또는 두해살이풀) 5. 황무지(荒蕪地) [부수]艹(초두머리)
胡 되 호,오랑캐 이름 호,수염 호 1. 되(분량을 헤아리는 데 쓰는 그릇 또는 부피의 단위) 2. 오랑캐의 이름 3. 수염, 구레나룻(귀밑에서 턱까지 잇따라 난 수염) 4. 턱밑살 5. 풀 6. 성(姓)의 하나 7. 어찌 8. 오래 살다 9. 장수하다(長壽--)... [부수]月(육달월)
奚 어찌 해 1. 어찌, 왜 2. 무슨, 어떤 3. 어디, 어디에서 4. 무엇 5. 어느 곳 6. 종, 하인(下人) 7. 종족(種族)의 이름 [부수]大(큰대)
惆 실심할 추 1. 실심하다(失心--: 근심 걱정으로 맥이 빠지고 마음이 산란해지다) 2. 섭섭하다 3. 한탄하다(恨歎ㆍ恨嘆--), 개탄하다(慨歎ㆍ慨嘆--) 4. 실망하다 5. 슬퍼하다 6. 실망하는 모양 [부수]忄(심방변)
悵 원망할 창 1. 원망하다(怨望--) 2. 한탄하다(恨歎ㆍ恨嘆--) 3. 희망(希望)을 잃다 4. 슬퍼하다, 마음을 아파하다 [부수]忄(심방변)
諫 간할 간 1. 간하다(諫--: 웃어른이나 임금에게 옳지 못하거나 잘못된 일을 고치도록 말하다) 2. 헐뜯다 3. 간하는 말 [부수]言(말씀언)
途 길 도 1. 길 2. 도로(道路) [부수]辶(책받침)
舟 배 주 1. 배, 선박(船舶) 2. 반(제기(祭器)인 준을 받쳐놓는 그릇) 3. 성(姓)의 하나 4. (몸에)띠다 5. 배 타고 건너다 6. 싣다 [부수]舟(배주)
搖 흔들 요 1. 흔들다 2. 흔들리다 3. 움직이다 4. 오르다, 올라가다 5. 멀다, 요원하다(遙遠ㆍ遼遠--) 6. 어지럽히다 7. 빠르다 8. 새매(수릿과의 새) 9. (머리나 상투에 꽂는)장식품(裝飾品) [부수]扌(재방변)
輕 가벼울 경 1. 가볍다 2. 가벼이 여기다 3. 가벼이 하다 4. 업신여기다 5. 천하다(賤--) 6. 빠르다 7. 성(姓)의 하나 8. 가벼이 [부수]車(수레거)
颺 날릴 양 1. (바람에)날리다, 날다 2. 일다 3. 버리다 4. 풍채(風采)가 빼어나다 5. 높이다 6. 나타나다 7. 큰소리로 말하다 8. 배가 천천히 가는 모양 [부수]風(바람풍)
飄 나부낄 표 1. 나부끼다 2. 빠르다 3. 방랑하다(放浪--) 4. 떨어지다 5. 회오리바람 6. 질풍(疾風) 7. 바람 부는 모양 [부수]風(바람풍)
晨 새벽 신 1. 새벽 2. 때, 시일(時日) 3. 진시(辰時) 4. 별의 이름 5. 새벽을 알리다 [부수]日(날일)
熹 빛날 희 1. 빛나다 2. (날이)밝다, 환하다 3. 성하다(盛--: 기운이나 세력이 한창 왕성하다) 4. 동이 트다 5. 밝게 비추다 6. (빛이)희미하다(稀微--) 7. (불이)세차게 타다 8. 굽다, 불에 쬐다 [부수]灬(연화발)
微 작을 미 1. 작다, 자질구레하다 2. 정교하다(精巧--), 정묘하다(淨妙--), 자세하고 꼼꼼하다 3. 적다, 많지 않다 4. 없다 5. 어렴풋하다, 또렷하지 아니하다 6. 어둡다, 밝지 아니하다 7. 쇠하다(衰--), 쇠미하다(衰微--:... [부수]彳(두인변)
B.
