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ovie: Little Forest: Summer & Autumn
  • Romaji: Ritoru Foresuto Natsu Hen ・ Aki Hen
  • Japanese: リトル・フォレスト 夏・秋
  • Director: Junichi Mori
  • Writer: Daisuke Igarashi (manga), Junichi Mori
  • Producer: Keiichiro Moriya, Izumi Shima
  • Cinematographer: Yukihiro Onodera
  • Release Date: August 30, 2014
  • Runtime: 111 min.
  • Genre: Drama / Food
  • Language: Japanese
  • Country: Japan


  • Movie: Little Forest: Winter & Spring (literal title)
  • Romaji: Ritoru Foresuto Fuyu Hen ・ Haru Hen
  • Japanese: リトル・フォレスト 冬編・春編
  • Director: Junichi Mori
  • Assistant Director: Megumi Sawada
  • Writer: Daisuke Igarashi (manga), Junichi Mori
  • Producer: Keiichiro Moriya, Satoko Ishida
  • Cinematographer: Yukihiro Onodera
  • Release Date: February 14, 2015
  • Runtime: 120 min.
  • Genre: Drama / Food
  • Distributor: Shochiku
  • Language: Japanese
  • Country: Japan



엄밀히 말하자면 두개의 영화다.

하지만 하나로 묶어서 이야기 해도 되리라 생각된다.

두 영화를 거의 하루 이틀 간격으로 연속으로 본 것도 있고, 실은 같은 주인공과 배경, 이야기의 흐름이기 때문에 하등 문제는 없으리라 생각된다.

이야기의 배경이 되는 장소는 Little Forest - 작은 숲 - 小森(komori)라는 일본 혼슈 북부 지방의 작은 산골 마을이다. 

처음에는 아름다운 일본의 전원 풍경과 함께 목가적이면서 자급자족하는 젊은 여자가 나직히 자신의 삶을 표현하고 산과 들에서 나는 자연물로 풋풋한 고향의 맛을 내는 음식을 만드는 장면들이 어쩌면 화면만 보고도 따라 만들수 있을 것같이 자세히 나와서 어쩜 이런 풍의 영화가 있지? 하고  생각되었었다.

하지만 화면이 진행되면서 간간히 자신의 과거 이야기가 조금씩 조금씩 나오면서 '이치코'라는 주인공의 삶에 대해 조금씩 조금씩 이해 하게 되고 공감의 폭을 넓혀 가게 되는 머랄까 자연 다큐 멘터리 같으면서 다시 인생 드라마라는 생각이 든다.

(지금부터 엄청난 스포일러....주의 !!!)

이치코는 시골에서 자라 엄마와 단 둘이서 자랐다. 둘만 살때부터도 그다지 돈을 쓰지 않는 그러면서도 돈이 필요 없는 거의 자급자족적인 생활을 해 왔던 것으로 보인다. 논과 밭을 빌려서 경작을 하고 사시 사철 때에 따라 맞는 농작물을 심고 기르고 거두고 저장하고...

Karen Kirishima가 연기한 이치코의 엄마... 세련된 외모에 뭔가 인텔리한 듯한 느낌.. 아마도 시골에서 살면서 딸을 기르면서 농사를 지으면서 한편으로는 글도 쓰는 작가가 아니었을까 생각해 본다.

어느 날 갑자기 엄마가 집을 나가 버리고.

이치코 또한 '절망적인'시골생활을 어서 벗어 나고픈 생각에 

도시로 나갔지만, 다시 시골로 돌아 왔다. 그리고 혼자서 살고 있다. 

주변에 친구, 남자 후배, 그리고 마을 사람들과 함께 산다고 하지만 대부분의 시간은 홀로 농사를 짓고, 먼 이웃 마을에 마트에 장을 보러 다니고, 눈이 오면 홀로 눈을 쓸고....

그러면서 자신의 도시에서의 삶이 왜 실패 했는지... 그리고 지금 자신의 삶을 진취적으로, 능동적으로 선택하고 픈 마음... 어지러운 마음, 하지만 미래를 향한 굳은 결심의 마음을 논 밭에서 농작물이 서서히 자라 결실을 맺듯 준비하고 가꾸어 나간다.

그리고 두번째 영화 마지막 장면쯤에서 다시 시골집을 떠났다가 남자를 만나 결혼을 하고 다시 돌아와서 사는 이야기가 펼쳐 진다. 그러면서 끝난다.


이정도면 잔잔하게 이야기를 풀어 나가는 일본 영화의 한 장르의 거의 '완성형'에 달하는 성숙한 모습의 영화가 아닌가 싶다.

조금은 서툰듯, 부끄러운듯, 하지만 말 없이 묵묵하게 자신의 삶을 진취적으로 이끌어 가고 싶어하는 이치코(Ai Hashimoto)의 연기도 일품이었고, 일본의 전원생활을 담은 카메라 워크도 더 할 수 없이 좋았다.


2017. 1.










'끄적 끄적 > 영화감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Here and There, 2009]  (0) 2017.02.15
[Arrival, 2016]  (0) 2017.02.06
[Tokyo Girl, 2008]  (0) 2017.01.18
[Evolution, 2015]  (0) 2017.01.17
[A Gentle Breeze in the Village, 2008]  (0) 2017.01.17

莊子(雜篇) ; 第28篇 讓王 8


295` 자기 분수에 따라 도를 추구할 줄 알아야 한다 (잡편:28.양왕,8) 

- 장자(잡편) ; 제28편 양왕[8]- 

원헌이 노나라에 살고 있을 때, 그의 집은 사방 한 칸 정도의 작은 집이었는데, 초가지붕에는 풀이 자라 있었고, 싸리문은 부서져 있고, 뽕나무 줄기로 문지도리를 삼았으며, 깨진 항아리를 박아 창을 낸 두 개의 방이 있었는데, 칡으로 창을 가리고 있었다. 위에서는 비가 새고 아래 바닥은 축축했는데, 원헌은 똑바로 앉아서 금을 뜯으며 노래하고 있었다. 

자공은 큰 말이 끄는 수레를 탔는데, 수레 안쪽은 보랏빛 천으로 장식하고 겉포장은 흰 천으로 만든 것이었다. 이 큰 수레가 그의 집 골목 안으로 들어갈 수가 없어서 그는 걸어가서 원헌을 만났다. 원헌은 가죽나무 껍질 관을 쓰고 뒤축도 없는 신을 신은 채 지팡이를 짚고 문으로 나와 그를 마중했다. 

