莊子(雜篇) ; 第29篇 盜跖 13
315` 부와 명예는 사람을 해치는 부질없는 것이다 (잡편:29.도척,13)
- 장자(잡편) ; 제29편 도척[13]-
무족이 말했다. “사람은 꼭 자기의 명예를 지탱하려고 자신을 괴롭히고 단것도 먹지 않으며 몸의 보양을 절약함으로써 생활만을 지탱해갑니다. 그러므로 그것은 오랫동안 앓으면서 오랫동안 곤궁하게 죽지 않고 사는 것이나 같은 것입니다.”
지화가 말했다. “평범한 것이 행복이 되며, 남음이 있으면 해가 된다는 것은 모든 물건이 그런데, 재물에 있어서는 더욱 심합니다. 지금 부자들은 귀로는 종, 북, 저, 피리의 소리를 들으며 즐기고, 입으로는 짐승고기와 맛있는 술맛을 실컷 봄으로써 그의 뜻을 만족시키는 한편 그의 할 일은 잊고 있습니다. 그러니 이것이 혼란이라 말할 만한 것입니다.
자신의 성한 기운에 빠져 들어가 무거운 짐을 지고서 높은 곳으로 올라가는 것과 같습니다. 그러니 이것은 고통이라 말할만한 일입니다. 재물을 탐하여 병에 걸리고, 권력을 탐하여 정력을 다 쓰며, 고요히 살게 되면 정욕에 빠지고, 몸이 윤택해지면 정력을 낭비합니다. 그러니 이것이 질병이라 말할 만한 일입니다.
부를 바라고 이익을 추구하기 때문에 마음 가득히 담이 둘러쳐진 것처럼 장애가 생기지만 그것을 피할 줄은 모릅니다. 그대로 정력을 사용하여 마지않습니다. 그러니 이것은 치욕이라 말할 만한 일입니다. 재물이 쌓여도 쓸데가 없는데도 재물을 모을 생각을 품은 채 버리지 않습니다. 마음 가득히 번뇌로 가득 차는데도 이익을 추구하여 마지않습니다. 그러니 이것은 우환이라 말할만한 일입니다.
집안에 있으면 강도가 들지 않을까 걱정을 하고, 밖에 나가면 도적들에게 해를 입지나 않을까 두려워합니다. 집에는 망루와 내다보는 창을 만들어 놓고 밖에는 홀로 다니지 못합니다. 그러니 이것은 두려움이라 말할 만한 것입니다.
이 여섯 가지는 천하의 지극한 피해인 것입니다. 그러나 모두들 이것을 잊고서 살필 줄 모릅니다. 그 환란이 닥쳐야만 그의 삶을 다하고 재물을 다 바쳐서라도 다만 하루의 무고한 날로라도 돌아가기를 바라지만, 그 때엔 이미 그리 될 수가 없는 일입니다. 그러므로 명예란 관점에서 추구하더라도 얻는 것이 없는 것입니다. 사람들이 자기 마음을 얽매고 자기 몸을 해치면서까지 이런 것을 다투고 있으니 또한 미혹된 일이 아니겠습니까?”
- 莊子(雜篇) ; 第29篇 盜跖[13]-
无足曰:「必持其名, 苦體絶甘, 約養以持生, 則亦久病長阨而不死者也.」
知和曰:「平爲福, 有餘爲害者, 物莫不然, 而財其甚者也. 今富人, 耳營於鐘鼓管籥之聲, 口嗛於芻豢醪醴之味, 以感其意, 遺忘其業, 可謂亂矣. 侅溺於馮氣, 若負重行而上坂也, 可謂苦矣. 貪財而取慰, 貪權而取竭, 靜居則溺, 體澤則馮, 可謂疾矣. 爲欲富就利, 故滿若堵耳而不知避, 且憑而不舍, 可謂辱矣. 財積而无用, 服膺而不舍, 滿心戚醮, 求益而不止, 可謂憂矣, 內則疑刦請之賊, 外則畏寇盜之害, 內周樓疏, 外不敢獨行, 可謂畏矣. 此六者, 天下之至害也, 皆遺忘而不知察, 及其患至, 求盡性竭財, 單以反一日之无故而不可得也. 故觀之名則不見, 求之利則不得, 繚意體而爭此, 不亦惑乎!」
(무족왈:[필지기명, 고체절감, 약양이지생, 즉역구병장액이불사자야.]