乃瞻衡宇하고 載欣載奔하니 僮僕歡迎하고 稚子候門이라. 三徑1)就荒이나 松菊有存이라. 携幼入室하니 有酒盈罇이로다. 引壺觴以自酌하고 眄庭柯以怡顔이라. 倚南窓以寄傲하니 審容膝之易安이라. 園日涉以成趣하니 門雖設而常關이라. 策扶老2)以流憩라가 時矯首而遐觀이라. 雲無心以出岫하고 鳥倦飛而知還이라. 景翳翳以將入하니 撫孤松而盤桓이라.
(내첨형우 재흔재분 동복환영 치자후문 삼경취황 송국유존 휴유입실 유주영준 인호상이자작 면정가이이안 의남창이기오 심용슬지이안 원일섭이성취 문수설이상관 책부로이류게 시교수이하관 운무심이출수 조권비이지환 경예예이장입 무고송이반환)
마침내 일자대문 집을 바라보고 기뻐하며 달려가니, 종 아이는 반갑게 맞이하고 어린 자식들은 문에서 기다린다. 세 갈래 길은 거칠어져 갔지만 소나무와 국화는 남아있다. 어린것들 손을 잡고 방에 들어가니, 술이 항아리에 가득하다. 술병과 잔을 당겨 혼자서 따라 마시고 정원의 나뭇가지를 돌아보며 얼굴을 편다. 남쪽 창가에 기대어 의기양양해 하니, 무릎을 넣을 만한 좁은 곳이 편안하기에 쉬움을 알겠다. 정원은 날마다 거닐어 취미가 되었으니, 대문은 비록 세워져 있으나 항상 닫혀 있다. 지팡이를 짚고 돌아다니다 쉬면서 때때로 머리를 들어 멀리 바라본다. 구름은 무심히 산의 바위틈에서 나오고 새는 날기에 지쳐 돌아올 줄을 아는구나. 햇볕이 어둑어둑하면서 장차 지려 하니, 외로운 소나무를 어루만지며 서성거린다.
乃 이에 내,노 젓는 소리 애 1. 이에, 곧 2. 그래서 3. 더구나 4. 도리어 5. 비로소 6. 의외로, 뜻밖에 7. 또 8. 다만 9. 만일(萬一) 10. 겨우 11. 어찌 12. 이전에 13. 너, 당신(當身), 그대 14. 이와 같다 a. 노 젓는 소리 (애)... [부수]丿(삐침별)
瞻 볼 첨 1. 보다, 쳐다보다 2. 바라보다 3. 우러러보다 4. 비추어 보다 5. 살피다, 관찰하다(觀察--) [부수]目(눈목)
衡 저울대 형,가로 횡 1. 저울대, 저울 2. (수레의)가로장 3. 도리(서까래를 받치기 위하여 기둥 위에 건너지르는 나무) 4. 뿔막이나무, 쇠코뚜레 5. 비녀(여자의 쪽 찐 머리가 풀어지지 않도록 꽂는 장신구) 6. 권병(權柄:... [부수]行(다닐행)
欣 기쁠 흔 1. 기쁘다 2. 기뻐하다, 즐거워하다 3. 받들다 4. 흠모하다(欽慕--) 5. 기쁨, 즐거움 [부수]欠(하품흠)
載 실을 재,떠받들 대 1. 싣다 2. (머리에)이다(물건을 머리 위에 얹다)(=戴) 3. 오르다, 올라 타다 4. 행하다(行--), 시행하다(施行--) 5. 비롯하다, 개시하다(開始--) 6. 맡다 7. 진설하다(陳設--: 음식을 법식에 따라 상... [부수]車(수레거)