자공이 말했다. 

“선생께서는 어찌 이렇게 고생을 하시며 사십니까?” 

원헌이 대답했다. “내가 듣건대 재물이 없는 것은 가난하다고 말하고, 배우고도 행하지 못하는 것을 고생하는 것이라 말한다 했습니다. 지금 나는 가난한 것이지 고생하는 것은 아닙니다.” 

자공은 우물쭈물 뒷걸음질치면서 부끄러운 얼굴빛을 띠었다. 

원헌이 웃으며 말했다. 

“세상의 평판을 바라면서 행동하고, 자기와 친하게 어울리는 사람만을 벗하고, 학문은 남에게 뽐내기 위해서 하고, 가르침은 자기의 이익을 위해서 하고, 인의를 내세워 간악한 짓을 하고, 수레와 말을 장식하고 하는 일들은 나로서는 차마 하지 못할 일입니다.” 


- 莊子(雜篇) ; 第28篇 讓王[8]- 

原憲居魯, 環堵之室, 茨以生草. 蓬戶不完, 桑以爲樞. 而甕牖二室, 褐以爲塞. 上漏下濕, 匡坐而弦歌. 

子貢乘大馬, 中紺而表素, 軒車不容巷, 往見原憲. 原憲華冠縰履, 杖藜而應門. 

子貢曰:「嘻! 先生何病?」 

原憲應之曰:「憲聞之, 无財謂之貧, 學道而不能行謂之病. 今憲, 貧也, 非病也.」 

子貢逡巡而有愧色. 

原憲笑曰:「夫希世而行, 比周而友, 學以爲人, 敎以爲己, 仁義之慝, 與馬之飾, 憲不忍爲也.」 

(원헌거노, 환도지실, 자이생초. 봉호불완, 상이위구. 이옹유이실, 갈이위색. 상루하습, 광좌이현가. 자공승대마, 중감이표소, 헌차불용, 왕견원헌. 원헌화관쇄리, 장려이응문. 

자공왈:[희! 선생하병?]

원헌응지왈:[헌문지, 무재위지빈, 학도이불능행위지병. 금헌, 빈야, 비병야.]

자공준순이유괴색.

원헌소왈:[[부희세이행, 비주이우, 학이위인, 교이위기, 인의지특, 여마지식, 헌불인위야.]]


堵 담 도,강 이름 자  1. 담, 담장(-牆) 2. 거처(居處), 담의 안 3. 악기(樂器)를 다는 틀 4. 이것, 저것 5. 막다, 틀어막다 6. 편안(便安)히 살다 a. 강(江) 이름 (자) b. 산(山) 이름 (자) [부수]土(흙토)

茨 지붕 일 자  1. 지붕을 이다 2. 잇다 3. 쌓다 4. 이엉으로 덮은 지붕 5. 남가새(남가샛과에 딸린 한해살이풀) [부수]艹(초두머리)

蓬 쑥 봉  1. 쑥(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2. 뜸(물에 띄워서 그물, 낚시 따위의 어구를 위쪽으로 지탱하는 데에 쓰는 물건) 3. (과일의)껍질 4. 봉래산(蓬萊山) 5. 흐트러지다 6. 떠돌아다니다 7. 성(盛)하게 일어나다 [부수]艹(초두머리)

桑 뽕나무 상  1. 뽕나무 2. 뽕잎을 따다 [부수]木(나무목)

樞 지도리 추,나무 이름 우  1. 지도리(돌쩌귀) 2. 근원(根源) 3. 본질(本質) 4. 가장 중요(重要)한 부분(部分) 5. 관건(關鍵) 6. 계기(契機) 7. 고동(기계 장치) 8. 천자(天子)의 지위(地位) 9. 국가(國家)의 정권(政權) 10. 별 이름... [부수]木(나무목)

甕 독 옹  1. 독(큰 오지그릇이나 질그릇) 2. 항아리 [부수]瓦(기와와)

牖 들창 유  1. 들창(-窓: 들어서 여는 창) 2. 성(姓)의 하나 3. 깨우치다 [부수]片(조각편)

褐 갈색 갈,굵은 베 갈  1. 갈색 2. 베옷 3. 굵은 베 4. 털옷 5. 다색(茶色) 6. 천한 사람 7. 성(姓)의 하나 [부수]衤(옷의변)

塞 막힐 색,변방 새  1. 막히다 2. 막다 3. 차다 4. 성채(城砦: 성과 요새를 아울러 이르는 말) a. 변방(邊方) (새) b. 요새 (새) c. 보루(堡壘: 적의 침입을 막기 위해 튼튼하게 쌓은 구축물) (새) d. 주사위(놀이 도구의...[부수]土(흙토)

漏 샐 루,샐 누  1. 새다 2. 틈이 나다 3. 빠뜨리다 4. 구멍 5. 누수기(漏水器: 물시계) 6. 서북 모퉁이 7. 병(病) 이름 8. 번뇌(煩惱) 9. 물시계 [부수]氵(삼수변)

濕 젖을 습,나라 이름 합,물 이름 답  1. 젖다(물이 배어 축축하게 되다) 2. 축축하다 3. 마르다, 말리다 4. 낮추다 5. 스스로 비하하다(卑下--) 6. 습기(濕氣) 7. 물기 8. 자연(自然) 그대로의 것 a. 나라 이름 (합) b. 물 이름 (답) [부수]氵(삼수변)

匡 바를 광,앉은뱅이 왕  1. 바르다 2. 바로잡다, 바루다 3. 구원하다(救援--), 구제하다(救濟--) 4. 돕다, 보좌하다(補佐ㆍ輔佐--) 5. 비뚤다, 휘다 6. 두려워하다, 겁내다 7. 편안하다(便安--) 8. 눈자위(눈알의 언저리) 9. 광주리(대,... [부수]匚(튼입구몸)

弦 시위 현  1. 활시위, 시위 2. 악기줄(樂器-) 3. 초승달 4. 직각 삼각형의 사변 5. 시위의 울림 6. (현악기를)타다 7. (혈관이 부어)맥박(脈搏)이 빠르게 뛰다 [부수]弓(활궁)

