莊子 - 外篇 22 知北游 12
222` 도에 대한 이론은 진실한 도를 뜻할 수 없다 (외편:22.지북유,12)
- 장자(외편) ; 제22편 지북유[12]-
아하감이 신농과 함께 노용길에게 공부하고 있었다.
신농이 안석에 기대어 문을 닫고 낮잠을 자고 있었는데, 아하감이 문을 열고 들어와서 말했다.
“선생님께서 돌아가셨네.”
신농이 안석에 기대어 있다가 지팡이를 짚고 일어섰다가 지팡이를 내던지며 웃으며 말했다.
“하늘은 내가 편벽되고 고루하면서도 허망한 자라 하여, 나를 버리고 돌아가시게 한 것일 것이다. 선생님께서는 나를 계발시켜줄 지극한 말씀도 한 마디 없이 돌아가셨구나.”
엄강조가 그 얘기를 듣고 말했다.
“도를 체득한 사람이란 천하의 군자들이 따르게 되는 것이다. 지금 신농은 도에 대하여 털끝의 만분의 일도 터득하고 있지 못하면서 그 분이 지극한 말을 품은 채 죽었다고 알고 있다. 그러니 하물며 도를 체득한 사람이야 도가 말로 표현될 수 없는 것임을 얼마나 잘 알겠는가? 도란 보아도 형체가 없고 들어도 소리가 없다. 사람들 중에 그것을 논하는 사람들이 도를 캄캄하다는 뜻에서 명명(冥冥)이라 부르고 있으나, 도에 대한 이론은 진실한 도를 뜻할 수 없는 것이다.”
- 莊子(外篇) ; 第22篇 知北游[12]-
妸荷甘與神農同學於老龍吉. 神農隱几闔戶晝瞑, 妸荷甘日中奓戶而入曰:「老龍死矣!」 神農隱几擁杖而起, 嚗然放杖而笑, 曰:「天知予僻陋慢訑, 故棄予而死. 已矣! 夫子无所發予之狂言而死矣夫!」
弇堈弔聞之曰:「夫體道者, 天下之君子所繫焉. 今於道, 秋毫之端萬分未得處一焉, 而猶知藏其狂言而死, 又況夫體道者乎! 視之无形, 聽之无聲, 於人之論者, 謂之冥冥, 所以論道, 而非道也.」
(아하감여신농동학어노룡길. 신농은기합호주면, 아하감일중차호이입왈:[노룡사의!] 신농은기옹장이기, 박연방장이소, 왈:[천지여피루만이, 고기예이사. 이의! 부자무소발예지광언이사의부!]
함강조문지왈:[부체도자, 천하지군자소계언. 금어도, 추호지단만문미득처일언, 이유지장기광언이사, 우황부쳬도자호! 시지무형, 청지무성, 어인지론자, 위지명명, 소이론도, 이비도야.])
隱 숨을 은 1. 숨다 2. 점치다(占--) 3. 가엾어 하다 4. 근심하다(속을 태우거나 우울해하다) 5. 음흉하다(陰凶--) 6. 쌓다 7. 무게 있다 8. 기대다 9. 수수께끼 [부수]阝(좌부변)
隐 [yǐn] 번체 (隱) 숨을 은 1.[동사] 숨다. 2.[동사] 숨기다. 가리다. 감추다. 은폐하다. 3.[형용사] 은밀한. 비밀스러운. 밝힐 수 없는. 알려져서는 안 될.