奔 달릴 분 1. 달리다 2. 급(急)히 가다 3. 빠르다 4. 향해 가다, 급(急)히 향해 가다 5. 달아나다, 도망쳐 내닫다, 패주하다(敗走--) 6. 도망가다(逃亡--) 7. 예를 갖추지 않고 혼인하다(婚姻--) 8. 야합하다(野合--),... [부수]大(큰대)
僕 종 복 1. (사내)종(남의 집에서 대대로 천한 일을 하던 사람) 2. 마부(馬夫), 거마(車馬)를 모는 사람 3. 저(자기의 겸칭) 4. 무리(모여서 뭉친 한 동아리), 벗 5. 동아리(같은 뜻을 가지고 모여서 한패를 이룬... [부수]亻(사람인변)
稚 어릴 치 1. 어리다 2. 유치하다(幼稚--) 3. 작다 4. 늦다 5. 더디다 6. 오만하다(傲慢--) 7. 어린 벼 8. 작은 벼 9. 만생종(晩生種) 10. 치자(稚子: 열 살 전후의 어린아이) [부수]禾(벼화)
候 기후 후 1. 기후(氣候), 계절(季節) 2. 철, 때 3. 5일, 닷새 4. 상황(狀況), 상태(狀態) 5. 조짐(兆朕), 증상(症狀), 징후(徵候) 6. 염탐꾼(廉探-), 망꾼(望-) 7. 살피다, 망보다(望--) 8. 염탐하다(廉探--) 9.... [부수]亻(사람인변)
荒 거칠 황,공허할 강 1. 거칠다 2. 흉년(凶年)이 들다 3. 덮다 4. 버리다, 폐기하다(廢棄--) 5. 멸망시키다(滅亡---) 6. 차지하다 7. 넓히다 8. 허황하다(虛荒--), 황당무계하다(荒唐無稽--) 9. (주색에)빠지다 10. 모자라다... [부수]艹(초두머리)
徑 지름길 경,길 경 1. 지름길, 질러가는 길 2. 길, 논두렁길 3. 지름, 직경 4. 마침내 5. 곧바로, 바로 6. 가다, 길을 가다 7. 건너다, 건너서 가다 8. 지나다, 지나가다 9. 곧다, 바르다, 정직하다(正直--) 10. 빠르다,... [부수]彳(두인변)
携 이끌 휴 1. 이끌다 2. 끌다 3. 가지다 4. 들다, 휴대하다(携帶--) 5. 잇다, 연하다(連--: 잇닿아 있다) 6. 떨어지다 7. 흩어지다 [부수]扌(재방변)
幼 어릴 유,그윽할 요 1. 어리다, 미숙하다(未熟--) 2. 작다, 조그마하다 3. 사랑하다 4. (누에가)잠을 자다 5. 어린아이 6. 누에의 잠 a. 그윽하다 (요) b. 깊다 (요) c. 심원하다(深遠--), 오묘하다(奧妙--) (요) d. 아름답다... [부수]幺(작을요)
盈 찰 영 1. 차다 2. 가득하다 3. 충만하다(充滿--), 피둥피둥하다 4. 남다, 여유(餘裕)가 있다 5. 불어나다, 증가하다(增加--) 6. 채우다, 미치다(영향이나 작용 따위가 대상에 가하여지다) 7. 교만하다(驕慢--)... [부수]皿(그릇명)
罇 술두루미 준 1. 술두루미(술을 담는 두루미) 2. 술 단지(목이 짧고 배가 부른 작은 항아리) 3. 술잔(-盞) 4. 술 그릇 [부수]缶(장군부)
壺 병 호 1. 병(甁) 2. 술병(-甁) 3. 박 4. 단지(목이 짧고 배가 부른 작은 항아리) 5. 투호 6. 물시계 7. 주전자 8. 예의 [부수]士(선비사)