紺 감색 감,연보라 감  1. 감색 2. 야청빛(검은 빛을 띤 푸른 빛) 3. 연보라 4. 반물 [부수]糸(실사)

表 겉 표,시계 표  1. 겉, 거죽, 겉면 2. 바깥 3. 표, 도표(圖表) 4. 모범(模範), 규범(規範) 5. 푯말(標-: 어떤 것을 표지하기 위하여 세우는 말뚝), 표지(標識) 6. 웃옷 7. 문체(文體) 이름 8. 시계(時計) 9. 해시계(-時計)의... [부수]衣(옷의)

素 본디 소,흴 소  1. 본디 2. 바탕 3. 성질(性質) 4. 정성(精誠) 5. 평소(平素) 6. 처음 7. 흰깁 8. 희다 9. 질박하다(質樸ㆍ質朴--: 꾸민 데가 없이 수수하다) 10. 넓다 11. 부질없다 12. 옳다 [부수]糸(실사)

軒 집 헌  1. 집 2. 추녀(처마의 네 귀에 있는 큰 서까래), 처마(지붕이 도리 밖으로 내민 부분) 3. 수레, 초헌(軺軒: 벼슬아치가 타던 수레) 4. 난간(欄干ㆍ欄杆) 5. 창(窓), 들창(-窓: 들어서 여는 창) 6. 행랑(行廊:... [부수]車(수레거)

巷 거리 항  1. 거리, 시가(市街) 2. 문밖(門-) 3. 복도(複道) 4. 궁궐(宮闕) 안의 통로(通路)나 복도(複道) 5. 마을, 동네 6. 집, 주택(住宅) [부수]己(몸기)

冠 갓 관  1. 갓, 관 2. 닭의 볏 3. 관례(冠禮) 4. 관례(冠禮)를 올린 성인(成人) 5. 성년(成年), 나이 스무 살을 이르는 말 6. 으뜸, 우두머리 7. (갓을)쓰다 8. (무리에서)뛰어나다 9. 덮다 [부수]冖(민갓머리)

縰 머리쓰개 쇄  1. 머리쓰개(여자들이 머리 위에 쓰는 수건, 장옷, 너울 따위를 통틀어 이르는 말) 2. 많은 모양 [부수]糸(실사)

履 밟을 리,밟을 이,신 리,신 이  1. 밟다 2. (신을)신다 3. 행하다(行--) 4. 겪다 5. 지위(地位)에 오르다, 자리에 나아가다 6. 신, 신발 7. 괘(卦)의 이름 8. 복(福), 복록(福祿) 9. 행실(行實), 행하는 바, 행동(行動) 10. 밟는 땅,... [부수]尸(주검시엄)

杖 지팡이 장  1. 지팡이 2. 몽둥이 3. 장형(杖刑: 죄인의 볼기를 큰 형장으로 치던 형벌) 4. 창(槍) 자루(끝에 달린 손잡이) 5. 짚다 6. 때리다 7. 의지하다(依支--) 8. 잡다 [부수]木(나무목)

藜 명아주 려,명아주 여  1. 명아주(명아줏과의 한해살이풀) 2. 나라의 이름 [부수]艹(초두머리)

應 응할 응  1. 응하다(應--) 2. 대답하다(對答--) 3. 맞장구치다 4. 승낙하다(承諾--) 5. 화답하다(和答--) 6. 당하다(當--) 7. 응당 ~하여야 한다 8. 받다 9. 아마도 10. 조짐(兆朕)이나 대답(對答) 11. 성(姓)의... [부수]心(마음심)

逡 뒷걸음질칠 준  1. 뒷걸음질치다 2. 머뭇거리다 3. 차례(次例)가 있다 4. 빠르다 5. 토끼 6. 달의 운행(運行) [부수]辶(책받침)

巡 돌 순,순행할 순,따를 연  1. 돌다 2. 순행하다(巡行--) 3. 따르다 4. 돌아보다, 살피다 5. 어루만지다 6. 활 쏘는 수를 세는 단위(單位) a. 따르다(=沿) (연) b. 끼고 돌다 (연) [부수]巛(개미허리)

逡巡 (나아가지 못 하고) 뒤로 멈칫멈칫 물러남  ②어떤 일을 단행(斷行)하지 못하고 우물쭈물함

愧 부끄러울 괴  1. 부끄럽다 2. 부끄러워하다 3. 수치(羞恥)를 느끼다 4. 창피(猖披)를 주다, 모욕하다(侮辱--) 5. 탓하다, 책망하다(責望--) 6. 부끄러움 [부수]忄(심방변)

希 바랄 희,칡베 치  1. 바라다 2. 동경하다(憧憬--) 3. 희망하다(希望--) 4. 사모하다(思慕--) 5. 앙모하다(仰慕--) 6. 드물다 7. 성기다(물건의 사이가 뜨다) 8. 적다 a. 칡베 (치) [부수]巾(수건건)

慝 사특할 특,숨길 닉,숨길 익  1. 사특하다(邪慝--: 요사스럽고 간특하다), 간사하다(奸邪--: 마음이 바르지 않다) 2. 악하다(惡--), 못되다 3. 더럽다, 더럽혀지다 4. 어긋나다, 변경되다(變更--) 5. 재앙(災殃), 재해(災害) 6. 악(惡)한... [부수]心(마음심)

飾 꾸밀 식,경계할 칙  1. 꾸미다 2. 단장하다(丹粧--) 3. 위장하다(僞裝--), 거짓으로 꾸미다 4. 씻다 5. 꾸밈 6. 장식(粧飾) 7. 보물(寶物) 8. 가선(-縇: 의복의 가장자리를 딴 헝겊으로 가늘게 싸서 돌린 선) a. 경계하다(警戒--)... [부수]飠(밥식변)



(참조 : http://www.yetgle.com/2jangja.htm 옛글닷컴 )



  • Movie: Tokyo Girl
  • Romaji: Tokyo shoujo
  • Japanese: 東京少女
  • Director: Kazuya Konaka
  • Writer: Makoto Hayashi
  • Producer: Andrew Tamon Niwa
  • Cinematography: Shinji Ogawa
  • Release Date: February 23, 2008
  • Runtime: 98 min.
  • Language: Japanese
  • Country: Japan


동경소녀.

