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w To Season A Cast Iron Skillet

What You Need

Materials

Cast iron skillet

Dish soap

Sponge or stiff brush

Clean, dry cloth or paper towels

Vegetable oil or shortening (or other oil of your choice)


Equipment

Oven


Instructions

1. Preheat oven to 325°F.


2. Wash the skillet with warm, soapy water and a sponge or stiff brush. Cast iron should not normally be washed with soap, but it's fine here since the pan is about to be seasoned.


3. Rinse and thoroughly dry the skillet.


4. Using a cloth or paper towel, apply a thin coat of vegetable oil or melted shortening to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skillet. Vegetable oil and shortening are the most commonly recommended oils used for seasoning, but according to Lodge, you can use any oil of your choice.


5. Place the skillet upside down on the oven's center rack.


6. Place a sheet of aluminum foil below the rack to catch any drips.


7. Bake for an hour.


8. Turn off heat and allow to the skillet to cool completely before removing from oven.


Additional Notes: A seasoned skillet is smooth, shiny, and non-stick. You'll know it's time to re-season if food sticks to the surface or if the skillet appears dull or rusted.

莊子(雜篇) ; 第28篇 讓王 4


291` 근심을 만들어 삶을 손상시키지 마라 (잡편:28.양왕,4) 

- 장자(잡편) ; 제28편 양왕[4]- 

한나라와 위나라가 서로 다투다가 상대방의 영토를 침략했다. 자화자가 소희후를 만나보니 소희후는 근심하는 빛을 띠고 있었다. 자화자가 말했다. 

“지금 가령 천하 사람들이 임금님 앞에 계약서를 제출했다고 합시다. 계약서의 문구에는 「왼손으로 이것을 잡는 사람은 오른손이 없어진다. 오른쪽 손으로 이것은 잡는 사람은 왼손이 없어진다. 그러나 이것을 잡는 사람은 반드시 천하를 차지하게 될 것이다」라고 써 있습니다. 임금님은 그 계약서를 잡을 수 있으시겠습니까?” 

소희후가 말했다. “잡지 않을 것입니다.” 

자화자가 말했다. “좋습니다. 그렇게 본다면 두 팔은 천하보다도 중요한 것입니다. 몸은 또한 두 팔보다도 중합니다. 그리고 한나라는 천하에 비하여 훨씬 더 가볍습니다. 지금 다투시고 있는 땅은 한나라보다도 또 훨씬 가벼운 것입니다. 그런데 임금님께서는 자신이 근심을 안고 삶을 손상시키면서까지 그것을 얻지 못해 걱정하고 계십니다.” 

소희후가 말했다. 

“훌륭한 말씀입니다. 나에게 가르침을 준 사람들은 많지만 이런 말을 듣지는 못했습니다.” 

자화자는 일의 가볍고 무거운 평가를 올바로 알았었다고 할 수 있다. 


- 莊子(雜篇) ; 第28篇 讓王[4]- 

韓魏相與爭侵地. 子華子見昭僖侯, 昭僖侯有憂色. 子華子曰:「今使天下書銘於君之前, 書之言曰:‘左手攫之則右手廢, 右手攫之則左手廢, 然而攫之者必有天下.’ 君能攫之乎?」 

昭僖侯曰:「寡人不攫也.」 

子華子曰:「甚善! 自是觀之, 兩臂重於天下也, 身又重於兩臂. 韓之輕於天下亦遠矣, 今之所爭者, 其輕於韓又遠. 君固愁身傷生以憂戚之不得也!」 

僖侯曰:「善哉! 敎寡人者衆矣, 未嘗得聞此言也.」 子華子可謂知輕重矣. 

(한위상여쟁침지. 자화자견소희후, 소희후유우색. 자화자왈:[금사천하서명어군지전, 서지언왈:[좌수확지즉우수폐, 우우확지즉좌수폐, 연이확지자필유천하.’ 군능확지호?]

소희후왈:[과인불확야.]

자화자왈:[심선! 자시관지, 양비중어천하야, 신우중어양비. 한지경어천하역원의, 금지소쟁자, 기경어한우원. 군고수신상생이우척지부득야!]

희후왈:[선재! 교과인자중의, 미상득문차언야,] 자화자가위지경중의.)


侵 침노할 침  1. 침노하다(侵擄--: 불법으로 침범하다) 2. 범하다(犯--), 어기다 3. 엄습하다(掩襲--) 4. 흉년(凶年) 들다 5. 버리다 6. 초라하다, (용모가)추하다(醜--) 7. 차츰, 조금씩 8. 흉년(凶年) [부수]亻(사람인변)

昭 밝을 소,비출 조  1. 밝다 2. 밝게 빛나다 3. 밝히다, 분명(分明)하게 하다 4. 나타내다 5. 돕다, 인도하다(引導--) 6. 부지런히 힘쓰다 7. 신주치레(神主--: 높은 벼슬 이름이 쓰인 신주를 특별히 모심) 8. 분명(分明)한... [부수]日(날일)

僖 기쁠 희  1. 기쁘다 2. 기뻐하다(=喜) 3. 즐겁다 4. 즐거워하다 5. 좋다 6. 좋아하다 7. 즐기다 8. 사랑하다 9. 기쁨 10. 즐거움 11. 행복(幸福) [부수]亻(사람인변)

銘 새길 명  1. 새기다 2. 기록하다(記錄--) 3. 조각하다(彫刻ㆍ雕刻--) 4. 명심하다(銘心--) 5. 금석(金石)에 새긴 글자 6. 문체(文體) 이름 [부수]金(쇠금)

攫 움킬 확,움킬 국  1. 움키다(놓치지 않도록 힘 있게 잡다) 2. 가로채다 3. 빼앗다 4. 당기다 a. 움키다(놓치지 않도록 힘 있게 잡다) (국) b. 가로채다 (국) c. 빼앗다 (국) d. 당기다 (국) [부수]扌(재방변)