觴 잔 상 1. 잔(盞) 2. 잔을 내다 [부수]角(뿔각)
酌 술 부을 작,잔질할 작 1. 술을 붓다, (술을)따르다 2. 잔질하다(盞---: 잔에 술을 따르다) 3. (술을)마시다 4. 퍼내다, 푸다 5. 가리다, 선택하다(選擇--) 6. 짐작하다(斟酌--) 7. 참작하다(參酌--), 헤아리다 8. 양치질하다... [부수]酉(닭유)
以 써 이 1. ~써, ~로, ~를 가지고, ~를 근거(根據)로 2. ~에 따라, ~에 의해서, ~대로 3. ~때문에, ~까닭에, ~로 인하여 4. ~부터 5. ~하여, ~함으로써, ~하기 위하여 6. ~을 ~로 하다 7. ~에게 ~을 주다 8. ~라 여기다 9. 말다 10. 거느리다 11. 닮다 12. 이유(理由), 까닭 13. (시간, 장소, 방향, 수량의)한계(限界)를 나타냄 [부수]人(사람인)
眄 곁눈질할 면,곁눈질할 묜 1. 곁눈질하다 2. 돌보다 3. 흘기다 4. 노려보다 5. 바라보다 a. 곁눈질하다 (묜) b. 돌보다 (묜) c. 흘기다 (묜) d. 노려보다 (묜) e. 바라보다 (묜) [부수]目(눈목)
柯 가지 가 1. 가지 2. 줄기 3. 자루(끝에 달린 손잡이) 4. 모밀잣밤나무 5. 주발(周鉢: 놋쇠로 만든 밥그릇) [부수]木(나무목)
怡 기쁠 이 1. 기쁘다 2. 즐거워하다, 기뻐하다 3. 기쁘게 하다 4. 온화하다(溫和--) [부수]忄(심방변)
倚 의지할 의,기이할 기 1. 의지하다(依支--) 2. 기대다 3. 치우치다 4. 기울다 5. 맡기다 6. 믿다 7. 인하다(因--: 어떤 사실로 말미암다) 8. 맞추다 9. 곁 a. 기이하다(奇異--) (기) b. 불구 (기) [부수]亻(사람인변)
寄 부칠 기 1. 부치다, 보내다 2. 이르다(어떤 장소나 시간에 닿다), 도달하다(到達--) 3. 맡기다, 위임하다(委任--) 4. 기대다, 의지하다(依支--) 5. 붙여 살다, 임시로 얹혀 살다 6. 빌리다 7. 위임(委任), 부탁(付託)... [부수]宀(갓머리)
傲 거만할 오 1. 거만하다(倨慢--) 2. 오만하다(傲慢--) 3. 교만하다(驕慢--) 4. 날뛰다 5. 업신여기다 6. 멸시하다(蔑視--) 7. 나가서 놀다 [부수]亻(사람인변)
蔑 업신여길 멸 부수艹 (초두머리) 1. 업신여기다 2. 욕되게 하다 3. 모독하다(冒瀆--) 4. 더럽히다 5. 멸하다(滅--)(=滅) 6. 코피를 흘리다 7. 깎다 8. 버리다 9. 없다 10. 잘다 11. 속이다 12. (사리에)어둡다 13. 더러운 피 衊(멸)의 간체자(簡體字). 뜻을 나타내는 초두머리(艹(=艸)☞풀, 풀의 싹)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伐(벌→멸)이 합(合)하여 이루어짐.
