莊子(雜篇) ; 第26篇 外物  10


280` 일의 성과는 조건이 알맞을 때 나타난다 (잡편:26.외물,10) 


- 장자(잡편) ; 제26편 외물[10]- 

덕은 명성을 추구하는 데서 잃게 되고, 명성은 자기를 드러내는 데서 망치게 된다. 책모는 다급한 데서 생각하게 되고, 지혜는 다툼에서 나오는 것이다. 삶의 보호는 자신의 관능을 지키는 데서 이루어지고, 일의 성과는 모든 조건이 알맞을 때 나타난다. 

봄에 비가 오고 날씨가 따뜻해지면 풀과 나무들이 무성해지며, 밭 갈고 김 매는 일도 여기에서 비롯된다. 풀과 나무는 가꾸지 않아도 잘 자라나는데, 왜 그렇게 되는지는 알지 못하는 것이다. 


- 莊子(雜篇) ; 第26篇 外物[10]- 

德溢乎名, 名溢乎暴, 謀稽乎誸, 知出乎爭, 柴生乎守, 官事果乎衆宜. 春雨日時, 草木怒生, 銚鎒於是乎始修, 草木之到植者過半而不知其然

(덕일호명, 명일호폭, 모계호현, 지출호쟁, 시생호수, 관사과호중의. 춘우일시, 초목로생, 조누어시호시수, 초목지도식자과반이부지기연.)


溢 넘칠 일  1. 넘치다 2. 가득 차다, 잠기다 3. 지나치다 4. 교만하다(驕慢--) 5. 타이르다 6. 삼가다(몸가짐이나 언행을 조심하다) 7. 드러나다 8. 왕성하다(旺盛--) 9. 홍수(洪水), 큰물(비가 많이 와서 강이나... [부수]氵(삼수변)

暴 사나울 폭,쬘 폭,사나울 포,앙상할 박  1. 사납다 2. 난폭하다(亂暴--) 3. 해치다 4. 모질다, 모질게 굴다 5. 세차다 6. 맨손으로 치다 7. 불끈 일어나다 8. 업신여기다 9. 조급하다(躁急--) 10. 갑자기 11. 쬐다 12. 따뜻하게 하다 13. 햇볕에... [부수]日(날일)

稽 상고할 계  1. 상고하다(詳考--), 조사하다(調査--) 2. 헤아리다 3. 논의하다(論議--), 상의하다(相議ㆍ商議--) 4. 묻다, 점을 치다 5. 셈하다, 세다 6. 견주다(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기 위하여 서로 대어 보다)... [부수]禾(벼화)

誸 급할 현  1. (말이)급하다(急--) 2. 굳건하고 바르다 [부수]言(말씀언)

衆 무리 중  1. 무리(모여서 뭉친 한 동아리) 2. 군신(群臣: 많은 신하), 백관(百官) 3. 백성(百姓), 서민(庶民) 4. 많은 물건(物件) 5. 많은 일 6. 차조(찰기가 있는 조) 7. 땅, 토지(土地) 8. 장마 9. 성(姓)의 하나...[부수]血(피혈)

宜 마땅 의  1. 마땅하다, 알맞다 2. 마땅히 ~하여야 한다 3. 화목하다(和睦--), 화순하다(和順--: 온화하고 양순하다) 4. 형편(形便)이 좋다, 사정이 좋다 5. 아름답다, 선미하다 6. 마땅히 7. 과연(果然), 정말 8.... [부수]宀(갓머리)

怒 성낼 로,성낼 노  1. 성내다, 화내다(火--) 2. 꾸짖다, 나무라다 3. 세차다, 기세(氣勢)가 오르다 4. 곤두서다 5. 힘쓰다, 떨쳐 일어나다 6. 성, 화 7. 기세(氣勢), 위세(位勢) 8. 가시 [부수]心(마음심)

銚 가래 조,냄비 요  1. 가래(흙을 파헤치거나 떠서 던지는 기구) 2. 냄비, 쟁개비(작은 냄비) 3. 성(姓)의 하나 4. 창(槍: 무기의 하나) 5. 깎다 6. 베다 a. 냄비, 쟁개비(작은 냄비) (요) b. 가래(흙을 파헤치거나 떠서 던지는... [부수]金(쇠금)

鎒 김맬 누  1. 김매다(논밭의 잡풀을 뽑아내다) 2. 없애다 3. 나쁜 일을 덜어 없애다 4. 호미(쇠로 만든 농기구) 5. 괭이(땅을 파거나 흙을 고르는 데 쓰는 농기구) [부수]金(쇠금)

修 닦을 수  1. 닦다, 익히다, 연구하다(硏究--) 2. 꾸미다, 엮어 만들다 3. 고치다, 손질하다 4. 다스리다, 정리하다(整理--) 5. 갖추다, 베풀다(일을 차리어 벌이다, 도와주어서 혜택을 받게 하다) 6. (도덕, 품... [부수]亻(사람인변)



(참조 : http://www.yetgle.com/2jangja.htm 옛글닷컴 )



莊子(雜篇) ; 第26篇 外物  9


279` 막히는 일 없이 자연에 순응해야 한다 (잡편:26.외물,9) 

- 장자(잡편) ; 제26편 외물[9]- 

눈이 잘 보이는 것을 밝다고 하고, 귀가 잘 들리는 것을 귀밝다고 하고, 코가 예민한 것을 냄새를 잘 맡는다고 하고, 입이 예민한 것을 맛을 잘 안다고 하고, 마음이 잘 통하는 것을 지혜롭다고 하고, 지혜가 잘 통하는 것을 덕이라고 한다. 