愁  chóu, qiǎo, jiū 근심 수,모을 추  1. 근심, 시름 2. 근심하다(속을 태우거나 우울해하다), 시름겹다, 시름겨워하다 3. 얼굴빛을 바꾸다 4. 슬퍼하다 5. 원망하다(怨望--) 6. 괴롭히다 a. 모으다 (추) [부수]心(마음심)

戚 친척 척,근심할 척,재촉할 촉  1. 친척(親戚), 일가(一家) 2. 겨레 3. 도끼 4. 두꺼비(두꺼빗과의 양서류) 5. 악기(樂器) 이름 6. 가깝다, 가까이하다 7. 친하다(親--), 친하게 지내다 8. 근심하다(속을 태우거나 우울해하다), 염려... [부수]戈(창과)



(참조 : http://www.yetgle.com/2jangja.htm 옛글닷컴 )



莊子(雜篇) ; 第28篇 讓王 3


290` 삶은 번거롭게 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잡편:28.양왕,3) 

- 장자(잡편) ; 제28편 양왕[3]- 

월나라 사람이 삼대에 걸쳐 그들의 임금을 죽였다. 왕자인 수는 그것이 걱정되어 남산의 단혈로 도망쳤으므로 월나라에는 임금이 없게 되었다. 그래서 신하들이 왕자 수를 찾아 나섰으나 찾지 못하다가 간신히 단혈에서 그를 찾아냈다. 그러나 왕자 수는 단혈에서 나오려 하지 않았다. 월나라 사람들은 쑥을 굴 안에 넣고 불을 피워 연기를 내어 그를 나오게 하여 임금이 타는 수레에 태웠다. 왕자 수는 수레의 줄을 잡고 수레에 올라 하늘을 우러러보며 울부짖었다. 

“임금님이라니, 어째서 나를 놓아줄 수 없다는 것인가!” 

왕자 수는 임금이 되기가 싫었던 것이 아니라 임금노릇을 함으로써 생기는 환란이 싫었던 것이다. 왕자 수 같은 사람은 나라 때문에 자기 삶을 다치게 하지 않으려 했던 사람이라 할 수 있다. 그래서 월나라 사람들은 그를 찾아내어 임금으로 삼고자 했던 것이다


- 莊子(雜篇) ; 第28篇 讓王[3]- 

越人三世弑其君, 王子搜患之, 逃乎丹穴. 而越國無君, 求王子搜不得, 從之丹穴. 王子搜不肯出, 越人薰之以艾. 乘以王輿. 王子搜援綏登車, 仰天而呼曰:「君乎! 君乎! 獨不可以舍我乎!」 王子搜非惡爲君也, 惡爲君之患也. 若王子搜者, 可謂不以國傷生矣, 此固越人之所欲得爲君也. 

(월인삼세시기군, 왕자수환지, 도호단혈. 이월국무군, 구왕자수부득, 종지단혈. 왕자수불긍출, 월인훈지이애. 승이왕여. 왕자수원수등차, 앙천이호왈:[군호! 군호! 독불가이사아호!] 왕자수비악위군야, 악위군지환야. 약왕자수자, 가위불이국상생의, 차고월인지소욕득위군야.)


弑 윗사람 죽일 시  1. 윗사람을 죽이다 2. 죽이다 [부수]弋(주살익)

搜 찾을 수,어지러울 소  1. 찾다, 뒤지다 2. 탐구하다(探求--) 3. 가리다, 고르다 4. 많다 5. 빠르다 6. 쓸쓸하다, 드문드문하다 7. 움직이는 모양 8. 청랭(淸冷)한 모양 9. 가을 사냥 10. 사람 이름 a. 어지럽다 (소) b. 어지러워지다... [부수]扌(재방변)

患 근심 환  1. 근심, 걱정 2. 병(病), 질병(疾病) 3. 재앙(災殃) 4. 근심하다(속을 태우거나 우울해하다), 걱정하다, 염려하다(念慮--) 5. 미워하다 6. 앓다, 병에 걸리다 [부수]心(마음심)

肯 즐길 긍,뼈 사이의 살 개  1. 즐기다 2. 옳이 여기다 3. 들어주다 4. 수긍하다(首肯--) 5. 즐기어 하다 6. 감히(敢-) 7. 뼈에 붙은 살 8. 살이 붙지 않은 뼈 a. 뼈 사이의 살 (개) [부수]月(육달월)

薰 향초 훈  1. 향초(香草) 2. 향내(香-) 3. 교훈(敎訓) 4. 공(功), 공로(功勞) 5. 오랑캐 이름 6. 솔솔 불다 7. 태우다 8. 훈자하다(薰煮--: 태우고 삶다) 9. 향기롭다(香氣--) [부수]艹(초두머리)

艾 쑥 애,다스릴 예  1. 쑥, 약쑥 2. 미모(美貌) 3. 푸른빛 4. 늙은이 5. 햇수, 나이 6. 남색(男色: 비역. 사내끼리 성교하듯이 하는 짓) 7. 늙다 8. 다하다, 끝나다 9. 갚다, 보답하다(報答--) 10. 예쁘다 11. 기르다, 양... [부수]艹(초두머리)

輿 수레 여,명예 예  1. 수레 2. 가마(조그만 집 모양의 탈것) 3. 차상(車上: 타거나 물건을 싣는 수레 윗부분) 4. (수레를 모는)하인(下人) 5. 노비(奴婢) 6. 땅, 대지(大地) 7. 수레를 만드는 사람 8. 기본(基本) 9. 정기(旌旗:... [부수]車(수레거)