2008년 일본작.

Kaho 가 나온다. (실은 이것으로도 충분히 볼만한 ^^)

아빠가 먼저 돌아 가시고 엄마와 단 둘이 사는 16세 소녀.

재혼하려는 엄마에게 불편한 그녀는

지진과 함께 우연하게 찾아온 핸드폰 웜홀 분실 사건(?)으로 인해

약 100여년 전 오빠와 전화 통화를 하게 되면서 

그 둘 사이에는 시간을 넘어 사랑이 싹트게 되고

혼자 외톨이가 되는게 두려웠던 소녀의 마음에도

자신이 작가가 될 수 있을지 자신없어 했던 100년 전 청년의 마음에도 

서로 따스한 위로가 된다....

더 하면 스포일러가 될까봐 마 이정도에서...


카호의 한참때의 청순함이 풀풀 묻어 나오는 화면이 매력 포인트...

그리고 100년을 넘어 전해 지는 선물.

2017. 1.






'끄적 끄적 > 영화감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Arrival, 2016]  (0) 2017.02.06
[Little Forest Summer/Autumn, Winter/Spring, 2014, 2015]  (0) 2017.01.23
[Evolution, 2015]  (0) 2017.01.17
[A Gentle Breeze in the Village, 2008]  (0) 2017.01.17
[Paradise in Service, 2014]  (0) 2016.12.26

莊子(雜篇) ; 第28篇 讓王 7


294` 분수에 맞게 편하게 지낼 줄 알아야 한다 (잡편:28.양왕,7) 분수` 

- 장자(잡편) ; 제28편 양왕[7]- 

초나라의 소왕이 오나라와의 싸움에 져 나라를 잃고 도망했을 때, 양을 잡는 백정인 열이라는 자도 소왕을 따라 도망쳤다. 뒤에 소왕이 나라로 돌아와 그를 따랐던 사람들에게 상을 줄 때에 열의 차례가 되었다. 이때 열이 말했다.  

“대왕께서 나라를 잃었을 때, 저 역시 양을 잡는 일을 잃었습니다. 대왕께서 돌아오시어 저 역시 양을 잡는 일로 돌아왔습니다. 저의 벼슬과 녹은 이미 되찾은 셈입니다. 또 무슨 상을 논하신다는 말씀이십니까?” 

임금은 억지로라도 그에게 상을 내리라고 명령했다. 그러자 양백정 열이 말했다. 

“대왕께서 나라를 잃었던 것은 저의 죄가 아니었기에 감히 그 처벌을 받지 않았습니다. 대왕께서 돌아오신 것 역시 저의 공로가 아니기에 감히 그 상을 받지 못하겠습니다.” 

임금이 신하들을 시켜 그를 보자고 했다. 그러자 양백정 열이 말했다. 

“초나라의 법도에 의하면 무거운 상이나 큰공을 세운 자라야 임금을 뵙게 되어 있습니다. 지금 저의 지혜는 나라를 보존하기에는 부족하고, 저의 용기는 적 앞에서 죽음을 무릅쓰기에 부족합니다. 그래서 오나라 군대가 우리 영 땅을 침범했을 때, 저는 환난을 피해 도망쳤을 뿐, 대왕 때문에 따라 간 것이 아니었습니다. 지금 대왕께서 국법을 어기고 규약을 깨뜨리면서까지 저를 만나려 하시니. 그리되면 저는 천하의 사람들로부터 많은 비난을 받게 될 것입니다.” 

소왕이 사마인 자기에게 말했다.  

“양백정인 열은 미천한 신분에 있으나 사리를 헤아리는 데 있어서는 높은 식견을 갖고 있소. 그대는 나를 위해 그를 데려다가 삼공의 지위에 앉혀주시오.” 

양백정 열이 그 말을 듣고 말했다. 

“삼공의 지위가 양 백정의 지위보다는 존귀하다는 것은 저도 알고 있습니다. 만종의 녹이 양백정을 함으로써 얻는 이득보다 훨씬 많다는 것도 알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어찌 벼슬과 녹을 탐하여 우리 임금으로 하여금 함부로 상을 내리신다는 말을 듣게 하겠습니까! 바라건대 저를 양 잡는 백정의 일로 돌아가게 해 주십시오” 

그리고는 끝내 상을 받지 않았다.   


- 莊子(雜篇) ; 第28篇 讓王[7]- 

楚昭王失國, 屠羊說走而從於昭王. 昭王反國, 將賞從者, 及屠羊說. 屠羊說曰:「大王失國, 說失屠羊. 大王反國, 說亦反屠羊. 臣之爵祿已復矣, 又何賞之有哉!」 

王曰:「見之!」 

屠羊說曰:「楚國之法, 必有重賞大功而後得見, 今臣之知不足以存國而勇不足以死寇. 吳軍入郢, 說畏難而避寇, 非故隨大王也. 今大王欲廢法毁約而見說, 此非臣之所以聞於天下也.」 

王謂司馬子綦曰:「屠羊說居處卑賤而陳義甚高, 子其爲我延之以三旌之位.」 

屠羊說曰:「失三旌之位, 吾知其貴於屠羊之肆也. 萬鍾之祿, 吾知其富於屠羊之利也. 然豈可以貪爵祿而使吾君有妄施之名乎! 說不敢當, 願復反吾屠羊之肆.」 遂不受也. 

(초소왕실국, 도양열주이종어송왕. 소왕반국, 장상종자, 급도양열. 도양열왈:[대왕싥구, 열실도양. 대오아반국, 열역반도양. 신지작록이복의, 우하상지유재!]

왕왈:[견지!]

도양열왈:[초국지법, 필유중상대공이후득견, 금신지지부족이존국이용부족이사구. 오군입영, 열외난이피구, 비고수대왕야. 금대왕욕폐법훼약이견열, 차비신지소이문어천하야.]

왕위사마자기왈:[도양열거처비천이진의심고, 자기위아연지이삼정지위.]

도양열왈:[실삼정지위, 오지기귀어도양지사야. 만종지록, 오지기부어도양지리야. 연기하이탐작록이사오군유망시지명호! 열불감당, 원복반오도양지사.] 수불수야. 