도라는 것도 막혀서는 안 되는 것이다. 막히면 숨이 막히게 되고, 숨이 막힌 것이 멈추지 않으면 사리에 어긋나게 되고, 사리에 어긋나면 여러 가지 폐해가 생겨나게 되는 것이다. 

물건 중에서도 지혜가 있는 것은 호흡을 한다. 그러나 그것이 성대해지지 않는 것은 하늘의 죄가 아니다. 하늘은 늘 뚫리게 하여 낮이고 밤이고 변함이 없다. 사람들 자신이 자기의 구멍을 스스로 일부러 막고 있는 것이다. 

뱃속의 태 안에도 넓은 공간이 있고, 마음에도 자연스럽게 노닐 공간이 있는 것이다. 집안에 빈 공간이 없으면 며느리와 시어머니가 서로 반목을 한다. 마음에 자연스럽게 노닐 공간이 없으면 여러 가지 정욕이 서로 다투게 된다. 

큰 숲 속이나 산 속 같은 곳이 사람들에게 좋게 생각되는 것은, 사람의 정신이 정욕을 견디어 내지 못하기 때문이다. 

- 莊子(雜篇) ; 第26篇 外物[9]- 

目徹爲明, 耳徹爲聰, 鼻徹爲顫, 口徹爲甘, 心徹爲知, 知徹爲德. 凡道不欲壅, 壅則哽, 哽而不止則跈, 跈則衆害生. 物之有知者恃息, 其不殷, 非天之罪. 天之穿之, 日夜无降, 人則顧塞其竇. 胞有重閬, 心有天遊. 室无空虛, 則婦姑勃谿, 心无天遊, 則六鑿相攘. 大林丘山之善於人也, 亦神者不勝. 

(목철위명, 이철위총, 비철위전, 구철위감, 심철위지, 지철위덕. 범도불욕옹, 옹즉경, 경이부지즉전, 전즉중해생. 물지유지자시식, 기불은, 비천지죄. 천지천지, 일야무강, 인즉고색기두. 포유중랑, 심유천유. 실무공허, 즉부고발혜, 심무천유, 즉육착상양, 대림구산지선어인야, 역신자불승.)


徹 통할 철  1. 통하다(通--) 2. 관통하다(貫通--) 3. 꿰뚫다 4. 뚫다 5. 벗기다 6. 다스리다 7. 버리다 8. 부수다 9. 거두다 10. 치우다 11. 구실(온갖 세납을 통틀어 이르던 말) 이름 [부수]彳(두인변)

顫 떨 전  1. 떨다 2. 떨리다 3. 진동하다(振動--) 4. 흔들리다 5. 와들와들 떨다 6. 놀라다 7. 머리 비뚤어지다 8. 냄새를 잘 맡다 [부수]頁(머리혈)

壅 막을 옹  1. 막다 2. 막히다, 메이다 3. 가리다, 숨기다 4. 북(식물의 뿌리를 싸고 있는 흙)을 돋우다(도드라지거나 높아지게 하다) 5. 구석지고 으슥한 곳 6. 장애물(障礙物) [부수]土(흙토)

哽 목멜 경  1. 목메다 2. 막히다 3. 더듬거리다 [부수]口(입구)

跈 밟을 전  1. 밟다 2. 머무르다 [부수]𧾷(발족변)

害 해할 해,어느 할,어찌 아니할 갈  1. 해하다(害--) 2. 거리끼다 3. 해롭다(害--) 4. 시기하다(猜忌--) 5. 훼방하다(毁謗--) 6. 방해하다(妨害--) 7. 해 8. 재앙(災殃) 9. 요새 10. 손해(損害) a. 어느 (할) b. 어찌 (할) [부수]宀(갓머리)

恃 믿을 시,어머니 시  1. 믿다, 의지하다(依支--) 2. 의뢰하다(依賴--) 3. 자부하다(自負--) 4. 어머니(≠怙) [부수]忄(심방변)

殷 성할 은,은나라 은,검붉은빛 안  1. 성하다(盛--: 기운이나 세력이 한창 왕성하다) 2. 많다 3. 부유하다(富裕--), 가멸다(재산이 넉넉하고 많다) 4. 크다 5. (정이)두텁다 6. 깊다 7. 우뚝하다, 험준하다(險峻--) 8. 격렬하다(激烈--),... [부수]殳(갖은등글월문)

穿 뚫을 천  1. 뚫다 2. 꿰뚫다 3. 뚫어지다 4. 개통하다(開通--) 5. 통과하다(通過--) 6. 관통하다(貫通--) 7. (실을)꿰다 8. (신발을)신다 9. (옷을)입다 10. 구멍 11. 묘혈(墓穴) [부수]穴(구멍혈)