審 살필 심,빙빙 돌 반 1. 살피다, 주의하여 보다 2. 자세(仔細ㆍ子細)히 밝히다 3. 깨닫다 4. 듣다, 잘 들어 두다 5. 환히 알다, 밝게 알다 6. 조사하다(調査--) 7. 묶다 8. 바루다, 바르게 하다 9. 정하다(定--), 안정시키... [부수]宀(갓머리)
涉 건널 섭,피 흐르는 모양 첩 1. 건너다 2. 지나다, 거치다 3. 겪다 4. 거닐다 5. (걸어서)돌아다니다 6. (길을)떠나다 7. 이르다(어떤 정도나 범위에 미치다), 미치다(영향이나 작용 따위가 대상에 가하여지다) 8. 간섭하다(干涉--),... [부수]氵(삼수변)
關 관계할 관,당길 완 1. 관계하다(關係--) 2. 닫다 3. 끄다 4. 가두다 5. 감금하다(監禁--) 6. 주다, 받다 7. 관문(關門) 8. 세관(稅關) 9. 기관(機關) 10. 빗장 11. 난관(難關) a. (시위를)당기다 (완) [부수]門(문문)
憩 쉴 게 1. 쉬다 2. 휴식하다(休息--) [부수]心(마음심)
矯 바로잡을 교 1. 바로잡다 2. 굳세다, 씩씩하다 3. 억제하다(抑制--) 4. 속이다 5. 거스르다, 위배하다(違背--) 6. 칭탁하다(稱託--: 사정이 어떠하다고 핑계를 대다) 7. 들다, 쳐들다 8. 날다 9. 거짓 10. 핑계 11.... [부수]矢(화살시)
遐 멀 하 1. 멀다 2. 어찌 [부수]辶(책받침)
岫 산굴 수 1. 산굴(山窟: 산속에 있는 굴) 2. 암혈(巖穴: 석굴) 3. 산봉우리 4. 산꼭대기 [부수]山(뫼산)
倦 게으를 권 1. 게으르다 2. 진력나다(盡力--) 3. 고달프다 4. 걸터앉다 [부수]亻(사람인변)
翳 깃 일산 예 1. 깃 일산(日傘: 자루가 굽은 부채의 일종(一種)으로 의장(儀仗)의 한 가지) 2. 그늘 3. 방패(防牌ㆍ旁牌) 4. 가리다 5. 물리치다 6. 숨다 7. 가로 막다 8. 멸하다(滅--) 9. 말라 죽다(말라서 죽다) 10.... [부수]羽(깃우)
撫 어루만질 무 1. 어루만지다 2. (손으로)누르다 3. (손에)쥐다 4. 치다, 두드리다 5. 위로하다(慰勞--) 6. 기대다 7. 사랑하다 8. 좇다, 따르다 9. 덮다 10. 돌다, 순찰하다(巡察--) [부수]扌(재방변)
孤 외로울 고 1. 외롭다, 의지(依支)할 데가 없다 2. 떨어지다, 멀다 3. (고아로)만들다 4. (불쌍히 여겨)돌보다, 염려하다(念慮--) 5. 버리다, 벌하다(罰--) 6. 저버리다, 배반하다(背反ㆍ背叛--) 7. 작다 8. 고루(固陋)하고... [부수]子(아들자)
盤 소반 반 1. 소반 2. 쟁반 3. 받침 4. 바탕 5. 대야(둥글넓적한 그릇) 6. 넓고 큰 모양 7. 큰 돌 8. 굽다 9. 돌다 10. 돌다 11. 서리다 [부수]皿(그릇명)
桓 굳셀 환 1. 굳세다 2. 크다 3. 머뭇거리다 4. 푯말(標-: 어떤 것을 표지하기 위하여 세우는 말뚝) 5. 하관(下棺)할 때 쓰는 나무틀 6. 무환자나무(無患子--: 무환자나뭇과의 낙엽 활엽 교목) 7. 위풍당당(威風堂堂)한... [부수]木(나무목)
C.
歸去來兮여. 請息交以絶游호리라. 世與我而相違하니 復駕言兮焉求리오. 悅親戚之情話하고 樂琴書以消憂로다. 農人이 告余以春及하면 將有事于西疇로다. 或命巾車하고 或棹孤舟하여 旣窈窕3)以尋壑하고 亦崎嶇4)而經丘라. 木欣欣5)以向榮하고 泉涓涓6)而始流로다. 羨萬物之得時하고 感吾生之行休로다.