闔 문짝 합 1. 문짝(門-) 2. 거적(짚으로 쳐서 자리처럼 만든 물건), 뜸(짚, 띠, 부들 따위로 거적처럼 엮어 만든 물건) 3. 온통 4. 전부의(全部-) 5. 통할하다(統轄--: 모두 거느려 다스리다) 6. 어찌 ~아니하랴... [부수]門(문문)
晝 낮 주 1. 낮 2. 정오(正午) 3. 땅의 이름 [부수]日(날일)
瞑 눈 감을 명,잘 면 1. (눈을)감다 2. (눈이)어둡다 3. 눈이 멀다 4. 먼눈(시력을 잃어 보이지 않는 눈), 소경(눈동자가 없는 장님) a. 자다 (면) b. 아찔하다 (면) c. (약에)중독되다(中毒--) [부수]目(눈목)
奓 펼 차,사치할 사,지나칠 치 1. 펴다, 열리다 2. 자랑하다 3. 오만하다(傲慢--), 교만(驕慢)을 떨다 a. 사치하다(奢侈--) (사) b. 지나치다 (치) c. 과분하다(過分--) (치) [부수]大(큰대)
擁 낄 옹 1. 끼다 2. 가지다 3. 호위하다(護衛--) 4. 안다 5. 들다 6. 가리다 7. 막다 [부수]扌(재방변)
杖 지팡이 장 1. 지팡이 2. 몽둥이 3. 장형(杖刑: 죄인의 볼기를 큰 형장으로 치던 형벌) 4. 창(槍) 자루(끝에 달린 손잡이) 5. 짚다 6. 때리다 7. 의지하다(依支--) 8. 잡다 [부수]木(나무목)
嚗 역정 낼 박 1. 역정(逆情)을 내다 2. 지팡이 던지는 소리 3. 소리 4. 여럿의 소리 [부수]口(입구)
僻 궁벽할 벽,피할 피 1. 궁벽하다(窮僻--) 2. 가볍다, 경박하다(輕薄--), 멋대로 행동하다(行動--) 3. 천하다(賤--), 비루하다(鄙陋--) 4. 치우치다, 편벽되다(偏僻--: 생각 따위가 한쪽으로 치우쳐 있다) 5. 후미지다(아주... [부수]亻(사람인변)
陋 더러울 루,더러울 누 1. 더럽다, 천하다(賤--) 2. 못생기다, 추하다(醜--) 3. (신분이)낮다 4. 볼품없다 5. 작다, 왜소하다(矮小--) 6. 궁벽하다(窮僻--) 7. 좁다, 협소하다(狹小--) 8. 거칠다 9. 숨기다, 은닉하다(隱匿--) [부수]阝(좌부변)
慢 거만할 만 1. 거만하다(倨慢--), 오만하다(傲慢--) 2. 게으르다, 게으름을 피우다 3. 거칠다, 간략하다(簡略--) 4. 방종하다(放縱--) 5. 업신여기다, 모멸하다(侮蔑--) 6. 느슨하다 7. 방자하다(放恣--) 8. 느리다,... [부수]忄(심방변)
訑 으쓱거릴 이,속일 타,방종할 탄 1. 으쓱거리다 a. 속이다 (타) b. 방종하다(放縱--) (탄) [부수]言(말씀언)
棄 버릴 기 1. 버리다 2. 그만두다 3. 돌보지 않다 4. 꺼리어 멀리하다 5. 물리치다 6. 잊다 [부수]木(나무목)
弇 덮을 엄,사람 이름 감,성씨 남 1. 사람 이름 a. 덮다, 덮어 씌우다 (엄) b. 깊다 (엄) c. (안으로)향하다(向--) (엄) d. (아가리는)작고 속은 넓다 (엄) e. 뒤따르다, 뒤따라 밟다 (엄) f. 좁은 길 (엄) g. 산(山) 이름 (엄) h. 성(姓)의... [부수]廾(스물입발)
堈 언덕 강 1. 언덕 2. 독(큰 오지그릇이나 질그릇) 3. 항아리 [부수]土(흙토)
體 몸 체 1. 몸, 신체(身體) 2. 몸소, 친히(親-) 3. 형상(形狀) 4. 근본(根本) 5. 격식(格式) 6. 물질(物質) 7. 물체(物體) 8. 서체(書體) 9. 체재(體裁) 10. 체험하다(體驗--) 11. 체득하다(體得--) 12. 알아주다... [부수]骨(뼈골)
繫 맬 계 1. 매다 2. 이어매다 3. 묶다 4. 잇다 5. 얽다 6. 매달다 7. 매달리다 8. 끈, 줄 9. 혈통(血統) 10. 핏줄 11. 죄수(罪囚) 12. 실마리 13. 계사(繫辭: 주역의 괘의 설명) [부수]糸(실사)
(참조 : http://www.yetgle.com/2jangja.htm 옛글닷컴 )
'매일조금씩배워보자 > 莊子' 카테고리의 다른 글
莊子 - 外篇 22 知北游 14 (0) | 2016.10.14 |
---|---|
莊子 - 外篇 22 知北游 13 (0) | 2016.10.11 |
莊子 - 外篇 22 知北游 11 (0) | 2016.10.07 |
莊子 - 外篇 22 知北游 10 (0) | 2016.10.06 |
莊子 - 外篇 22 知北游 9 (0) | 2016.10.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