降 내릴 강,항복할 항  1. 내리다 2. 깎아내리다 3. 떨어지다 4. 내려 주다 5. 하사하다(下賜--) 6. 하가하다(下嫁--: 지체가 낮은 곳으로 시집가다) 7. 거둥하다(擧動▼--: 임금이 나들이하다) 8. 중(重)히 여기다 9. 태어나다,... [부수]阝(좌부변)

顧 돌아볼 고  단어장 추가 1. 돌아보다 2. 지난날을 생각하다 3. 돌보다 4. 당기다 5. 돌아가다 6. 품을 사다(雇) 7. 다만 8. 생각컨대 9. 도리어 [부수]頁(머리혈)

塞 변방 새,막힐 색  1. 변방(邊方) 2. 요새(要塞) 3. 보루(堡壘: 적의 침입을 막기 위해 튼튼하게 쌓은 구축물) 4. 주사위(놀이 도구의 하나) 5. 성(姓)의 하나 6. 보답하다(報答--), 굿을 하다(=賽) 7. (요새를)쌓다 8. 사이가... [부수]土(흙토)

竇 구멍 두,개천 독  1. 구멍 2. 쪽문, 규문(담이나 벽을 뚫어 만든 출입구) 3. 움(땅을 파고 위에 거적 따위를 얹어 겨울에 화초나 채소를 넣어 두는 곳), 지하실 4. 도랑(매우 좁고 작은 개울), 물길 5. 무너뜨리다, 터뜨리다... [부수]穴(구멍혈)

閬 솟을대문 랑,솟을대문 낭  1. 솟을대문(--大門) 2. 높은 모양 3. 괴물(怪物) 4. 해자(垓子: 성 밖을 둘러싼 못) 5. 불알, 고환(睾丸) 6. 성(姓)의 하나 7. 문(門)이 높다 8. 넓다 9. 휑뎅그렁하다(속이 비고 넓기만 하여 매우 허전하다) [부수]門(문문)

婦 며느리 부  1. 며느리 2. 지어미 3. 아내 4. 여자(女子) 5. 암컷 6. 예쁘다 7. 정숙하다(貞淑--) [부수]女(계집녀)

姑 시어머니 고  1. 시어머니 2. 고모(姑母) 3. 여자(女子), 부녀자(婦女子)의 통칭(通稱) 4. 잠시(暫時), 잠깐 5. 조금 동안 6. 빨아먹다 [부수]女

勃 노할 발  1. 노하다(怒--) 2. 발끈하다 3. 우쩍 일어나다 4. 갑작스럽다 5. 성하다(盛--: 기운이나 세력이 한창 왕성하다) 6. 다투다 7. 밀치다 8. 바다 이름(渤) 9. 갑자기 [부수]力(힘력)

谿 시내 계,다툴 혜  1. 시내 2. 시냇물 3. 산골짜기 4. 텅 비다 5. 헛되다 a. 다투다 (혜) b. 송장메뚜기 (혜) [부수]谷(골곡)

鑿 뚫을 착,구멍 조,새길 촉  1. 뚫다 2. 파다 3. 깎다 4. (쌀을)쓿다(곡식을 찧어 속꺼풀을 벗기고 깨끗하게 하다) 5. 집요하게 파헤치다 6. 요란(搖亂ㆍ擾亂)하게 두드리다 7. 자세(仔細ㆍ子細)히 따지다 8. 뚜렷하다 9. 명확하다(明確--)... [부수]金(쇠금)

攘 물리칠 양,어지러울 녕,어지러울 영  1. 물리치다, 내쫓다 2. 제거하다(除去--), 없애다 3. 훔치다, 가로 채다 4. 침탈하다(侵奪--), 빼앗다 5. 어지럽히다 6. 겸손하다(謙遜ㆍ謙巽--) 7. 물러나다 8. 사양하다(辭讓--) 9. 걷다, 걷어 올리다... [부수]扌(재방변)



(참조 : http://www.yetgle.com/2jangja.htm 옛글닷컴 )



Directed byDoze Niu
Written byDoze Niu
StarringEthan Juan
Release dates
  • 5 September 2014 (Taiwan)
Running time
133 minutes
CountryTaiwan
LanguageMandarin


대만의 장개석을 위시한 군부 정부와 본토의 모택동의 공산당 정부가 서로 대립각을 세우고 있던 1969년 대만의 한 바닷가 마을.

그 당시 대만도 의무병제도였던 것으로 보인다. 이 남자는 군 복무를 위해 배치 받은 곳... 처음에는 우리나라 해병대와 같은 특수부대였으나 체력또는 부적응으로 말미암아 831이라는 찻집으로 배속된다.

이 곳은 돈을 벌기 위해서 온 여자도 있고 감형을 받기 위해 지원해서 온 여자도 있고, 군대의 하부 조직으로서 일종의 홍등가라고 할 수 있다. 영화가 끝나면서 자막으로 이 부대는 남녀 성차별로 이슈화 되고 이후 사라진다고 한다. '시대의 의해 만들어 졌고, 다시 시대에 의해 사라져 갔다...'

군복무를 위해 어쩌면 어머니가 가지 마라고 제일 타일렀던 곳에서 군 복무를 할 수 밖에 없었던 이 남자는 이곳에서 일하는 여러 여자들의 치안이나 위생이나 감시업무를 하면서 이중에 한 명이었던 여자와 연민의 정을 키워 가게 되고, 그리고 첫 부대였던 곳에 신병교육담당 하사관과도 어느정도 관계를 유지하면서 군생활을 하게 된다.