(귀거래혜 청식교이절유 세여아이상위 복가언혜언구 열친척지정화 락금서이소우 농인 고여이춘급 장유사우서주 혹명건차 혹도고주 기요조이심학 역기구이경구 목흔흔이향영 천연연이시류 선만물지득시 감오생지행휴)
돌아가리라. 교제를 그만두고 어울림을 끊어야겠다. 세상이 나와는 서로 어긋나니 다시 수레를 메고 나가 무엇을 구하겠는가. 친척들과의 정다운 대화를 기뻐하고 거문고와 책을 즐기면서 시름을 잊으리라. 농부가 나에게 봄이 왔다고 알리면, 장차 서쪽 밭에서 농사일을 해야겠다. 혹은 천을 두른 수레를 준비하게 하고 혹은 한 척의 배를 저어, 이미 깊숙하게 물골을 찾아들기도 하고 또한 울퉁불퉁한 길로 언덕을 지난다. 나무들은 생기를 머금은 채 무성해져가고 샘물은 졸졸거리며 흐르기 시작한다. 만물이 제때를 얻은 것이 부럽고 나의 삶은 장차 끝나 감을 느낀다.
游 헤엄칠 유,깃발 류,깃발 유 1. 헤엄치다 2. 유동하다(流動--), 뜨다 3. 떠내려가다 4. 어슬렁거리다 5. 놀다 6. 걷다, 여행하다(旅行--) 7. 사신(使臣)으로 가다 8. 사귀다, 교제하다(交際--) 9. 허황되다(虛荒--) 10. 경작하다(耕作--)... [부수]氵(삼수변)
焉 어찌 언,오랑캐 이 1. 어찌, 어떻게 2. 어디, 어디에 3. 보다, ~보다 더 4. 이에, 그래서 5. 이(지시 대명사) 6. ~느냐? 7. ~도다! 8. 그러하다, ~와 같다 a. 오랑캐 (이) [부수]灬(연화발)
消 사라질 소 1. 사라지다 2. 삭이다 3. 없애다, 소멸시키다(消滅---) 4. 녹이다 5. (쇠하여)줄어들다 6. 소모하다(消耗--), (시간을)보내다 7. 거닐다, 배회하다(徘徊--) 8. 물러서다 9. (남몰래)행하다(行--) 10.... [부수]氵(삼수변)
憂 근심 우 1. 근심, 걱정 2. 병(病), 질병(疾病) 3. 고통(苦痛), 괴로움, 환난(患難) 4. 친상, 상중(喪中) 5. 근심하다(속을 태우거나 우울해하다), 걱정하다, 애태우다 6. 고생하다, 괴로워하다 7. 두려워하다 8.... [부수]心(마음심)
消憂 근심을 없애 버림
余 나 여,남을 여 1. 나 2. 나머지(=餘) 3. 나머지 시간(時間) 4. 여가(餘暇) 5. 여분 6. 정식 이외의 7. 다른 8. 남다 9. 남기다 [부수]人(사람인)
及 미칠 급 1. 미치다(영향이나 작용 따위가 대상에 가하여지다), 닿다 2. 미치게 하다, 끼치게 하다 3. 이르다(어떤 장소나 시간에 닿다), 도달하다(到達--) 4. 함께 하다, 더불어 하다 5. 함께, 더불어 6. 및, 와... [부수]又(또우)
疇 이랑 주,누구 주 1. 이랑(갈아 놓은 밭의 한 두둑과 한 고랑을 아울러 이르는 말) 2. 밭, 삼밭 3. 떼, 무리(모여서 뭉친 한 동아리) 4. 북(식물의 뿌리를 싸고 있는 흙)을 돋우다(도드라지거나 높아지게 하다) 5. 짝 6.... [부수]田(밭전)
棹 노 도,책상 탁 1. 노(배를 젓는 막대기) 2. 배 3. 노를 젖다 a. 책상(冊床) (탁) b. 나무의 이름 (탁) [부수]木(나무목)