援 도울 원  1. 돕다 2. 당기다 3. 잡다 4. 매달리다 5. 구원하다(救援--) 6. 뽑다 7. 도움 [부수]扌(재방변)

綏 편안할 수  1. 편안하다(便安--) 2. 편안(便安)히 하다 3. 물러가다 4. 기의 장식(裝飾) 5. 끈, 줄 [부수]糸(실사)

固 굳을 고  1. 굳다, 단단하다 2. 굳어지다, 굳히다 3. 완고하다(頑固--), 고루하다(固陋--) 4. 우기다(억지를 부려 제 의견을 고집스럽게 내세우다) 5. 독점하다(獨占--) 6. 가두다, 감금하다(監禁--) 7. 진압하...[부수]囗(큰입구몸)



(참조 : http://www.yetgle.com/2jangja.htm 옛글닷컴 )



莊子(雜篇) ; 第28篇 讓王 2


289` 백성을 위하여 백성을 해치지 마라 (잡편:28.양왕,2) 

- 장자(잡편) ; 제28편 양왕[2]- 

주나라의 대왕단부가 빈에 살고 있을 때, 적인들이 공격을 해 왔다. 대왕단부는 전쟁을 피하려고, 그들에게 가죽과 비단을 바치며 달랬으나 듣지 않았다. 그들에게 개와 말을 주며 달래어도 듣지 않았다. 그들에게 진주와 구슬을 주며 달래어도 듣지 않았다. 적인들이 바라는 것은 땅이었다. 그래서 대왕단부가 말했다. 

“남의 형과 함께 살면서 그의 아우를 죽이거나, 남의 아버지와 함께 살면서 그의 자식을 죽이는 일을 나는 차마 못하겠다. 그대들은 모두가 힘써 여기에서 잘 살아라. 내 신하가 되는 것과 적인들의 신하가 되는 것이 무엇이 다르겠느냐? 내가 듣건대 백성들을 보양하는데 쓰이는 물건을 위해 보양할 백성들을 해치지 않는 법이라 했다.” 

그리고는 지팡이를 짚고서 그 곳을 떠났다. 백성들은 줄을 지어 그를 따라가서 마침내 기산 아래 이르러 새로운 나라를 세웠다. 대왕단부 같은 이는 삶을 존중할 줄 안다고 말 할 수 있다. 삶을 존중할 줄 아는 사람은 비록 존귀하고 부하다 하더라도 몸을 보양하는 수단을 위해 자신을 손상시키지 않는다. 비록 가난하고 천하다 하더라도 이익을 위해 육체에 해를 끼치지 않는다. 

지금 세상사람들은 높은 벼슬과 존귀한 지위에 있는 사람이라도 모두가 그것을 잃는 것을 중시한다. 그래서 이익을 보기만 하면 가벼이 그 자신을 파멸시키고 있으니 어찌 미혹된 것이 아니겠는가? 

- 莊子(雜篇) ; 第28篇 讓王[2]- 

大王亶父居邠, 狄人攻之. 事之以皮帛而不受, 事之以犬馬而不受, 事之以珠玉而不受, 狄人之所求者土地也. 大王亶父曰:「與人之兄居而殺其弟, 與人之父居而殺其子, 吾不忍也. 子皆勉居矣! 爲吾臣與爲狄人臣奚以異! 且吾聞之, 不以所用養害所養.」 因杖筴而去之. 民相連而從之, 遂成國於岐山之下. 夫大王亶父, 可謂能尊生矣. 能尊生者, 雖貴富不以養傷身, 雖貧賤不以利累形. 今世之人居高官尊爵者, 皆重失之, 見利輕亡其身, 豈不惑哉! 

(대왕단부거빈, 적인공지. 사지이피면이불수, 사지이견마이불수, 사지이주옥이불수, 적인지소구자사지야. 대왕단부왈:[여인지형거이살기제, 여인지부거이살기자, 오불인야. 자개면거의! 위오신여위적인신해이이! 차오문지, 불이소용양해소야.] 인장협이거지. 민상련이종지, 수성국어기산지하. 부대왕단부, 가위능존생의. 능존생자, 수귀부불이양상신, 수빈천불이리루형. 금세지인거고관존작자, 개중실지, 견리경망기신, 기불혹재!)


邠 나라 이름 빈  1. 나라의 이름 2. 땅의 이름 3. 성(姓)의 하나 4. (문채가)빛나다 [부수]阝(우부방)

狄 오랑캐 적  1. 오랑캐, 북방(北方) 오랑캐 2. 악공(樂工), 낮은 관리(官吏) 3. 아전(衙前: 조선 시대(時代)에, 중앙과 지방의 관아에 속한 구실아치) 4. 꿩의 깃 5. 뛰는 모양 6. 사악하다(邪惡--) 7. 깎다, 도려내다... [부수]犭(개사슴록변)

杖 지팡이 장  1. 지팡이 2. 몽둥이 3. 장형(杖刑: 죄인의 볼기를 큰 형장으로 치던 형벌) 4. 창(槍) 자루(끝에 달린 손잡이) 5. 짚다 6. 때리다 7. 의지하다(依支--) 8. 잡다 [부수]木(나무목)

筴 낄 협,점대 책  1. 끼다 2. 집다 3. 기뻐하다 4. 집게 a. 점대(占-: 점을 치는 데에 쓰는 댓가지) (책) b. 대쪽 (책) c. 계책(計策) (책) d. 꾀 (책) e. 꾀하다 (책) [부수]竹(대죽)

岐 갈림길 기  1. 갈림길 2. 산(山) 이름 3. 날아가는 모양 4. 자라나는 모양 5. 지각이 드는 모양 6. 갈래짓다 7. 높다 8. 울퉁불퉁하다 [부수]山(뫼산)

豈 어찌 기,개가 개  1. 어찌 2. 어찌하여 3. 그(=其) a. 개가(凱歌) (개) b. 승전악(勝戰樂) (개) c. 화락하다(和樂--: 화평하게 즐기다) (개) [부수]豆(콩두)



(참조 : http://www.yetgle.com/2jangja.htm 옛글닷컴 )



莊子(雜篇) ; 第28篇 讓王 1


288` 외물에 끌려 자기 삶을 어지럽히지 마라 (잡편:28.양왕,1) 

- 장자(잡편) ; 제28편 양왕[1]- 

요가 천하를 허유에게 물려주려 하였으나 허유가 받지 않았다. 다시 자주지부에게 물려 주려하니 자주지부가 말했다. 