시대의 의해 이렇게 저렇게 흘러가다 한 장소에서 만나 함께 살되 되지만 다양한 뒷 이야기들이 제각기 있고 

홍등가 부대 내에 최고 인기를 끌게 되는 여자들 또한 한편으론 그런 사창가 출신의 자신들이 결국엔 사랑으로 결혼하게 되는 것은 꿈도 꾸지 못하고 장신구나 금붙이에 희희 낙락하게 되고, 이런 생활을 하다 보니, 아예 사랑을 믿지 않게 되며서 남자들의 품속에서 거짓말을 하게 되고, 가난한 삶 속에서 빠져 나와 살다 보니 군의 말단에서 살게되었던 이 신병 교육 하사관의 순정이 어이 없이 허물어 지게 되고 이 하사관을 그 여자를 죽여버리게 됨으로서 다시 한번 수렁속에 빠지게 된다.

그릭고 남편의 폭력에 견디다 못해 살인을 하고 감형을 받기 위하여 이곳에 오게된 여자도 감형을 받게 되어 일찍 형기를 마치게 되면서 떠나간다.

세월을 어느듯 흘러 남자 주인공도 제대를 하고...


궁금했던 결말들은 나중에 자막과 사진으로 보여 준다. 

Regina Wan이라는 여주인공의 강한 이미지가 좀 느끼하면서도 순진해 보였던 남자 주인공과 잘 어울리면서 영화의 무게감을 더해 준듯 하다.

장지이와 비슷하면서도 좀 더 요염한 느낌이랄까 암튼 그런 이미지였다. 그녀의 다른 영화들도 다음에 기회가 닿으면 보고 싶어 진다.


어찌보면 '시대의 요구'속에 기형적으로 탄생되었던 831 찻집 부대와 함께 그 시대속에서 삶을 위해 부대껴 나가던 인간들의 군상들이 잘 나타나 있었다.


2012. 12.






'끄적 끄적 > 영화감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Evolution, 2015]  (0) 2017.01.17
[A Gentle Breeze in the Village, 2008]  (0) 2017.01.17
[L'avenir, 2016]  (0) 2016.11.07
[Enter nowhere, 2011]  (0) 2016.09.19
[Tokyo Sonata, 2008]  (0) 2016.08.23

莊子(雜篇) ; 第26篇 外物  8


278` 얽매이지 말고 어울리되 본성을 잃지 마라 (잡편:26.외물,8) 물들지 마라 

- 장자(잡편) ; 제26편 외물[8]- 

장자가 말했다. “사람 중에는 자연을 따라 노닐 수 있는 사람이 있는데, 그런 사람이 자연을 따라 노닐지 않을 수 있겠는가? 사람 중에는 자연을 따라 노닐 줄 모르는 사람이 있는데, 그런 사람이 자연을 따라 노닐 수 있겠는가? 

물건을 쫓아 움직이는 마음을 가졌거나, 세상을 떠나 홀로 특이한 행동을 하는 것은 지극한 지혜와 두터운 덕을 쌓은 이의 행동이 아닐 것이다. 사사로운 욕심 때문에 넘어지고 떨어지고 하여도, 본성으로 돌아가지 못하고 욕망을 따라 달리면서도 돌아보지도 않는 자인 것이다. 

비록 서로 임금이 되고 신하가 되어 있다 하여도, 그것은 일시적인 것이다. 세상이 바뀌게 되면 상대방을 천하게 여길 수 없도록 처지도 바뀌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지극한 사람은 행적에 얽매이지 않는다」하는 것이다. 

옛날을 존중하고 현대를 낮게 보는 것은 학자들의 오랜 잘못이다. 그러나 희위씨의 입장에서 지금 세상을 본다면, 그 누가 편벽 되지 않은 자가 있겠는가? 오직 지극한 사람만이 세상에 노닐면서도 편벽 되지 않을 수 있는 것이다. 그것은 사람들에게 순응하면서도 자기의 본성을 잃지 않기 때문이다. 지극한 사람은 세상의 가르침에 따르기는 하지만 억지로 그것을 배우지 않고, 세상 사람들의 뜻을 따르기는 하지만 자기 본성을 잃고 그렇게 되지는 않는 것이다.” 

- 莊子(雜篇) ; 第26篇 外物[8]- 

莊子曰:「人有能遊, 且得不遊乎? 人而不能遊, 且得遊乎? 夫流遁之志, 決絶之行, 噫, 其非至知厚德之任與! 覆墜而不反, 火馳而不顧, 雖相與爲君臣, 時也, 易世而无以相賤. 故曰至人不留行焉. 

「夫尊古而卑今, 學者之流也. 且以狶韋氏之流觀今之世, 夫孰能不波? 唯至人乃能遊於世而不僻, 順人而不失己. 彼敎不學, 承意不彼.」 

(장자왈:[인유능유, 차득불유호? 인이불능유, 차득유호? 부류둔지지, 결절지행, 희, 기비지지후덕지임여! 복추이불반, 화치이불고, 수상여위군신, 시야, 역세무이상천. 고왈지인불류행언.