屠 죽일 도,흉노 왕의 칭호 저  1. 죽이다 2. (짐승을)잡다 3. 무찌르다 4. 짐승을 찢다, 찢어 죽이다 5. 앓다 6. 백정(白丁: 가축을 잡는 일을 업으로 삼는 사람) 7. 도수장(屠獸場: 도살장) 8. 지명 a. 흉노 왕의 칭호(稱號) (저) [부수]尸(주검시엄)

說 말씀 설,달랠 세,기뻐할 열,벗을 탈  1. 말씀 2. 문체(文體) 이름 3. 제사(祭祀) 이름 4. 말하다 5. 이야기하다 6. 서술하다(敍述--), 진술하다(陳述--) 

a. 달래다 (세) b. 유세하다(遊說--) (세) 

c. 기뻐하다, 기쁘다 (열) d. 즐거워하다 (열) e. 즐기다 (열) f. 공경하다(恭敬--) (열) g. 따르다, 복종하다(服從--) (열) h. 아첨하다(阿諂--) (열) i. 쉽다, 용이하다(容易--) (열) j. 헤아리다 (열) k. 기쁨, 희열(喜悅) (열) l. 수(數) (열) 

m. 벗다 (탈) n. 놓아주다 (탈) o. 빼앗기다 (탈) p. 제거하다(除去--) (탈) q. 용서하다(容恕--) (탈) [부수]言(말씀언)

走 달릴 주  1. 달리다 2. 달아나다 3. 걷다 4. 가다 5. 떠나가다 6. 나아가다 7. 길짐승 8. 종, 노비(奴婢), 하인(下人) 9. 심부름꾼 10. 종종걸음 11. 저, 자신(自身)의 겸칭(謙稱) 12. 달리기의 등급(等級) [부수]走(달릴주)

寇 도적 구  1. 도적(盜賊: 도둑) 2. 떼도둑 3. 외적 4. 원수(怨讐) 5. 난리(亂離) 6. 병기(兵器) 7. 성(姓)의 하나 8. 약탈하다(掠奪--) 9. 침범하다(侵犯--) 10. 노략질하다(擄掠---) 11. 해치다 12. 쳐들어오다... [부수]宀(갓머리)

郢 초나라 서울 영   1. 초나라(楚--) 서울 2. 땅의 이름 3. 절기(節氣) 이름 4. 가다 [부수]阝(우부방)

綦 연둣빛 비단 기  1. 연둣빛 비단(緋緞) 2. 무늬 비단(緋緞) 3. 빛깔 이름 4. 들메끈(신을 발에 동여매는 끈) 5. 바탕 6. 신 자국 7. 물의 이름 8. 끝가다 9. 지극하다(至極--) [부수]糸(실사)

旌 기 정  1. 기(새털로 장식한 기) 2. 왕명을 받은 신하에게 신임의 표시(表示)로 주던 기 3. 천자(天子)가 사기를 고무할 때 쓰던 기 4. 절(節) 5. 나타내다 6. 밝히다 [부수]方(모방)

肆 방자할 사  1. 방자하다(放恣--) 2. 늘어놓다 3. 늦추다 4. 시험하다(試驗--) 5. 곧다 6. 찌르다 7. 마구간(馬廏間) 8. 가게 9. 넉 10. 드디어 [부수]聿(붓율)

遂 드디어 수,따를 수  1. 드디어, 마침내 2. 두루, 널리 3. 도랑(매우 좁고 작은 개울), 수로(水路) 4. 이루다 5. 생장하다(生長--) 6. 끝나다 7. 가다, 떠나가다 8. 나아가다 9. 답습하다(踏襲--) 10. 오래되다 11. 멀다, 아득하다... [부수]辶(책받침)



(참조 : http://www.yetgle.com/2jangja.htm 옛글닷컴 )



Initial releaseNovember 25, 2016 (USA)


이것 저것 자상하게 설명해주지 않는 아주 불친절한 영화다.

소재도 배경도 화면도 스토리도 아주 심플하다.

바다속의 장면이 나온다. 물고기들이 노닐고, 해초와 산호가 보이고, 바닷속의 장면이 별다른 설명도 없이,

어쩌면 제대로 된 배경 음악 마저도 최소화하고, 그 장면에서의 소리를 아주 리얼하게 들려준다. 물속의 음향, 마을에서의 소리

파도도 그냥 하나의 씬을 만들어 내는 부분이라기 보다는 파도 그 자체를 연기자처럼 보여 주는 장면 처리들...

거의 비슷한 또래의 남자아이들이 나오고, 또 비슷한 또래의 그아이들의 엄마들이 나오고,

마을과 살짝 떨어져 있는 병원 같기도 하고 실험실 같은 장소와 그 속에 비슷한 느낌의 간호사와 의사들.


바닷가 마을에 사는 이 소년은 거의 아무것도 없는 집에 살면서 매일 정해진 시각에 약을 먹고 잠을 자고...

엄마들로 보이는 여인들은 한 밤중에 바닷가에 모여 어떤 의식을 치른다.


이 꼬마 소년도 그 중에 한명...

그림을 그리기 좋아하는 이 친구와 무언가 인간적인 정감을 갖게 되는 간호사 1인...


뭔가 알 수 없는 실험들이 이 아이들과 엄마들, 그리고 병원 관계자들 모두의 협력 하에서 이루어 지고 있는데, 자세한 설명은 나오지 않는다.

그냥 몸속에 무언가를 심어 기르는 듯... 

그리고 그것이 적당(?)히 자라면 그것을 꺼집어 내고 

그것들의 숙주가 되었던 아이들은 그냥 처리 되어 지는 듯한 분위기를 살짝 보여 준다.


하지만 '엄마가 엄마가 아니었고, 자신들도 하나의 인간이 아니라 단순히 실험 도구의 하나에 불과 하다는 것을 알게 되지만 작은 

한명의 소년으로서는 할 수 있는 것이 아무것도 없다.

하지만 살아 있고 생각하고 남과는 다른 하나의 존재로 인식하게 되는 간호사의 도움으로 


이 소년은 그 곳을 벗어 나게 된다.


아무튼 장면 장면들이 최대한 심플하게 처리 되면서 소리와 영상의 아름다움이 아주 참신하게 느껴진다.


2017. 1.