지화왈:[평위복, 유여위해자, 물막불연, 이재기심자야. 금부인, 이영어종고관약지성, 구겸어추환료례지미, 이감기의, 유망기업, 가위난의. 해닉어빙기, 약부중행이상판야, 가위고의. 탐재이취위, 탐권이취갈, 정거즉익, 체택즉빙, 가위질의. 위욕부취리, 고만약저이이부지피, 차빙이불사, 가위욕의. 재적이무용, 복응이불사, 만심척초, 구익이부지, 가위우의, 내즉의겁청지적, 외즉외구도지해, 내주루소, 외불감독행, 가위외의. 차육자, 천하지지해야, 개유망이부지찰, 급기환지, 구진성갈재, 단이반일일지무고이불가득야. 고관지명즉불견, 구지리즉부득, 료의체이쟁차, 불역혹호!])
持 가질 지 1. 가지다, (손에)쥐다, 잡다 2. 지니다 3. 버티다, 견디어내다, 대립하다(對立--) 4. 보전하다(保全--), 보존하다(保存--) 5. 지키다, 유지하다(維持--) 6. 균형(均衡)이 깨지지 아니하다, 형편(形便)에... [부수]扌(재방변)
待 기다릴 대 1. 기다리다 2. 대비하다(對備--), 갖추어 놓고 기다리다 3. 대접하다(待接--), 대우하다(待遇--) 4. 모시다, 시중들다 5. 돕다, 거들다 6. 의지하다(依支--), 기대다 7. 더하다, 더해 주다 8. 저축하... [부수]彳(두인변)
苦 쓸 고,땅 이름 호 1. 쓰다 2. 괴롭다 3. 애쓰다, 힘쓰다 4. 많다, 오래 계속되다(繼續--) 5. 거칠다 6. 엉성하다, 졸렬하다 7. 무르다 8. 욕되다(辱--), 욕보이다(辱---) 9. 싫어하다 10. 씀바귀(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부수]艹(초두머리)
約 맺을 약,부절 요,기러기발 적 1. 맺다 2. 약속하다(約束--) 3. 묶다, 다발을 짓다 4. 검소(儉素)하게 하다, 줄이다 5. 오그라들다 6. 인색하다(吝嗇--), 아끼다 7. 멈추다, 말리다 8. 쇠하다(衰--) 9. 갖추다 10. 구부리다 11. 따르다,...[부수]糹(실사변)
阨 막힐 액,길 험할 애 1. 막히다 2. 막아서 지키다 3. 제압하다(制壓--) 4. 고생하다 5. 곤궁하다(困窮--) 6. 고난(苦難) 7. 고생, 괴로움 a. 길이 험하다(險--) (애) b. 좁다 (애) c. 험준(險峻)한 곳 (애) [부수]阝(좌부변)
窘 군색할 군 1. 군색하다(窘塞--: 필요한 것이 없거나 모자라서 딱하고 옹색하다) 2. 가난하다, 곤궁하다(困窮--: 가난하여 살림이 구차하다) 3. 궁하다(窮--: 가난하고 어렵다), 난감하다(難堪--) 4. 고생하다 5.... [부수]穴(구멍혈)
鐘 쇠북 종 1. 쇠북 2. 종(鐘) 3. 시계(時計) [부수]金(쇠금)
鼓 북 고 1. 북(타악기의 하나) 2. 북소리 3. 맥박(脈搏), 심장의 고동(鼓動) 4. 시보(時報), 경점(更點: 북이나 징을 쳐서 알려 주던 시간) 5. 되(분량을 헤아리는 데 쓰는 그릇 또는 부피의 단위) 6. 무게의 ... [부수]鼓(북고)