[부좀고이비금, 학자지류야. 차이희위씨지류관금지세, 부숙능불파? 유지인내능유어세이불피, 순인이부실기. 피교불학, 승의불피.])


遁 숨을 둔,뒷걸음칠 준  1. 숨다 2. 달아나다 3. 피하다(避--) 4. 도망치다(逃亡--) 5. 회피하다(回避--) a. 뒷걸음질치다 (준) b. 머뭇거리다 (준) c. 서성거리다 (준) [부수]辶(책받침)

決 결단할 결,빠를 혈  1. 결단하다(決斷--), (승부를)가리다 2. 결정하다(決定--), 분별하다(分別--), 판단하다(判斷--) 3. 과감하다(果敢--) 4. 틔우다, 흐르게 하다 5. 터지다, 열리다 6. 자르다, 절단하다(切斷ㆍ截斷--)...[부수]氵(삼수변)

絶 끊을 절  1. 끊다 2. 단절하다(斷切ㆍ斷截--), 숨이 끊어지다, 죽다 3. 다하다, 끝나다 4. 막히다, 막다르다 5. 뛰어나다, 비할 데 없다 6. 건너다 7. 기발하다(奇拔--), 색다르다 8. 으뜸 9. 매우, 몹시 10. 심히,... [부수]糸(실사)

噫 한숨 쉴 희,트림할 애,탄식할 억  1. 한숨을 쉬다 2. 탄식하다(歎息ㆍ嘆息--) 3. 느끼다 4. 아아! a. 트림하다 (애) b. 하품 (애) c. 탄식하다(歎息ㆍ嘆息--) (억) d. 아아! (억) [부수]口(입구)

覆 다시 복,덮을 부  1. 다시 2. 도리어 3. 엎어지다 4. 넘어지다 5. 되풀이하다 6. 사뢰다 7. 알리다 8. 배반하다(背反ㆍ背叛--) a. 덮다 (부) b. 퍼지다 (부) c. 노리다 (부) d. 덮개 (부) e. 옷 (부) f. 복병(伏兵) (부) [부수]襾(덮을아)

墜 떨어질 추  1. 떨어지다, 낙하하다(落下--) 2. 떨어뜨리다 3. 부수다, 무너뜨리다 4. 드리우다, 늘어뜨리다 5. 잃다, 손상시키다(損傷---) [부수]土(흙토)

墜茵落溷  墜 떨어질 추茵 자리 인落 떨어질 낙(락)溷 어지러울 혼 / 방석 위에 떨어진 것과 뒷간에 떨어진 것이라는 뜻으로,  사람이 때를 잘 만나기도 하고 그렇지 못한 경우(境遇)도 있음을 비유(比喩ㆍ譬喩)하는 말

馳 달릴 치  1. 달리다 2. 질주하다(疾走--) 3. 지나가다, 경과하다(經過--) 4. 쫓다, 추격하다 5. 빨리 몰다 6. 방자하다(放恣--), 제멋대로 하다 7. 베풀다(일을 차리어 벌이다, 도와주어서 혜택을 받게 하다) 8.... [부수]馬(말마)

顧 돌아볼 고  1. 돌아보다 2. 지난날을 생각하다 3. 돌보다 4. 당기다 5. 돌아가다 6. 품을 사다(雇) 7. 다만 8. 생각컨대 9. 도리어 [부수]頁(머리혈)

狶돼지 희,사람 이름 시  1. 돼지 2. 돼지 부르는 소리 a. 사람 이름 (시) b. 상고(上古)의 황제(皇帝)의 이름 (시) [부수]犭(개사슴록변)

韋 가죽 위  1. 가죽 2. 다룸가죽(잘 매만져서 부드럽게 만든 가죽) 3. 둘레 4. 부드럽다 5. 에워싸다 6. 떠나다 7. 틀리다 8. 어기다, 위배하다(違背--) [부수]韋(가죽위)

波 물결 파,방죽 피  1. 물결 2. 진동(振動)하는 결 3. 흐름, 수류(水流), 물갈래(강물이나 냇물 따위가 갈라져서 흐르는 가닥) 4. 눈빛, 눈길 5. 눈의 영채(映彩) 6. 은총(恩寵), 혜택(惠澤) 7. 주름 8. 파임, 서법(書法)의... [부수]氵(삼수변)

僻 궁벽할 벽,피할 피  1. 궁벽하다(窮僻--) 2. 가볍다, 경박하다(輕薄--), 멋대로 행동하다(行動--) 3. 천하다(賤--), 비루하다(鄙陋--) 4. 치우치다, 편벽되다(偏僻--: 생각 따위가 한쪽으로 치우쳐 있다) 5. 후미지다(아주... [부수]亻(사람인변)




(참조 : http://www.yetgle.com/2jangja.htm 옛글닷컴 )



오디오에 관심이 많아서일까, 본격적으로 오디오에 입문한지가 24년정도 되었고

음악듣기를 좋아해서 일까, 국민학교 6학년무렵에 아바의 음악을 시점으로 꾸준히 음악을 들어 왔고,

그래서인지 소리에 대한 나름의 주관과 구분을 갖게 되었다.