“저를 천자로 삼아주시겠다니 좋기는 합니다만, 저는 마침 심한 우울증에 걸려 있어 치료하고 있는 중입니다. 천하를 다스릴 만한 겨를이 없습니다.” 

천하가 지극히 귀중한 것이기는 하나 그렇다고 그것 때문에 자기의 삶을 손상시킬 수는 없는 것이다. 하물며 다른 사물이야 말할 것이 있겠는가? 오직 천하를 아무렇지도 않게 생각하는 사람에게만 천하를 맡길 수 있는 것이다. 

순이 천하를 자주지백에게 맡기려하니 자주지백이 말했다. 

“제가 마침 심한 우울증에 걸려 있어서 병을 고치고 있는 중입니다. 천하를 다스릴 만한 겨를이 없습니다.” 

본래 천하란 큰그릇이기는 하지만 그것으로 자기의 목숨과 바꾸지는 앉겠다는 것이다. 이것이 도를 터득한 사람과 세속적인 사람과의 차이이다. 

순이 천하를 선권에게 물려주려 하니 선권이 말했다. 

“저는 이 우주 안에 서서, 겨울에는 털옷을 입고, 여름에는 칡·베옷을 입으며, 봄이면 땅을 갈아 씨를 뿌리고, 몸은 일하기에 족할 만큼 튼튼하며, 가을에는 곡식을 거둬들여 몸을 편히 쉬게 할 수 있습니다. 해가 뜨면 나가 일하고 해가 지면 집에 돌아와 쉬면서, 천지사이를 유유히 소요하며 마음은 한가롭게 자득하고 있습니다. 어찌 천하 따위를 일삼겠습니까? 슬프게도 당신은 나를 이해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마침내 그는 천하를 받지 않고 나라를 떠나 깊은 산 속으로 들어갔는데, 그가 있는 곳을 알 수가 없었다. 

순이 천하를 그의 벗인 석호의 농부에게 물려주려 하니 석호의 농부가 말했다. 

“부지런도 하시군. 당신도 꽤나 억척스런 사람이야.” 

그는 순의 덕이 지극하지 못하다고 여겼던 것이다. 그리하여 부부가 손을 잡고 자식들을 이끌고 바다 속의 섬으로 들어가 평생 돌아오지 않았다. 


- 莊子(雜篇) ; 第28篇 讓王[1]- 

堯以天下讓許由, 許由不受. 又讓於子州支父, 子州支父曰:「以我爲天子, 猶之可也. 雖然, 我適有幽憂之病, 方且治之, 未暇治天下也.」 夫天下至重也, 而不以害其生, 又况他物乎! 唯无以天下爲者, 可以托天下也. 

舜讓天下於子州支伯. 子州支伯曰:「予適有幽憂之病, 方且治之, 未暇治天下也.」 故天下大器也, 而不以易生, 此有道者之所以異乎俗者也. 

舜以天下讓善卷, 善卷曰:「余立於宇宙之中, 冬日衣皮毛, 夏日衣葛絺. 春耕種, 形足以勞動. 秋收斂, 身足以休食. 日出而作, 日入而息, 逍遙於天地之間而心意自得. 吾何以天下爲哉! 悲夫, 子之不知余也!」 遂不受. 於是去而入深山, 莫知其處. 

舜以天下讓其友石戶之農, 石戶之農曰:「捲捲乎后之爲人, 葆力之士也!」 以舜之德爲未至也, 於是夫負妻戴, 攜子以入於海, 終身不反也. 

(요이천하양허유, 허유불수. 우양어자주지부, 자주지부왈:[이아위천자, 유지가야. 수연, 아적유우지병, 방차치지, 미가치천하야.] 부천하지중야, 이불이해기생, 우황타물호! 유무이천하위자, 가이탁천하야.

순양천하어자주지백. 자주지백왈:[여적유유우지병, 방차치지, 미가치천하야.] 고천하대기야, 이불이역생, 차유도자지소이이호속자야.

순이천하양선권, 선권왈:[여립어우주지중, 동일의피모, 하일의갈치. 춘경종, 형족이노동. 추수렴, 신족이휴식. 일출이작, 일입이식, 소요어천지지간이심의자득. 오하이천하위재! 비부, 자지부지여야!] 수불수. 어시거이입심산, 막지기처.

순이천하양기우석호지농, 석호지농왈:[권권호후지위인, 보력지사야!] 이순지덕위미지야, 어시부부처재, 휴자이입어해, 종신불반야.)