管 대롱 관,주관할 관 1. 대롱, 관 2. 피리(악기의 하나) 3. 붓대, 붓자루 4. 가늘고 긴 대 5. 고동(기계 장치), 추요(樞要) 6. 열쇠 7. 집, 저택(邸宅) 8. 맡다, 다스리다 9. 주관하다(主管--) 10. 불다, 취주하다(吹奏--) [부수]竹(대죽)
籥 피리 약 1. 피리(악기의 하나) 2. 열쇠 3. 쇠 채우다 4. 뛰다 5. 성(姓)의 하나 [부수]竹(대죽)
嗛 겸손할 겸,흉년 들 겸,원한 품을 함,마음에 맞을 겹 1. 겸손하다(謙遜ㆍ謙巽--)(=謙) 2. 흉년(凶年) 들다(=歉) 3. 모자라다, 부족하다(不足--) 4. 입 속에 넣다 5. 쥐의 볼 속(=협낭(頰囊)) a. 원한(怨恨)을 품다 (함) b. 싫어하다 (함) c. 머금다 (함) d.... [부수]口(입구)
芻 꼴 추 1. 꼴(말이나 소에게 먹이는 풀) 2. 꼴꾼(말이나 소에게 먹일 꼴을 베는 사람) 3. 짚(이삭을 떨어낸 줄기와 잎) 4. 풀 먹는 짐승 5. 기르다 [부수]艹(초두머리)
豢 기를 환 1. (가축을)기르다 2. 치다 3. (음식을)잘 이바지하다 4. (미끼로)꾀다 5. 탐하다(貪--) 6. 가축(家畜) [부수]豕(돼지시)
醪 막걸리 료,막걸리 요 1. 막걸리(우리나라 고유한 술의 하나) 2. 탁주(濁酒: 막걸리) 3. 술(알코올 성분이 들어 있어 마시면 취하는 음료) [부수]酉(닭유)
醴 단술 례,단술 예 1. 단술(=감주), 감주(甘酒: 엿기름을 우린 물에 밥알을 넣어 식혜처럼 삭혀서 끓인 음식) 2. 맑은 술 3. 진액(津液) 4. 맛좋은 샘물 5. 달다(꿀이나 설탕의 맛과 같다) [부수]酉(닭유)
亂 어지러울 란,어지러울 난 1. 어지럽다 2. 어지럽히다, 손상시키다(損傷---) 3. 다스리다 4. 음란하다(淫亂--), 간음하다(姦淫--) 5. 무도하다(無道--), 포악하다(暴惡--) 6. (물을)건너다 7. 가득 차다, 널리 퍼지다 8. 난리(亂離),... [부수]乙(새을)
侅 이상할 해 1. 이상하다(異常--) 2. 목메다 [부수]亻(사람인변)
溺 빠질 닉,빠질 익,오줌 뇨,오줌 요,약할 약 1. 빠지다 2. 빠뜨리다 3. 그르치다 4. 지나치다, 정도를 넘다 a. 오줌, 소변(小便) (뇨) b. (오줌을)누다 (뇨) c. 약하다(弱--)(=弱) (약) d. 연약하다(軟弱--) (약) [부수]氵(삼수변)
馮 성씨 풍,업신여길 빙 1. 성(姓)의 하나 a. 업신여기다 (빙) b. 기대다 (빙) c. 성내다 (빙) d. 도섭하다(徒涉--: 걸어서 물을 건넘) (빙) e. 뽐내다 (빙) f. 서운하다 (빙) g. 힘입다 (빙) h. 의지하다(依支--) (빙) [부수]馬(말마)
負 질 부 1. (짐을)지다 2. 떠맡다 3. 빚지다 4. 업다 5. 힘입다 6. (부상을)입다 7. 저버리다 8. 패하다(敗--) 9. 근심하다(속을 태우거나 우울해하다) 10. 짐 11. 지는 일 12. 빚 [부수]貝(조개패)
坂 언덕 판 1. 언덕 2. 비탈(기울어진 상태나 정도) 3. 둑(높은 길을 내려고 쌓은 언덕) 4. 제방(堤防) 5. 비탈지다 [부수]土(흙토)
慰 위로할 위 1. 위로하다(慰勞--) 2. 안심시키다(安心---) 3. 우울해지다(憂鬱---) 4. 울적해지다(鬱寂---) 5. 성내다 6. 원망하다(怨望--) 7. 위로(慰勞) 8. 원망(怨望) 9. 성, 화 [부수]心(마음심)