그리고 궁극의 소리라 할 수 있는 실황에도 나름 여기 저기 다녀 들어 본 결과 

가장 좋은 소리 - 실황공연의 소리는

한없이 부드럽다. (저급한 스테레오에서 나오는 귀를 쏘거나 머리에 부담을 주는 소리가 아니다)

그리고 천둥이 치듯한 다이내믹을 가지고 있고,

마지막으로 달 밝은 가을 밤 바람소리에 마른 낙엽소리 들리듯한 섬세함도 가지고 있다.


이런 소리의 결은 바이올린이나 피아노 소리만 들어봐도 바로 알아 차릴수 있다.

현위로 활이 스치면서 송진 가루 날리는 그 까칠함과 

세월과 함께 같이 숙성되어 가는 통에서 나는 울림

그리고 기교와 감성이 담겨 나오는 바이올린 소리들...


이런 소리는 저급한 스테레오로 재생할때는 그냥 단순히 귀를 찌르고 메마른 소리로만 들리게 된다.


피아노 소리도 그러하다. 고음의 영롱함과 저음의 깊은 울림, 그리고 그 사이 건반 하나 하나에서 나오는 

제각기 다른 높이, 연주자의 마음과 손 끝으로 튕겨 내는 그 다이내믹한 감성들...


재즈 콰르텟에서 오른쪽 뒤에 서서 튕겨 내는 묵직한 베이스 소리들...


2016.12.23




莊子(雜篇) ; 第26篇 外物  7


277` 쓸모 없는 것이 있어 쓸모 있는 것이 있다 (잡편:26.외물,7) 

- 장자(잡편) ; 제26편 외물[7]- 

혜자가 장자에게 말했다. 

“선생의 말씀은 쓸모가 없습니다.” 

장자가 말했다. “쓸데가 없음을 알아야 비로소 쓸 곳을 얘기할 수가 있습니다. 땅이란 넓고도 크기가 한이 없는 것이지만, 사람들이 걸을 때 쓰이는 것은 발로 밟는 부분뿐입니다. 그렇다고 발 크기에 맞추어 발자국만큼의 땅만 남겨놓고 나머지 부분은 황천에 이르도록 깎아낸다면 그래도 그 땅이 사람들에게 쓸모가 있겠습니까?” 

혜자가 대답했다. “쓸 수가 없을 것입니다.” 

장자가 말했다. 

그렇다면 쓸데없는 것의 쓰임도 잘 알게 되었을 것입니다.” 

- 莊子(雜篇) ; 第26篇 外物[7]- 

惠子謂莊子曰:「子言无用.」 

莊子曰:「知无用而始可與言用矣. 天地非不廣且大也, 人之所用容足耳. 然則厠足而墊之致黃泉, 人尙有用乎?」 惠子曰:「无用.」 

莊子曰:「然則无用之爲用也亦明矣.」

(혜자위장자왈:[자언무용.]

장자왈:[지무용이시가여언용의. 천지비불광차대야, 인지소용용족이. 연즉측족이점지치황천, 인상유용호?] 혜자왈:[무용.]

장자왈:[연즉무용지위용야역명의.])


厠 뒷간 측  1. 뒷간 2. 돼지우리 3. 물가 4. 곁 5. 침상(寢牀)의 주위 6. 섞다 7. 섞이다 8. 기울이다 [부수]厂(민엄호)

黃 누를 황  1. 누렇다 2. 노래지다 3. 앓다 4. 누런빛 5. 황금(黃金) 6. 늙은이 7. 어린아이, 유아(幼兒) 8. 황제(皇帝) 9. 열병(熱病) 10. 병들고 지친 모양 11. 공골말(털빛이 누런 말) 12. 곡식(穀食), 곡류(穀類)...[부수]黃(누를황)

尙 오히려 상  1. 오히려 2. 더욱이 3. 또한 4. 아직 5. 풍습(風習) 6. 풍조 7. 숭상하다(崇尙--) 8. 높다 9. 높이다 10. 자랑하다 11. 주관하다(主管--) 12. 장가들다 13. 꾸미다 14. 더하다 [부수]小(작을소)

容 얼굴 용 부수宀 (갓머리, 3획)획수총10획[사성음] róng, yǒng (róng) 1. 얼굴 2. 모양, 용모(容貌) 3. 몸가짐 4. 용량 5. 속내, 속에 든 것 6. 나부끼는 모양 7. 어찌 8. 혹(或), 혹은(或-: 그렇지 아니하면) 9. 담다, 그릇 안에 넣다 10. 용납하다(容納--) 11. 받아들이다 12. 용서하다(容恕--) 13. 치장하다(治粧--), 몸을 꾸미다  14. 맵시를 내다 15. 조용하다, 누긋하다(성질이나 태도가 좀 부드럽고 순하다) 16. 권하다(勸--), 종용하다(慫慂--) 17. 쉽다, 손쉽다 18. 어렵지 아니하다 足 발 족, 지나칠 주 부수足 (발족, 7획)획수총7획[사성음] zú, jù (zú) 1. 발 2. 뿌리, 근본(根本) 3. 산기슭 4. 그치다, 머무르다 5. 가다, 달리다 6. 넉넉하다, 충족하다(充足--) 7. 족하다, (분수를)지키다 8. 물리다, 싫증나다 9. 채우다, 충분(充分)하게 하다 10. 만족(滿足)하게 여기다 11. 이루다, 되게 하다 12. 밟다, 디디다 a. 지나치다 (주) b. 과도하다(過度--) (주) c. 더하다, 보태다 (주) d. 북(식물의 뿌리를 싸고 있는 흙)을 돋우다(도드라지거나 높아지게 하다) (주) e. 배양하다(培養--) (주)