讓 사양할 양  1. 사양하다(辭讓--) 2. 양보하다(讓步--) 3. 겸손하다(謙遜ㆍ謙巽--) 4. 넘겨주다 5. 꾸짖다 [부수]言(말씀언)

幽 그윽할 유,검을 유  1. 그윽하다 2. 멀다, 아득하다 3. 깊다 4. 조용하다, 고요하다 5. 어둡다, 밝지 아니하다 6. 가두다, 갇히다 7. 피하여 숨다 8. 검다 9. 귀신(鬼神), 초현실적(超現實的)인 것 10. 저승 11. 어두운 곳... [부수]幺(작을요)

托  tuō (tuō) 맡길 탁  1. 맡기다, 의탁하다(依託ㆍ依托--) 2. 부탁하다(付託--), 위임하다(委任--) 3. 밀다, 손으로 밀어서 열다 4. 의지하다(依支--) 5. 받치다 6. 받침, 대 [부수]扌(재방변)

余 나 여,남을 여  1. 나 2. 나머지(=餘) 3. 나머지 시간(時間) 4. 여가(餘暇) 5. 여분 6. 정식 이외의 7. 다른 8. 남다 9. 남기다 [부수]人(사람인)

葛 gé, gě (gé) 칡 갈  1. 칡(콩과의 낙엽 활엽 덩굴성 식물) 2. 갈포(葛布: 칡 섬유로 짠 베) 3. 나라의 이름 4. 성(姓)의 하나 5. (가리어)덮다 [부수]艹(초두머리)

絺 칡베 치  1. 칡베(칡의 섬유로 짠 고운 베) 2. 성(姓)의 하나 3. 바느질하다 4. 수놓다(繡--) [부수]糸(실사)

耕 밭 갈 경  1. 밭을 갈다 2. (농사에)힘쓰다, 농사짓다(農事--) 3. 노력하다(努力--) 4. 생계(生計)를 꾸리다 5. 경적(耕籍: 임금이 신하를 거느리고 적전(籍田)을 갈던 일) 6. 농사(農事) [부수]耒(가래뢰)

斂 거둘 렴,거둘 염  1. 거두다 2. 넣다, 저장하다(貯藏--) 3. 모으다 4. 감추다, 숨기다 5. 염하다(殮--) 6. 장사지내다(葬事---) 7. 단속하다(團束--) 8. 오므리다 9. 험하다(險--) 10. 거의, 대략(大略) 11. 줄잡아 12.... [부수]攵(등글월문)

遂 드디어 수,따를 수  1. 드디어, 마침내 2. 두루, 널리 3. 도랑(매우 좁고 작은 개울), 수로(水路) 4. 이루다 5. 생장하다(生長--) 6. 끝나다 7. 가다, 떠나가다 8. 나아가다 9. 답습하다(踏襲--) 10. 오래되다 11. 멀다, 아득하다...[부수]辶(책받침)

捲 거둘 권,말 권  1. 거두다 2. 말다 3. 돌돌 감아 말다 4. 힘쓰다 5. 분발하다(奮發--: 마음과 힘을 다하여 떨쳐 일어나다) 6. 힘써 일하다 7. 용기(勇氣)를 내다 8. 주먹 9. 기세(氣勢: 기운차게 뻗치는 형세) 10. 힘쓰는... [부수]扌(재방변)

捲土重來 흙먼지를 날리며 다시 온다는 뜻으로,  ①한 번 실패(失敗)에 굴하지 않고 몇 번이고 다시 일어남  ②패한 자가 세력(勢力)을 되찾아 다시 쳐들어옴  ③한번 실패(失敗)하고 나서 다시 그 일에 도전(挑戰)함

葆 더부룩할 보  1. (풀이)더부룩하다 2. 보전하다(保全--) 3. 칭찬하다(稱讚--) 4. 뿌리 5. 움돋이 6. 깃으로 된 장식(裝飾) 7. 채소(菜蔬) 8. 포대기 9. 보배 10. 성채(城砦: 성과 요새를 아울러 이르는 말) [부수]艹(초두머리)

負 질 부  1. 지다, 짐지다 2. 떠맡다 3. 빚지다 4. 업다 5. 힘입다 6. (부상을)입다 7. 저버리다 8. 패하다(敗--) 9. 근심하다(속을 태우거나 우울해하다) 10. 짐 11. 지는 일 12. 빚 [부수]貝(조개패)

攜 이끌 휴  1. 이끌다 2. 끌다 3. 가지다 4. 들다, 휴대하다(携帶--) 5. 잇다, 연하다(連--: 잇닿아 있다) 6. 떨어지다 7. 흩어지다 [부수]扌(재방변)

攜手 손을 마주 잡는다는 뜻으로,  함께 감을 이르는 말. 데리고 감



(참조 : http://www.yetgle.com/2jangja.htm 옛글닷컴 )



莊子(雜篇) ; 第27篇 遇言  6


287` 뽐내는 마음을 버려야 올바른 도를 배울 수 있다 (잡편:27.우언,6) 명예` 자만심` 내세움` 

- 장자(잡편) ; 제27편 우언[6]- 

양자거가 남쪽 패땅으로 여행을 갔을 때, 노자도 서쪽으로 진나라 일대를 유람하고 있었다. 양자거는 패땅의 교외로 영접을 나가서, 양땅에 이르러 노자를 만났다. 

노자는 오는 도중에 하늘을 우러러 탄식하며 말했다. 

“처음에 나는 그대를 가르칠만하다고 생각했으나 지금 보니 안되겠다.” 

양자거는 대답도 하지 않고 숙사로 돌아와 세숫대야와 양치질 물과 수건과 빗을 노자에게 올린 다음, 문 밖에 신을 벗어놓고 무릎으로 걸어나가서 말했다. 

“조금 전에 저는 선생님께서 말씀하신 것에 대하여 여쭙고자 하였으나 선생님께서는 길가시기에 틈이 없으신 듯하여 감히 여쭙지 못했습니다. 지금은 한가하신 듯하니 그 까닭을 말씀해 주시겠습니까?” 

노자가 말했다. 

“그대는 눈을 치켜 부릅뜨고 있으니 누가 그대와 더불어 지내겠는가? 크게 결백한 사람은 더러운 것 같이 행동하고, 덕이 성대한 사람은 덕이 부족한 듯이 행동하는 것이다.” 