'끄적 끄적 > 영화감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ttle Forest Summer/Autumn, Winter/Spring, 2014, 2015]  (0) 2017.01.23
[Tokyo Girl, 2008]  (0) 2017.01.18
[A Gentle Breeze in the Village, 2008]  (0) 2017.01.17
[Paradise in Service, 2014]  (0) 2016.12.26
[L'avenir, 2016]  (0) 2016.11.07
A serious student learns to act on her emotions when a handsome new student arrives from the city.
Release dateJuly 24, 2008 (South Korea)


Kaho 가 나온다.

가만히 찾아 보니 카호가 나오는 영화를 전에 본 것 같은데 그 속에선 별로 존재감이 느껴지지 않았었다.


아무튼 바다에서 멀지 않은 시골마을이다.

작은 분교 - 초등학교 중학교 모두 합쳐 봐야 6명인 학교에 동경에서 한 남학생이 전학온다.

부모가 이혼을 하고 고향을 찾아 온 엄마와 함께 온 남학생.

순수하다고 밖에 더 붙일 말이 없는 듯한 이 아이들에게 동경에서 전학온 남학생은 자연스레 하나로 뭉쳐지고,

유일하고 동급생인 카호와도 조금씩 친밀해 진다.

더운 여름날 바닷가에 놀러 가는 모습들. 가는 길에 나오는 누군가 자살해 죽은 다리. 이 다리를 무서워 하는 아이들의 모습들.

그리고 어른이 되어서도 어릴때 함께 학교에 다니고 사귀기도 했던 정이 남아 있는 순박한 마을 사람들.

선생님과 함께 동경으로 간 중학교 수학여행의 모습들.

그리고 잠시 동경에 있는 고등학교로 진학하려던 이 남학생은 카호와 함께 시골에 있는 고등학교로 진학 한다는 것과 함께 

언제나 그렇듯이 큰 사고 사건, 비극 없이 모두가 행복한 결말.

2017. 1.




'끄적 끄적 > 영화감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Tokyo Girl, 2008]  (0) 2017.01.18
[Evolution, 2015]  (0) 2017.01.17
[Paradise in Service, 2014]  (0) 2016.12.26
[L'avenir, 2016]  (0) 2016.11.07
[Enter nowhere, 2011]  (0) 2016.09.19

莊子(雜篇) ; 第28篇 讓王 6


293` 남의 말에 의한 판단은 옳지 못하다 (잡편:28.양왕,6) 

- 장자(잡편) ; 제28편 양왕[6]- 

열자가 궁하여 용모에 굶주린 빛이 역력했다. 한 손님이 그런 사실을 정나라 자양에게 말했다. 

“열자는 도를 터득하고 있는 사람입니다. 선생님의 나라에 살면서 궁해졌다면 선생님께서 선비를 좋아하지 않는 것이 되지 않겠습니까?” 

정나라 자양은 곧 관리들에게 명하여 열자에게 양식을 보내주도록 했다. 열자는 사자들을 보자 두 번 절하고 사양했다. 사자들이 떠난 뒤 열자가 들어오자, 그의 처가 열자를 보고 가슴을 치며 말했다. 

“제가 듣건대 도를 터득한 사람의 처자들은 누구나 안락함을 누린다 했습니다. 지금 굶주린 빛이 짙어, 그분이 사람을 시켜 먹을 것을 보내어 왔는데도 당신은 받지 않았습니다. 어찌 천명이 아니겠습니까?” 

열자가 웃으면서 그의 처에게 말했다. 

“그분은 자신이 나를 알아 본 것이 아니오. 남의 말만 듣고서 나에게 양식을 보낸 것이오. 그러니 나에게 죄를 주는 일도 역시 남의 말만 듣고 그렇게 할 것이오. 이것이 내가 받지 않은 까닭이오.” 

그 뒤에 백성들이 결국 난리를 일으키어 자양을 죽여버렸다. 


- 莊子(雜篇) ; 第28篇 讓王[6]- 

子列子窮, 容貌有飢色. 客有言之於鄭子陽者曰:「列禦寇, 蓋有道之士也, 居君之國而窮, 君无乃爲不好士乎?」 鄭子陽卽令官遺之粟. 子列子見使者, 再拜而辭. 

使者去, 子列子入, 其妻望之而拊心曰:「妾聞爲有道者之妻子, 皆得佚樂, 今有飢色. 君過而遺先生食, 先生不受, 豈不命邪!」 

子列子笑謂之曰:「君非自知我也. 以人之言而遺我粟, 至其罪我也又且以人之言, 此吾所以不受也.」 其卒, 民果作難而殺子陽. 

(자열자궁, 용모유기색. 객유언지어정자양자왈:[열어구, 개유도지사야, 거군지국이궁, 군무내위불호사호?] 정자양즉령관유지속. 자열자견사자, 재배이사.

사자거, 자열자입, 기처망지이부심왈:[첩문위유도자지처자, 개득일락, 금유기색. 군과이유선생식, 선생불수, 기불령야!]

자열자소위지왈:[군비자지아야. 이인지언이유아속, 지기죄아야우차이인지언. 차오소이불수야.] 기졸, 민과작난이살자양.)


禦 막을 어  1. 막다, 방어하다(防禦--) 2. 금하다(禁--), 금지하다(禁止--) 3. 멈추다 4. 항거하다(抗拒--), 저항하다(抵抗--) 5. 제사(祭祀) 지내다 6. 올리다, 바치다 7. 필적하다(匹敵--: 능력이나 세력이 엇비슷하여... [부수]示(보일시)

寇 도적 구  1. 도적(盜賊: 도둑) 2. 떼도둑 3. 외적 4. 원수(怨讐) 5. 난리(亂離) 6. 병기(兵器) 7. 성(姓)의 하나 8. 약탈하다(掠奪--) 9. 침범하다(侵犯--) 10. 노략질하다(擄掠---) 11. 해치다 12. 쳐들어오다... [부수]宀(갓머리)

蓋 덮을 개,어찌 합  1. 덮다 2. 덮어 씌우다 3. 숭상하다(崇尙--) 4. 뛰어나다 5. 해치다(害--) 6. 뚜껑 7. 덮개 8. 하늘 9. 상천(上天) 10. 일산(日傘: 자루가 굽은 부채의 일종(一種)으로 의장(儀杖)의 한 가지) 11. 모두... [부수]艹(초두머리)