墊 빠질 점  1. (물에)빠지다 2. 가라앉다 3. (물 속이나 깊숙한 곳에)떨어져 잠기다 4. 늘어지다 5. 지치다 6. (땅을)파다 7. 묻다, 매장하다(埋葬--) 8. 빼버리다, 계산(計算)하지 않다 9. 괴로워하다 [부수]土(흙토)

致 이를 치,빽빽할 치 1. 이르다(어떤 장소나 시간에 닿다), 도달하다(到達--) 2. 다하다 3. 이루다 4. 부르다 5. 보내다 6. 그만두다 7. 주다, 내주다 8. 깁다(떨어지거나 해어진 곳을 꿰매다) 9. 꿰매다 10. 빽빽하다 11.... [부수]至(이를지) 



(참조 : http://www.yetgle.com/2jangja.htm 옛글닷컴 )



莊子(雜篇) ; 第26篇 外物  6


276` 그물을 두려워 않고 물새만 두려워 한다 (잡편:26.외물,6) 

사람의 능력과 지혜는 믿을 것이 못 된다 

- 장자(잡편) ; 제26편 외물[6]- 

송나라 원군이 밤에 꿈을 꾸었는데 머리를 풀어헤친 사람이 곁문으로 들여다보며 말했다. 

“저는 재로의 연못에서 온 사람입니다. 청강 신의 사자로서 황하의 신에게 가다가 고기잡이 여저에게 잡혔습니다.” 

원군은 깨어나서 사람을 시켜 꿈을 점치게 했다. 

“그는 신령스런 거북입니다.” 

원군이 말했다. “고기잡이 중에 여저라는 사람이 있는가?” 

신하들이 말했다. “있습니다.” 

원군이 말했다. “여저를 데리고 와라“ 

다음날 여저가 오자 원군이 말했다. 

“고기잡이를 하다가 무엇을 잡았는가?” 

여저가 대답했다. “저의 그물에 흰 거북이 걸렸습니다. 거북의 직경이 다섯 자나 됩니다.” 

원군이 명령했다. “그대의 거북이를 나에게 가지고 오라.” 

거북이 도착하자 원군은 거북을 죽일까 살릴까 마음의 결단을 내리지 못했다. 

다시 점을 치게 하니 거북을 죽여서 그 등껍질로 점을 치면 길하다는 것이었다. 

이에 거북을 잡아 일흔두번이나 구멍을 뚫으며 점을 치니 들어맞지 않는 일이 없었다. 

이에 대하여 공자가 말했다. 

신령스런 거북의 능력은 원군의 꿈에 나타날 줄은 알면서도 여저의 그물을 피하지는 못했다. 그의 지혜는 일흔두번이나 구멍을 뚫어 점을 쳐도 틀리는 일이 없을 정도이면서도 그의 내장이 도려내지는 환란을 피하지는 못했다. 이러니 지혜도 곤경에 놓이는 경우가 있고, 신령스러움으로도 미치지 못하는 일이 있는 것이다. 비록 지극한 지혜가 있다해도 사람들은 그를 해칠 수 있다. 물고기는 고기 그물은 두려워하지 않으면서 물새들은 두려워한다. 작은 지혜를 버려야만 큰 지혜가 밝아지고, 훌륭하다는 의식을 버려야만 스스로 훌륭해지는 것이다. 태어나 스승이 없이도 말할 수 있게 되는데, 말할 줄 아는 사람들과 함께 지내기 때문인 것이다.” 

- 莊子(雜篇) ; 第26篇 外物[6]- 

宋元君夜半而夢人被髮窺阿門, 曰:「予自宰路之淵, 予爲淸江使河伯之所, 漁者余且得予.」 

元君覺, 使人占之, 曰:「此神龜也.」 

君曰:「漁者有余且乎?」 

左右曰:「有.」 

君曰:「令余且會朝.」 

明日, 如此朝. 君曰:「漁何得?」 

對曰:「且之網得白龜焉, 其圓五尺.」 

君曰:「獻若之龜.」 

龜至, 君再欲殺之, 再欲活之, 心疑, 卜之, 曰:「殺龜以卜, 吉.」 乃刳龜以卜, 七十二鑽而无遺筴. 

仲尼曰:「神龜能見夢於元君, 而不能避余且之網. 知能七十二鑽而无遺筴, 不能避刳 腸之患. 如是, 則知有所困, 神有所不及也. 雖有至知, 萬人謀之. 魚不畏網而畏鵜鶘. 去小知而大知明, 去善而自善矣. 嬰兒生无石師而能言, 與能言者處也.」 

(송원군야반이몽인피발규하문, 왈:[여자재로지연, 여위청강사하백지소, 어자여저득여.]

원군각, 사인점지, 왈:[차신귀야.]

군왈:[어자유여저호?]

좌우왈:[유.]

군왈:[령여저회조.]

명일, 여차조. 군왈:[어하득?]

대왈:[저지망득백귀언, 기원오척.]