양자거는 송구스러운 듯이 얼굴빛을 바꾸면서 말했다. 

“가르침을 삼가 받들겠습니다.” 

전에는 같은 여관에서 묵는 사람들이 그를 마중하고 전송하였고, 여관 주인은 방석을 날라왔고, 주인의 처는 수건과 빗을 갖다 주었으며, 여관에 묵는 사람들은 그를 보면 자리를 피했고, 불을 때던 사람들도 그를 보면 아궁이 앞을 피해갔다. 그러나 그가 다시 돌아가자 여관에 묵는 사람들이 그와 자리를 다투면서 어울리게 되었다. 


- 莊子(雜篇) ; 第27篇 遇言[6]- 

陽子居南之沛, 老聃西遊於秦, 邀於郊, 至於梁而遇老子. 老子中道仰天而歎曰:「始以汝爲可敎, 今不可也.」 

陽子居不答. 至舍, 進盥漱巾櫛, 脫屨戶外, 膝行而前曰:「向者弟子欲請夫子夫子行不閒, 是以不敢. 今閒矣, 請問其過.」 

老子曰:「而睢睢盱盱, 而誰與居? 大白若辱, 盛德若不足.」 

陽子居蹴然變容曰:「敬聞命矣!」 

其往也, 舍者迎將, 其家公執席, 妻執巾櫛, 舍者避席, 煬者避竈. 其反也, 舍者與之爭席矣.

(양자거남지패, 노담서유어진, 요어교, 지어량이우노자. 노자중도앙천이탄왈:[시이여위가교, 금불가야.]

양자거부답. 지사, 진관수건즐, 탈구호외, 슬행이전왈:[향자제자욕청부자부자행불한, 시이불감. 금한의, 청문기과.]

노자왈:[이휴휴우우, 이수여거? 대백약욕, 성덕약부족.]

양자거축연변용왈:[경문명의!]

기왕야, 사자영장, 기가공집석, 처집건즐, 사자피석, 양자피조. 기반야. 사자여지쟁석의.)


沛 비 쏟아질 패,늪 패  1. (비가)쏟아지다 2. 내리다, 내려 주다 3. 물리치다, 배척하다(排斥--) 4. 넘어지다, 쓰러지다 5. 늪, 습지 6. 기, 깃발(旗-) 7. 성대(盛大)한 모양, 왕성(旺盛)한 모양 8. 성(盛)한 모양, 많은 모양... [부수]氵(삼수변)

邀 맞을 요  1. 맞다 2. 맞이하다 3. 만나다, 마주치다 4. 구하다(求--), 요구하다(要求--) 5. 부르다, 초래하다(招來--) [부수]辶(책받침)

郊 들 교  1. 들, 야외(野外) 2. 성(城) 밖 3. 근교(近郊) 4. 시골 5. 교통(交通)의 요충지(要衝地) 6. 천지(天地)의 제사(祭祀) 7. 교사(郊祀: 천지의 제사) 8. 교사(郊祀)를 지내다 9. (땅이)메마르다 10. 교활... [부수]阝(우부방)

梁 들보 양,들보 량  1. 들보(칸과 칸 사이의 두 기둥을 건너질러는 나무), 대들보 2. 나무다리(나무로 놓은 다리) 3. 교량(橋梁), 징검다리 4. 제방(堤防), 둑 5. 관골(顴骨: 광대뼈) 6. 양(모자 등에 가로로 둥긋하게 마루가... [부수]木(나무목)

盥 대야 관,깨끗할 관  1. 대야(둥글넓적한 그릇) 2. 강신제(降神祭: 내림굿) 3. 깨끗하다 4. 씻다 5. 양치질하다 [부수]皿(그릇명)

漱 양치질할 수  1. 양치질하다 2. 빨다(주물러서 때를 없애다), 빨래하다 3. 씻다 4. 헹구다 [부수]氵(삼수변)

巾 수건 건  1. 수건(手巾) 2. 헝겊, 피륙 3. 두건(頭巾) 4. 공포(功布: 관을 닦는 데 쓰는 삼베 헝겊) 5. 책을 넣어 두는 상자(箱子) 6. 덮다, 덮어 가리다 7. 입히다 [부수]巾(수건건)

櫛 빗 즐  1. 빗, 머리빗 2. 모닥불, 화톳불 3. 빗다, 빗질하다 4. 긁다 5. 늘어서다 6. 즐비하다 [부수]木(나무목)

屨 신 구  1. 신(발에 신는 물건을 통틀어 이르는 말) 2. 짚신 3. 가죽신 4. 신다 5. 자주 6. 여러 번 [부수]尸(주검시엄)

睢 물 이름 수,부릅떠 볼 휴  1. 물의 이름 2. 성(姓)의 하나 a. (눈을)부릅떠 보다 (휴) b. 사나운 눈으로 보다 (휴) c. 우러러보다 (휴) d. 헐뜯다 (휴) e. 비방하다(誹謗--) (휴) [부수]目(눈목)

盱 쳐다볼 우  1. 쳐다보다 2. (눈을)부릅뜨다 3. 확대하다(擴大--), 넓히다 4. 크다 5. 바라보다, 기다리다 6. 근심하다(속을 태우거나 우울해하다) 7. 기뻐하는 모양 8. 성(姓)의 하나 [부수]目(눈목)

辱 욕될 욕  1. 욕되다(辱--), 수치스럽다(羞恥---) 2. 더럽히다, 욕(辱)되게 하다 3. 모욕(侮辱)을 당하다(當--) 4. 욕보이다(辱---) 5. 무덥다 6. 황공하다(惶恐--) 7. 거스르다 8. 치욕(恥辱), 수치(羞恥)[부수]辰(별진)