卽 곧 즉  1. 곧 2. 이제 3. 만약(萬若), 만일(萬一) 4. 혹은(或-: 그렇지 아니하면) 5. 가깝다 6. 가까이하다 7. 나아가다 8. 끝나다 9. 죽다 10. 불똥 [부수]卩(병부절)

粟 조 속  1. 조, 오곡(五穀)의 하나 2. 오곡(五穀) 3. 겉곡식(-穀食) 4. 좁쌀 5. 과립(顆粒) 6. 식량(食糧), 양식(糧食) 7. 녹(祿), 녹봉(祿俸: 벼슬아치에게 주던 급료) 8. 소름 9. 공경하다(恭敬--) [부수]米(쌀미)

拊 어루만질 부  1. 어루만지다, 사랑하다 2. 붙다 3. 치다, 가볍게 두드리다 4. (악기를)타다 5. 자루(끝에 달린 손잡이), 손잡이 6. 악기(樂器) 이름 [부수]扌(재방변)

佚 편안할 일,방탕할 질  1. 편안하다(便安--) 2. 숨다 3. 달아나다 4. 잃다, 없어지다 5. 예쁘다 6. 아름답다 7. 요염하다(妖艶--) 8. 허물 9. 실수(失手) a. 방탕하다(放蕩--) (질) b. 질탕하다(跌宕ㆍ佚蕩--: 신이 나서 정도가... [부수]亻(사람인변)

遺 남길 유,따를 수  1. 남기다, 남다 2. 끼치다, 전하다(傳--) 3. 잃다 4. 버리다, 유기하다(遺棄--) 5. 잊다 6. 두다, 놓다 7. 떨어지다, 떨어뜨리다 8. 빠지다, 빠뜨리다 9. 쇠퇴하다(衰退ㆍ衰頹--) 10. 빠르다 11. 더하다,... [부수]辶(책받침)



(참조 : http://www.yetgle.com/2jangja.htm 옛글닷컴 )



莊子(雜篇) ; 第28篇 讓王 5


292` 귀중한 것으로 하찮은 것을 얻으려 마라 (잡편:28.양왕,5)

- 장자(잡편) ; 제28편 양왕[5]- 

노나라 임금이 안합은 도를 터득한 사람이라는 말을 듣고, 사람을 시켜 폐물을 들고 가서 모셔오게 했다. 안합은 누추한 집에 살면서, 삼베옷을 입고 소에게 먹이를 먹이고 있다가 노나라 임금의 사신이 찾아오자 그를 맞이했다. 

사신이 말했다. “여기가 안합의 집입니까?” 

안합이 대답했다. “그렇습니다.” 

사신들이 폐물을 바치자 안합이 말했다. 

“아마 잘못 듣고 사신을 보내어 죄가 될지도 모르니 다시 한번 확인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사신들이 돌아가 확인을 한 다음 다시 와서 그를 찾으니 이미 그를 찾을 수가 없었다. 그러므로 안합 같은 인물이야말로 정말로 부귀를 싫어하는 것이라 할 것이다. 

그러므로 말하기를「진실한 도로써 자기 몸을 다스리고, 그 나머지로써 나라를 돌보고, 그 찌꺼기로서 천하를 다스리는 것이다」이라고 하는 것이다. 

이렇게 본다면 제왕들의 공로란 성인들의 여분의 일인 것이며, 그런 일은 자신을 완전히 간수하고 삶을 보양하는 방법은 되지 못하는 것이다. 지금 세속의 군자들은 대부분이 자신을 위험에 빠뜨리고 삶을 버리면서까지 사물을 추구하고 있으니, 어찌 슬프지 않은가? 모든 성인의 행동이란 반드시 그것을 하는 까닭과 그것을 하는 방법을 반드시 먼저 살피는 것이다. 지금 여기에 어느 사람이 수후의 구슬로써 천길 높이의 참새를 쏘았다면 제상 사람들은 반드시 그를 비웃을 것이다. 그것은 그가 사용한 것이 귀한 것임에 반하여 그것으로 얻은 것은 가벼운 것이기 때문이다. 사람의 삶이 어찌 수후의 구슬의 귀중함에 비교되겠는가? 


- 莊子(雜篇) ; 第28篇 讓王[5]- 

魯君聞顔闔得道之人也, 使人以幣先焉. 顔闔守陋閭, 苴布之衣而自飯牛. 魯君之使者至, 顔闔自對之. 使者曰:「此顔闔之家與?」 顔闔對曰:「此闔之家也.」 使者致幣, 顔闔對曰:「恐聽謬而遺使者罪, 不若審之.」 使者還, 反審之, 復來求之, 則不得已. 故若顔闔者, 眞惡富貴也. 

故曰, 道之眞以治身, 其緖餘以爲國家, 其土苴以治天下. 由此觀之, 帝王之功, 聖人之餘事也, 非所以完身養生也. 今世俗之君子, 多危身棄生以殉物, 豈不悲哉! 

凡聖人之動作也, 必察其所以之與其所以爲. 今且有人於此, 以隨侯之珠彈千仞之雀, 世必笑之. 是何也? 則其所用者重而所要者輕也. 夫生者, 豈特隨侯珠之重哉! 

(노군문안합득도지인야, 사인이폐선언. 안합수루려, 차포지의이자반우. 노군지사자지, 안합자대지. 사자왈:[차안합지가여?] 안합대왈:[차합지가야.] 사자치폐, 안합대왈:[공청류이유사자죄, 불약심지.]

사자환, 반심지, 복래구지, 즉부득이. 고약안합자, 진오부귀야. 

고왈, 도지진이치신, 기서여이위국가, 기사저이치천하. 유차관지, 제왕지공, 성인지여사야, 비소이완신양생야. 금세속지군자, 다위신엽생이순물, 기부비재!

범성인지동작야, 필찰기소이지여기소이위. 금차유인어차, 이수후지주탄천인지작, 세필소지. 시하야? 즉기소용자중이소요자경야. 부생자, 기특수후주지중재!)