군왈:[헌약지귀.]

귀지, 군재욕살지, 재욕활지, 심의, 복지, 왈:[살귀이복, 길.] 내고귀이복, 칠십이찬이무유책.

중니왈:[신귀능견몽어원군, 이불능피여저지망. 지능칠십이찬이무유책, 불능피고 장기환, 여시, 즉지유소곤, 신유소불급야. 수유지지, 만인모지. 어불외망이외제호. 거소지이대지명, 거선이자선의. 영아생무석사이능언, 여능언자처야.])


宰 재상 재  1. 재상(宰相) 2. 가신(家臣) 3. 우두머리 4. 벼슬아치, 관원(官員) 5. 주재자(主宰者) 6. 요리사(料理師) 7. 무덤, 분묘(墳墓) 8. 주관하다(主管--), 다스리다 9. 도살하다(屠殺--) 10. (고기를)저미다(여러... [부수]宀(갓머리)

漁 고기 잡을 어  1. 고기 잡다 2. 빼앗다 3. 사냥하다 4. 약탈하다 5. 고기잡이 6. 어부 [부수]氵(삼수변)

窺 엿볼 규  1. 엿보다 2. 훔쳐보다 3. 살펴보다 4. 꾀하다 5. 반걸음 내디디다 6. 반걸음 [부수]穴(구멍혈)

余 나 여,남을 여  1. 나 2. 나머지(=餘) 3. 나머지 시간(時間) 4. 여가(餘暇) 5. 여분 6. 정식 이외의 7. 다른 8. 남다 9. 남기다 [부수]人(사람인)

且 또 차,공경스러울 저,도마 조  1. 또, 또한 2. 우선 3. 장차(將次) 4. 만일(萬一) 5. 구차하다(苟且--) a. 공경스럽다(恭敬---) (저) b. 머뭇거리다 (저) c. 어조사(語助辭) (저) d. 도마 (조) e. 적대(炙臺: 제사 때 산적을 담는 그릇)...[부수]一(한일)

龜 땅 이름 구,거북 귀,터질 균  1. 땅의 이름 2. 나라의 이름 a. 거북(거북목의 동물 총칭) (귀) b. 거북 껍데기 (귀) c. 등골뼈 (귀) d. 본뜨다 (귀) e. 패물(貝物) (귀) f. 터지다 (균) g. 갈라지다 (균) [부수]龜(거북귀)

獻 드릴 헌,술두루미 사,위의 있을 의  1. 드리다 2. 바치다 3. 올리다 4. 나타내다 5. 표현하다(表現--) 6. 보이다 7. 권하다(勸--) 8. 나아가다 9. 좋다 10. 맞다 11. 바치는 물건(物件) 12. 어진 이, 현자(賢者) a. 술두루미(술을 담는 두루미)... [부수]犬(개견)

刳 가를 고  1. 가르다 2. 쪼개다 3. 파다 4. 도려내다 [부수]刂(선칼도방)

卜 점 복,무 복,짐바리 짐  1. 점(占) 2. 점괘(占卦) 3. 점쟁이 4. 점치다(占--) 5. 갚다 6. 주다 7. 상고하다(詳考--) 8. 헤아리다 9. 무(십자화과의 채소) a. 짐바리(마소로 실어 나르는 짐) (짐) [부수]卜(점복)

鑽 뚫을 찬  1. 뚫다 2. 끌다 3. 모으다 4. 깊이 연구하다(硏究--) 5. 파고들다 6. 상상하다 7. 생각하다 8. 비위를 맞추다 9. 아첨하다(阿諂--) 10. 송곳 11. 빈형 12. 날(=鋒刃) 13. 금강석(金剛石) 14. 다이아몬드 [부수]金(쇠금)

遺 남길 유,따를 수  1. 남기다, 남다 2. 끼치다, 전하다(傳--) 3. 잃다 4. 버리다, 유기하다(遺棄--) 5. 잊다 6. 두다, 놓다 7. 떨어지다, 떨어뜨리다 8. 빠지다, 빠뜨리다 9. 쇠퇴하다(衰退ㆍ衰頹--) 10. 빠르다 11. 더하다,... [부수]辶(책받침)

筴 낄 협,점대 책  1. 끼다 2. 집다 3. 기뻐하다 4. 집게 a. 점대(占-: 점을 치는 데에 쓰는 댓가지) (책) b. 대쪽 (책) c. 계책(計策) (책) d. 꾀 (책) e. 꾀하다 (책) [부수]竹(대죽)

鵜鶘 사다새. 사다샛과의 새를 통틀어 이르는 말

鵜 사다새 제  1. 사다새(사다샛과의 새를 통틀어 이르는 말) 2. 접동새(두견. 두견과의 새) 3. 두견이(杜鵑-: 두견과의 새) [부수]鳥(새조)

鶘 사다새 호  1. 사다새(사다샛과의 새를 통틀어 이르는 말) [부수]鳥(새조)



(참조 : http://www.yetgle.com/2jangja.htm 옛글닷컴 )



'Gallery - Project > 1cut / 1Day'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성  (0) 2017.02.07
untitled  (0) 2017.01.23
  (0) 2016.12.16
아침  (0) 2016.11.08
...  (0) 2016.11.07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