蹴 찰 축  1. (발로)차다 2. 밟다 3. 감축하다(減縮--), 줄이다 4. 다가가다 5. 쫓다, 뒤쫓다 6. 삼가다(몸가짐이나 언행을 조심하다) 7. 불안(不安)해 하다 8. 공경(恭敬)하는 모양 [부수]𧾷(발족변)

煬 쬘 양  1. 쬐다 2. 태우다, 불사르다 3. (불길이)세차다 4. (불을)활활 때다 5. 밝게 비추다 6. (밥을)짓다 7. (덮어)가리다 8. (쇠가)녹다, 녹이다 [부수]火(불화)

避 피할 피  1. 피하다(避--) 2. 벗어나다, 면하다(免--) 3. 회피하다(回避--) 4. 떠나다, 가다 5. 물러나다 6. 숨다, 감추다 7. 꺼리다 [부수]辶(책받침)

竈 부엌 조  1. 부엌 2. 부엌 귀신(鬼神) 3. 조왕신(竈王神) [부수]穴(구멍혈) 灶 부엌 조 (통자)灶 부엌 조 (간자)䆴 부엌 조 (동자)竃 부엌 조 (동자)



(참조 : http://www.yetgle.com/2jangja.htm 옛글닷컴 )



어젯밤 토론에 나왔던 전원책 변호사...
어쩌면 현재 이 땅에 무지렁이 궁민들 딱 그 수준이 아닌가 싶기도 하다. 화가 치밀기도 하면서 연민의 감정도 동시에 느껴진다. 밀치면 안된다. 이런 사람도 감복시키면서 품에 안고 밝은 세상으로 가는 거인이 나왔으면 좋겠다.


감쪽같이 사라진 꿩에 대한 추측

1. 지역 검역 수의사 : 아마도 동네 고양이가 물어 갔을 듯

2. 공사직원 : 누군가 먹으려고 가져 갔을지도

3. 십장님 : 아마도 약 같은 거 먹고 기절했다가 깨어나서 날아 갔을런지

4. 나 : 주변에 맴도는 매를 본 적이 있는데 아마도 






2017. 1. 3.


莊子(雜篇) ; 第27篇 遇言  5


286` 사람은 의지하는 대상이 없어야 한다 (잡편:27.우언,5) 

- 장자(잡편) ; 제27편 우언[5]- 

여러 망양(罔兩)들이 그림자에게 물었다. 

“당신은 조금 전에는 몸을 굽히고 있었는데 지금은 젖히고 있고, 조금 전에는 머리를 묶고 있었는데 지금은 흩뜨리고 있으며, 조금 전에는 앉아 있었는데 지금은 일어나 있고, 조금 전에는 걷고 있었는데 지금은 멈춰 서 있습니다. 어째서입니까?” 

그림자가 말했다. “어째서 그런 쓸데없는 것을 묻는 것입니까? 나는 존재하고 있지만 그 까닭을 알지 못합니다. 나는 매미 껍질이나 뱀의 껍질과 비슷한 것입니다. 그러나 그것들과 비슷하면서도 형체가 없으니, 다른 것입니다. 불과 햇볕 앞에서는 나는 이루어지지만, 그늘이나 밤에는 사라집니다. 불과 해는 내가 의지하는 대상입니다. 그러니 하물며 의지하는 대상이 없을 수 있겠습니까? 그것들이 오면 나도 따라서 오고, 그것들이 가버리면 나도 따라서 가버립니다. 그것들이 움직이면 나도 따라서 움직입니다. 움직이는 것에 대하여 어찌해서 나에게 묻는 것입니까?” 


- 莊子(雜篇) ; 第27篇 遇言[5]- 

罔兩問於景曰:「若向也俯而今也仰, 向也括撮而今也被髮, 向也坐而今也起, 向也行而今也止, 何也?」 

景曰:「搜搜也, 奚稍問也! 予有而不知其所以. 予, 蜩甲也, 蛇蛻也, 似之而非也. 火與日, 吾屯也. 陰與夜, 吾代也. 彼吾所以有待邪? 而況乎以无有待者乎! 彼來則我與之來, 彼往則我與之往, 彼强陽則我與之强陽. 强陽者又何以有問乎!」 

(망양문어영왈:[약향야부이금야앙, 향야괄촬이금야피발, 향야좌이금야기, 향야행이금야지, 하야?]

영왈:[수수야, 해초문야! 여유이부지기소이. 여, 조갑야, 사태야, 사지이비야. 화여일, 오둔야. 음여야, 오대야. 피오소이유대야? 이황호이무유대자호! 피래즉아여지래, 피왕즉아여지왕, 피강양즉아여지강음. 강음자우하이유문호!])


罔 그물 망,없을 망  1. 그물 2. 포위망(包圍網) 3. 계통(系統) 4. 조직(組織) 5. 없다 6. 속이다 7. 말다 8. (사리에)어둡다 9. 근심하다(속을 태우거나 우울해하다) 10. 넘보다 11. 멍하다 12. 엮다 13. 얽다 14. 그물질하다 [부수]㓁(그물망)

兩 두 량,두 양,냥 냥,냥 양  1. 두, 둘 2. 짝, 쌍 3. 두 쪽 4. 동등(同等)한 것 5. 기량(技倆ㆍ伎倆), 기능(機能) 6. 수레를 세는 단위(單位). 50승(乘) 7. 대(隊: 편제 단위. 25인) 8. 무게의 단위(單位) 9. 필(길이의 단위) 10.... [부수]入(들입)

景 볕 경,그림자 영  1. 볕, 햇빛, 햇살 2. 해, 태양(太陽) 3. 경치(景致), 풍치(風致), 풍물(風物) 4. 바람 이름 5. 남풍(南風), 온화한 바람 6. 환하다, 빛나다 7. 경사스럽다(慶事---), 상서롭다(祥瑞--) 8. 우러러보다,... [부수]日(날일)