竭 다할 갈,다할 걸 1. 다하다 2. 없어지다 3. 끝나다 4. 엉기다(한 덩어리가 되면서 굳어지다) 5. 막히다 6. 제거하다(除去--), 없애다 7. 무너지다, 망가지다(부서지거나 찌그러져 못 쓰게 되다) 8. (물이)마르다 9. 짊어지다... [부수]立(설립)
靜 고요할 정 1. 고요하다(조용하고 잠잠하다) 2. 깨끗하게 하다 3. 깨끗하다 4. 쉬다, 휴식하다(休息--) 5. 조용하게 하다 6. 조용하다 7. 조용히 [부수]靑(푸를청)
澤 못 택,풀 석,전국술 역,별 이름 탁 1. 못(넓고 오목하게 팬 땅에 물이 괴어 있는 곳) 2. 늪(땅바닥이 우묵하게 뭉떵 빠지고 늘 물이 괴어 있는 곳) 3. 윤, 윤택(潤澤) 4. 은혜(恩惠) 5. 덕택(德澤), 덕분(德分) 6. 은덕 7. 자취(어떤 것이... [부수]氵(삼수변)
避 피할 피 1. 피하다(避--) 2. 벗어나다, 면하다(免--) 3. 회피하다(回避--) 4. 떠나다, 가다 5. 물러나다 6. 숨다, 감추다 7. 꺼리다 [부수]辶(책받침)
憑 기댈 빙 1. 기대다 2. 의지하다(依支--) 3. 의거하다(依據--), 전거로 삼다 4. 성하다(盛--: 기운이나 세력이 한창 왕성하다), 대단하다 5. 의탁하다(依託ㆍ依托--), 맡기다 6. 크다 7. 차다, 가득 차다 8. 붙다,... [부수]心(마음심)
藉 깔 자,짓밟을 적,빌 차,빌릴 차 1. 깔다 2. 깔개 3. 자리 4. 가령(假令) 5. 설사(設使) a. 짓밟다 (적) b. 밟다 (적) c. 범하다(犯--) (적) d. 업신여기다 (적) e. 왁자하다 (적) f. 친경(親耕)하다 (적) g. 적전(籍田ㆍ耤田: 임금이...[부수]艹(초두머리)
辱 욕될 욕 1. 욕되다(辱--), 수치스럽다(羞恥---) 2. 더럽히다, 욕(辱)되게 하다 3. 모욕(侮辱)을 당하다(當--) 4. 욕보이다(辱---) 5. 무덥다 6. 황공하다(惶恐--) 7. 거스르다 8. 치욕(恥辱), 수치(羞恥) [부수]辰(별진)
膺 가슴 응 1. 가슴, 흉부(胸部) 2. 마음, 심중(心中) 3. (가슴에 걸치는)갑옷 4. 뱃대끈(여자의 치마나 바지허리 위에 매는 끈) 5. 가까이하다 6. (마음속에)품다 7. 받다, 접수하다(接受--) 8. 맡다, 담당하다(擔當--) [부수]月(육달월)
服膺 복응 교훈(敎訓) 같은 것을 늘 마음에 두어 잊지 아니함. 가슴속에 품어 둠
戚 친척 척,근심할 척,재촉할 촉 1. 친척(親戚), 일가(一家) 2. 겨레 3. 도끼 4. 두꺼비(두꺼빗과의 양서류) 5. 악기(樂器)의 이름 6. 가깝다, 가까이하다 7. 친하다(親--), 친하게 지내다 8. 근심하다(속을 태우거나 우울해하다), 염... [부수]戈(창과)
醮 제사 지낼 초 1. 제사(祭祀)를 지내다 2. 빌다, 기원하다(祈願--) 3. (술을)따르다 4. (술을)권하다(勸--) 6. 야위다, 수척하다(瘦瘠--) 7. 다하다, 다 없어지다 [부수]酉(닭유)