窈 고요할 요 1. 고요하다(조용하고 잠잠하다) 2. 그윽하다, 심원하다(甚遠--) 3. 얌전하다 4. 어둡다, 희미하다(稀微--) 5. 구석지다 6. 아름답다, 아리땁다 7. 고상하다(高尙--) 8. 누긋하다(성질이나 태도가 좀 부드럽고... [부수]穴(구멍혈)
窕 으늑할 조,예쁠 요 1. 으늑하다(편안하고 조용한 느낌이 있다) 2. 조용하다 3. 틈이 나다 4. 한가하다(閑暇--) 5. 깊숙하다 6. 아리땁다 7. 놀리다, 집적거리다 8. 가늘다 9. 가볍다, 경솔하다(輕率--) 10. 미색(美色) a.... [부수]穴(구멍혈)
窈窕 부녀(婦女)의 행동(行動)이 얌전하고 정숙(貞淑)함
尋 찾을 심 1. 찾다, 캐묻다 2. 탐구하다(探求--), 연구하다(硏究--) 3. 쓰다, 사용하다 4. 치다, 토벌하다(討伐--) 5. 잇다, 계승하다(繼承--) 6. 첨가하다, 거듭하다 7. 생각하다 8. 높다 9. 길다 10. 깊다 11.... [부수]寸(마디촌)
壑 골 학 1. 골, 산골짜기(山---) 2. 도랑(매우 좁고 작은 개울), 개천(-川: 개골창 물이 흘러 나가도록 길게 판 내) 3. 구렁(움쑥하게 팬 땅) 4. 해자(垓子) 5. 석굴(石窟), 암굴(巖窟)
[부수]土(흙토)
崎嶇 ①산이 가파르고 험하다는 뜻 ②(삶이)순조(順調)롭지 못하고 온갖 어려움을 겪는 상태(狀態)에 있음 ③기험(崎險)함
崎 험할 기 1. (산세가)험하다(險--) 2. (인심이)사납다 3. 어려움을 겪다 4. 비스듬한 모양 5. 불안(不安)한 모양 [부수]山(뫼산)
嶇 험할 구 1. 험하다(險--) 2. 가파르다 3. 괴로워하다 4. 험난하다(險難--) 5. 산길(山-)이 평탄(平坦)하지 아니하다 6. 산꼭대기 [부수]山(뫼산)
向 향할 향,성씨 상 1. 향하다(向--) 2. 나아가다 3. 길잡다 4. 바라보다 5. 대하다(對--) 6. 대접(待接)을 받다 7. 누리다 8. 권하다(勸--) 9. 흠향하다(歆饗--) 10. 메아리치다 11. 제사(祭祀)를 지내다 12. 방향(方向)... [부수]口(입구)
榮 영화 영,꽃 영 1. 영화(榮華) 2. 영예(榮譽) 3. 영광(榮光) 4. 명예(名譽) 5. 피, 혈액 6. 꽃 7. 영광스럽다(榮光---) 8. 영예롭다(榮譽--) 9. 성하다(盛--: 기운이나 세력이 한창 왕성하다) 10. 무성하다(茂盛--) 11.... [부수]木(나무목)
涓 시내 연,우는 모양 현 1. 시내, 실개천(--川: 폭이 매우 좁고 작은 개천) 2. 작은 흐름 3. 가리다, 고르다 4. 깨끗하다 5. 흐르다 a. 우는 모양 (현) b. 눈물이 흐르는 모양 (현) [부수]氵(삼수변)
羨 부러워할 선,무덤길 연 1. 부러워하다 2. 탐내다(貪--) 3. 사모하다(思慕--) 4. 넉넉해지다, 풍요롭다(豐饒--) 5. 넘치다, 범람하다(汎濫ㆍ氾濫--) 6. 비뚤어지다, 사특하다(邪慝--: 요사스럽고 간특하다) 7. 잃다, 그르치다... [부수]羊(양양)
D.
已矣乎라. 寓形宇內復幾時오 曷不委心任去留하고 胡爲乎遑遑欲何之오. 富貴는 非吾願이요 帝鄕7)은 不可期라. 懷良辰以孤往하고 或植杖而耘耔하며 登東皐以舒嘯하고 臨淸流而賦詩리라. 聊乘化以歸盡하니 樂夫天命復奚疑리오.