向 향할 향,성씨 상  1. 향하다(向--) 2. 나아가다 3. 길잡다 4. 바라보다 5. 대하다(對--) 6. 대접(待接)을 받다 7. 누리다 8. 권하다(勸--) 9. 흠향하다(歆饗--) 10. 메아리 치다 11. 제사(祭祀) 지내다 12. 방향(方向) 13.... [부수]口(입구)

俯 구부릴 부  1. 구부리다 2. (고개를)숙이다 3. 눕다, 드러눕다 4. 숨다, 잠복하다 5. 가지런하지 아니하다 [부수]亻(사람인변)

仰 우러를 앙  1. 우러러보다, 경모하다(景慕--), 앙모하다(仰慕--) 2. 의지하다(依支--), 의뢰하다(依賴--) 3. 머리를 쳐들다 4. 높다 5. 마시다 6. 명령(命令) [부수]亻(사람인변)

括 묶을 괄  1. 묶다, 동여매다(두르거나 감거나 하여 묶다) 2. 담다, 담아서 싸다 3. 찾다, 찾아내다 4. 궁구하다(窮究--: 파고들어 깊게 연구하다) 5. 모이다, 모여들다 6. 이르다(어떤 장소나 시간에 닿다), 다다르다... [부수]扌(재방변)

撮 모을 촬,사진 찍을 촬  1. 모으다, 취합하다(聚合--) 2. (사진을)찍다 3. 빼내다, 골라내다 4. (손가락으로)집다 5. 취하다(取--) 6. 자밤(손가락 끝으로 집을 만한 분량) 7. 취포관(緇布冠: 검은 베로 만든 관) a. 수레 이름... [부수]扌(재방변)

被髮 ①머리를 풀어헤침  ②친상(親喪) 때에 머리를 풂. 수시(收屍)한 뒤부터 성복(成服)하기 전까지 함

被 입을 피  1. (옷을)입다 2. 당하다(當--) 3. 씌우다, 덮다 4. 미치다(영향이나 작용 따위가 대상에 가하여지다), 닿다 5. 더하다, 베풀다(일을 차리어 벌이다, 도와주어서 혜택을 받게 하다) 6. 받다, 받아 가지다... [부수]衤(옷의변)

髮 터럭 발  1. 터럭(몸에 난 길고 굵은 털) 2. 머리털 3. 초목(草木) 4. 메마른 밭 5. 모래땅 6. 줄기 7. (머리털을)기르다 [부수]髟(터럭발)

搜 찾을 수,어지러울 소  1. 찾다, 뒤지다 2. 탐구하다(探求--) 3. 가리다, 고르다 4. 많다 5. 빠르다 6. 쓸쓸하다, 드문드문하다 7. 움직이는 모양 8. 청랭(淸冷)한 모양 9. 가을 사냥 10. 사람 이름 a. 어지럽다 (소) b. 어지러워지다... [부수]扌(재방변)

奚 어찌 해  1. 어찌, 왜 2. 무슨, 어떤 3. 어디, 어디에서 4. 무엇 5. 어느 곳 6. 종, 하인(下人) 7. 종족(種族) 이름 [부수]大(큰대)

稍 점점 초,끝 초,구실 소  1. 점점, 점차, 차츰차츰 2. 이미, 벌써 3. 약간 4. 자못, 매우, 심히 5. 우연히(偶然-) 6. 문득, 갑자기 7. 바야흐로 8. 다만 9. 적다 10. 작다 11. 끝, 말단(末端) 12. 벼 줄기 끝 13. 녹봉(祿俸: 벼슬아치에게... [부수]禾(벼화)

蜩甲  선퇴(蟬退)

蜩 쓰르라미 조  1. 쓰르라미(매밋과에 속하는 곤충) 2. 매미 3. 꿈틀거리다 [부수]虫(벌레훼)

甲 갑옷 갑,친압할 압  1. 갑옷 2. 딱지(몸을 싸고 있는 단단한 껍데기) 3. 껍질 4. 첫째 5. 아무개(이름 대용) 6. 손톱 7. 첫째 천간(天干) 8. 첫째 가다 9. 싹트다 a. 친압하다(親狎--: 버릇없이 너무 지나치게 친하다) (압) [부수]田(밭전)

蛇 긴 뱀 사,구불구불 갈 이  1. 긴 뱀 2. 자벌레 3. 별 이름 a. 구불구불 가다 (이) b. 느긋하다, 자유롭다 (이) c. (생각이)천박하다(淺薄--), 얕다 (이) d. 구불구불 가는 모양 (이) [부수]虫(벌레훼)

蛻  허물 세,허물 태  1. 허물 2. 허물 벗다 3. 벗어버리다 4. 신선(神仙)이 되는 일 a. 허물 (태) b. 허물 벗다 (태) c. 벗어버리다 (태) d. 신선(神仙)이 되는 일 (태) [부수]虫(벌레훼)

屯 진 칠 둔,어려울 준  1. 진치다, 수비하다(守備--) 2. 진, 병영(兵營) 3. 언덕, 구릉 a. 어렵다 (준) b. 많다, 무리를 이루다 (준) c. 견고하다(堅固--), 험난하다(險難--) (준) d. 태초(太初) (준) e. 괘(卦) 이름 (준) [부수]屮(왼손좌)

待 기다릴 대  1. 기다리다 2. 대비하다(對備--), 갖추어 놓고 기다리다 3. 대접하다(待接--), 대우하다(待遇--) 4. 모시다, 시중들다 5. 돕다, 거들다 6. 의지하다(依支--), 기대다 7. 더하다, 더해 주다 8. 저축하... [부수]彳(두인변)



(참조 : http://www.yetgle.com/2jangja.htm 옛글닷컴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