疑 의심할 의,안정할 응 1. 의심하다(疑心--) 2. 헛갈리다 3. 믿지 아니하다 4. 미혹되다(迷惑--), 미혹시키다(迷惑---) 5. 두려워하다 6. 머뭇거리다, 주저하다(躊躇--) 7. 괴이(怪異)하게 여기다 8. 비기다(=擬) 9. 같다, 비슷하다... [부수]疋(짝필)
刦 겁탈할 겁 1. 겁탈하다(劫奪--) 2. 으르다(무서운 말이나 행동으로 위협하다), 위협하다(威脅--) 3. 강도(強盜) 4. 겁(劫: 어떤 시간의 단위로도 계산할 수 없는 무한히 긴 시간) 5. 서두르는 모양 6. 층계(層階),... [부수]刂(선칼도방)
請 청할 청 1. 청하다(請--) 2. 바라다 3. 부르다 4. 청탁하다(請託--) 5. 묻다 6. 뵈다 7. 청컨대 [부수]言(말씀언)
畏 두려워할 외 1. 두려워하다 2. 경외하다(敬畏--) 3. 꺼리다 4. 심복하다(心服--: 마음속으로 기뻐하며 성심을 다하여 순종하다) 5. 조심하다 6. 으르다(무서운 말이나 행동으로 위협하다), 위협하다(威脅--) 7. 죽다... [부수]田(밭전)
寇 도적 구 1. 도적(盜賊: 도둑) 2. 떼도둑 3. 외적 4. 원수(怨讐) 5. 난리(亂離) 6. 병기(兵器) 7. 성(姓)의 하나 8. 약탈하다(掠奪--) 9. 침범하다(侵犯--) 10. 노략질하다(擄掠---) 11. 해치다(害--) 12. 쳐들어오다... [부수]宀(갓머리)
盜 도둑 도 1. 도둑 2. 비적(匪賊: 떼지어 다니는 도적) 3. 도둑질 4. 훔치다 [부수]皿(그릇명)
疏 소통할 소 1. 소통하다(疏通--) 2. 트이다 3. 드물다 4. 성기다(물건의 사이가 뜨다) 5. 깔다 6. 멀어지다 7. 멀다 8. 새기다 9. 상소하다(上訴--: 상급 법원에 재심을 요구하다) 10. 빗질 11. 주석(註釋) 12. 채소(菜蔬) [부수]疋(짝필)
遺忘 잊어버림
遺 남길 유,따를 수 1. 남기다, 남다 2. 끼치다, 전하다(傳--) 3. 잃다 4. 버리다, 유기하다(遺棄--) 5. 잊다 6. 두다, 놓다 7. 떨어지다, 떨어뜨리다 8. 빠지다, 빠뜨리다 9. 쇠퇴하다(衰退ㆍ衰頹--) 10. 빠르다 11. 더하다,... [부수]辶(책받침)
察 살필 찰 1. 살피다 2. 알다, 살펴서 알다 3. 상고하다(詳考--) 4. 자세하다(仔細ㆍ子細--), 밝고 자세하다 5. 조사하다(調査--), 생각하여 보다 6. 드러나다, 널리 알려지다 7. 깨끗하다, 결백하다(潔白--) 8.... [부수]宀(갓머리)
單 홑 단,오랑캐 이름 선 1. 홑, 하나 2. 오직, 다만 3. 혼자 4. 참, 정성(精誠) 5. 참으로 6. 한 벌의 옷 7. 큰 모양 8. 단자(單子: 물목이나 사실을 죽 벌여 적은 종이) 9. 모두, 죄다 10. 외롭다 11. 복잡(複雜)하지 않다 12.... [부수]口(입구)
繚1. 감기다 2. 두르다 3. 비틀다 4. 묶다 5. 다스리다 6. 사람의 이름 [부수]糹(실사변)
(참조 : http://www.yetgle.com/2jangja.htm 옛글닷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