闔 문짝 합  1. 문짝(門-) 2. 거적(짚으로 쳐서 자리처럼 만든 물건), 뜸(짚, 띠, 부들 따위로 거적처럼 엮어 만든 물건) 3. 온통 4. 전부의(全部-) 5. 통할하다(統轄--: 모두 거느려 다스리다) 6. 어찌 ~아니하랴... [부수]門(문문)

幣 화폐 폐  1. 화폐(貨幣) 2. 비단(緋緞) 3. 폐백(幣帛) 4. 재물(財物) [부수]巾(수건건)

陋 더러울 루,더러울 누  1. 더럽다, 천하다(賤--) 2. 못생기다, 추하다(醜--) 3. (신분이)낮다 4. 볼품없다 5. 작다, 왜소하다(矮小--) 6. 궁벽하다(窮僻--) 7. 좁다, 협소하다(狹小--) 8. 거칠다 9. 숨기다, 은닉하다(隱匿--) [부수]阝(좌부변)

閭 마을 려,마을 여  1. 마을 2. 이문(里門, 동네의 어귀에 세운 문) [부수]門(문문)

苴 깔 저,물 위에 뜬 풀 차,두엄풀 자,절인 채소 조  1. 깔다 2. 검다 3. 거칠다 4. 삼(열매가 여는 삼) 5. 삼씨(삼의 씨) 6. 꾸러미 7. 성(姓)의 하나 a. 물 위에 뜬 풀 (차) b. 마른 풀 (차) c. 두엄풀 (자) d. 절인 채소(菜蔬) (조) [부수]艹(초두머리)

致 이를 치,빽빽할 치  1. 이르다(어떤 장소나 시간에 닿다), 도달하다(到達--) 2. 다하다 3. 이루다 4. 부르다 5. 보내다 6. 그만두다 7. 주다, 내주다 8. 깁다(떨어지거나 해어진 곳을 꿰매다) 9. 꿰매다 10. 빽빽하다 11.... [부수]至(이를지)

恐 두려울 공  1. 두렵다, 두려워하다 2. 무서워하다 3. 공갈하다(恐喝--) 4. 위협하다(威脅--), 으르다(무서운 말이나 행동으로 위협하다) 5. 염려하다(念慮--), 조심하다 6. 두려움 7. 아마도 [부수]心(마음심)

聽 들을 청  1. 듣다 2. 들어 주다 3. 판결하다(判決--) 4. 결정하다(決定--) 5. 다스리다 6. 받아 들이다, 허락하다(許諾▼--) 7. 용서하다(容恕--) 8. 살피다, 밝히다 9. 기다리다 10. 따르다, 순종하다(順從--)... [부수]耳(귀이)

謬 그르칠 류,그르칠 유  1. 그르치다 2. 잘못하다 3. 속이다 4. 착오(錯誤)를 저지르다 5. 틀리다 6. 사리에 맞지 않다 7. 어긋나다 8. 잘못 9. 착오(錯誤) 10. 미친 소리 [부수]言(말씀언)

遺 남길 유,따를 수  1. 남기다, 남다 2. 끼치다, 전하다(傳--) 3. 잃다 4. 버리다, 유기하다(遺棄--) 5. 잊다 6. 두다, 놓다 7. 떨어지다, 떨어뜨리다 8. 빠지다, 빠뜨리다 9. 쇠퇴하다(衰退ㆍ衰頹--) 10. 빠르다 11. 더하다,... [부수]辶(책받침)

審 살필 심,빙빙 돌 반  1. 살피다, 주의하여 보다 2. 자세(仔細ㆍ子細)히 밝히다 3. 깨닫다 4. 듣다, 잘 들어 두다 5. 환히 알다, 밝게 알다 6. 조사하다(調査--) 7. 묶다 8. 바루다, 바르게 하다 9. 정하다(定--), 안정시키... [부수]宀(갓머리)

惡 악할 악,미워할 오  1. 악하다(惡--) 2. 나쁘다 3. 더럽다 4. 추하다(醜--) 5. 못생기다 6. 흉년(凶年) 들다 7. 병들다(病--), 앓다 8. 죄인(罪人)을 형벌(刑罰)로써 죽이다 9. 더러움, 추악(醜惡)함 10. 똥, 대변(大便) 11.... [부수]心(마음심)

緖餘 나머지, 잔여(殘餘)

緖 실마리 서,나머지 사  1. 실마리 2. 첫머리, 시초(始初) 3. 차례(次例), 순서(順序) 4. 차례(次例)를 세워 선 줄 5. 계통(系統), 줄기 6. 사업(事業), 일 7. 나머지 8. 마음 9. 찾다 a. 나머지 (사) [부수]糸(실사)

餘 남을 여  1. 남다 2. 남기다 3. 나머지 4. 나머지 시간(時間) 5. 여가 6. 여분 7. 정식 이외의 8. 다른 [부수]飠(밥식변)

殉 따라 죽을 순  1. 따라 죽다, 순사하다(殉死--) 2. 순장하다(殉葬--) 3. (목숨을)바치다 4. 따르다 5. 추구하다(追求--), 탐하다(貪--) 6. 경영하다(經營--) 7. 돌다, 순행하다(巡行--) 8. 순장(殉葬)할 사람 [부수]歹(죽을사변)

隨 따를 수,게으를 타  1. 따르다 2. 추종하다(追從--) 3. 부화하다(附和--: 주견이 없이 경솔하게 남의 의견에 따르다) 4. 좇다, 추구하다(追求--) 5. 발 6. 발꿈치 7. 괘(卦)의 이름 8. 따라서 9. 즉시, 곧바로 a. 게으르다... [부수]阝(좌부변)

侯 제후 후,어조사 혜  1. 제후(諸侯) 2. 임금 3. 후작 4. 과녁 5. 오직 6. 어찌 7. 아름답다 a. 어조사(語助辭) (혜) [부수]亻(사람인변)

彈 탄알 탄  1. 탄알(彈-) 2. 탄알(彈-)을 쏘는 활 3. 과실(果實) 4. 열매 5. 튀기다 6. 두드리다 7. 힐책하다(詰責--) 8. 탄핵하다(彈劾--) 9. 바루다 10. 타다 11. 연주하다(演奏--) 12. 치다 [부수]弓(활궁)

仞 길 인  1. 길다 2. 재다 3. 깊다 4. 높다 5. 차다 6. 채우다 7. 알다 8. 길(길이의 단위) [부수]亻(사람인변)



(참조 : http://www.yetgle.com/2jangja.htm 옛글닷컴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