(이의호 우형우내복기시 갈불왜심임거류 호위호황황욕하지 부귀 비오원 제향 불가기 회양진이고주 혹식장이운자 등동고이서소 임청류이부시 료승화이귀진 락부천명복해의)
그만두자. 세상에 몸을 의탁해 사는 것이 또한 얼마나 된다고, 어찌 마음에 맡겨, 가고 머묾을 임의대로 하지 않겠으며, 무엇 때문에 허둥대며 어디를 가려고 하겠는가. 부귀(富貴)는 내가 바라는 것이 아니고 신선 세계는 기약할 수 없다. 좋은 시절을 생각해 두고 있다가 홀로 나서고 혹은 지팡이를 세워 놓고 김매고 북돋워줄 것이며, 동쪽 언덕에 올라 시를 읊조리고 맑은 물에 이르러 시를 지으리라. 그저 변화를 따라 죽음으로 돌아가리니, 천명(天命)을 즐김에 다시 무엇을 의심하리오.
遑 급할 황 1. 급하다(急--) 2. 허둥거리다 3. 한가하다(閑暇--), 여유롭다(餘裕--) 4. 두려워하다 5. 어찌 [부수]辶(책받침)
耘耔 김매고 북을 돋움
耘 김맬 운 1. 김매다(논밭의 잡풀을 뽑아내다) 2. 없애다, 제거하다(除去--) 3. 북(식물의 뿌리를 싸고 있는 흙)을 돋우다(도드라지거나 높아지게 하다) [부수]耒(가래뢰)
耔 북을 돋울 자 1. 북(식물의 뿌리를 싸고 있는 흙)을 돋우다(도드라지거나 높아지게 하다) 2. 돋우어 가꾸다 [부수]耒(가래뢰)
皐 언덕 고,못 고,부를 호 1. 언덕 2. 못(넓고 오목하게 팬 땅에 물이 괴어 있는 곳), 늪 3. 물가(물이 있는 곳의 가장자리) 4. 논 5. 오월(五月) 6. 후미(물가나 산길이 휘어서 굽어진 곳) 7. 성(姓)의 하나 8. 고복(鼓腹)하는... [부수]白(흰백)
舒 펼 서 1. 펴다, 신장시키다(伸張--) 2. 퍼지다 3. 흩다(한데 모였던 것을 따로따로 떨어지게 하다), 흩어지다 4. 느리다 5. 게으르다, 태만하다(怠慢--) 6. 천천하다 7. 편안하다(便安--) 8. 나타내다, 드러내다... [부수]舌(혀설)
嘯 휘파람 불 소,꾸짖을 질 1. 휘파람을 불다 2. 읊조리다 3. 울부짖다 4. 휘파람 5. 이명(耳鳴: 몸 밖에 음원(音源)이 없는데도 잡음이 들리는 병적인 상태) a. 꾸짖다 (질) [부수]口(입구)
賦 부세 부 1. 부세(賦稅: 세금을 매겨서 부과하는 일) 2. 군비(軍費) 3. 문채(文彩: 문장의 멋)의 이름 4. 군사(軍士) 5. 선비(학식은 있으나 벼슬하지 않은 사람을 이르던 말) 6. 구실(온갖 세납을 통틀어 이르던... [부수]貝(조개패)
聊 애오라지 료,애오라지 요 1. 애오라지(부족하나마 그대로) 2. 어조사(語助辭) 3. 귀가 울다(이명나다) 4. 힘입다 5. 편안하다(便安--) 6. 즐기다 [부수]耳(귀이)
각주
1삼경(三徑)
한대(漢代)의 장후(蔣詡)가 은거(隱居)하면서 집 앞의 대나무밭에 세 갈래의 길을 만들고, 은사(隱士)인 구중(求仲), 양중(羊仲) 두 사람하고만 교류한 고사에서 따온 말이다.
2부로(扶老)
지팡이를 가리킨다.
3요조(窈窕)
깊숙한 모양이다.
4기구(崎嶇)
울퉁불퉁한 모양이다.
5흔흔(欣欣)
생기 있는 모양이다.
6연연(涓涓)
졸졸 흐르는 모양이다.
7제향(帝鄕)
선경(仙境)을 가리킨다.
[네이버 지식백과] 귀거래사 [歸去來辭] (중국의 명문장 감상, 2011. 9. 18., 한국학술정보(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