莊子(雜篇) ; 第28篇 讓王 8
295` 자기 분수에 따라 도를 추구할 줄 알아야 한다 (잡편:28.양왕,8)
- 장자(잡편) ; 제28편 양왕[8]-
원헌이 노나라에 살고 있을 때, 그의 집은 사방 한 칸 정도의 작은 집이었는데, 초가지붕에는 풀이 자라 있었고, 싸리문은 부서져 있고, 뽕나무 줄기로 문지도리를 삼았으며, 깨진 항아리를 박아 창을 낸 두 개의 방이 있었는데, 칡으로 창을 가리고 있었다. 위에서는 비가 새고 아래 바닥은 축축했는데, 원헌은 똑바로 앉아서 금을 뜯으며 노래하고 있었다.
자공은 큰 말이 끄는 수레를 탔는데, 수레 안쪽은 보랏빛 천으로 장식하고 겉포장은 흰 천으로 만든 것이었다. 이 큰 수레가 그의 집 골목 안으로 들어갈 수가 없어서 그는 걸어가서 원헌을 만났다. 원헌은 가죽나무 껍질 관을 쓰고 뒤축도 없는 신을 신은 채 지팡이를 짚고 문으로 나와 그를 마중했다.
자공이 말했다.
“선생께서는 어찌 이렇게 고생을 하시며 사십니까?”
원헌이 대답했다. “내가 듣건대 재물이 없는 것은 가난하다고 말하고, 배우고도 행하지 못하는 것을 고생하는 것이라 말한다 했습니다. 지금 나는 가난한 것이지 고생하는 것은 아닙니다.”
자공은 우물쭈물 뒷걸음질치면서 부끄러운 얼굴빛을 띠었다.
원헌이 웃으며 말했다.
“세상의 평판을 바라면서 행동하고, 자기와 친하게 어울리는 사람만을 벗하고, 학문은 남에게 뽐내기 위해서 하고, 가르침은 자기의 이익을 위해서 하고, 인의를 내세워 간악한 짓을 하고, 수레와 말을 장식하고 하는 일들은 나로서는 차마 하지 못할 일입니다.”
- 莊子(雜篇) ; 第28篇 讓王[8]-
原憲居魯, 環堵之室, 茨以生草. 蓬戶不完, 桑以爲樞. 而甕牖二室, 褐以爲塞. 上漏下濕, 匡坐而弦歌.
子貢乘大馬, 中紺而表素, 軒車不容巷, 往見原憲. 原憲華冠縰履, 杖藜而應門.
子貢曰:「嘻! 先生何病?」
原憲應之曰:「憲聞之, 无財謂之貧, 學道而不能行謂之病. 今憲, 貧也, 非病也.」
子貢逡巡而有愧色.
原憲笑曰:「夫希世而行, 比周而友, 學以爲人, 敎以爲己, 仁義之慝, 與馬之飾, 憲不忍爲也.」
(원헌거노, 환도지실, 자이생초. 봉호불완, 상이위구. 이옹유이실, 갈이위색. 상루하습, 광좌이현가. 자공승대마, 중감이표소, 헌차불용, 왕견원헌. 원헌화관쇄리, 장려이응문.
자공왈:[희! 선생하병?]
원헌응지왈:[헌문지, 무재위지빈, 학도이불능행위지병. 금헌, 빈야, 비병야.]
자공준순이유괴색.
원헌소왈:[[부희세이행, 비주이우, 학이위인, 교이위기, 인의지특, 여마지식, 헌불인위야.]]
堵 담 도,강 이름 자 1. 담, 담장(-牆) 2. 거처(居處), 담의 안 3. 악기(樂器)를 다는 틀 4. 이것, 저것 5. 막다, 틀어막다 6. 편안(便安)히 살다 a. 강(江) 이름 (자) b. 산(山) 이름 (자) [부수]土(흙토)
茨 지붕 일 자 1. 지붕을 이다 2. 잇다 3. 쌓다 4. 이엉으로 덮은 지붕 5. 남가새(남가샛과에 딸린 한해살이풀) [부수]艹(초두머리)
蓬 쑥 봉 1. 쑥(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2. 뜸(물에 띄워서 그물, 낚시 따위의 어구를 위쪽으로 지탱하는 데에 쓰는 물건) 3. (과일의)껍질 4. 봉래산(蓬萊山) 5. 흐트러지다 6. 떠돌아다니다 7. 성(盛)하게 일어나다 [부수]艹(초두머리)
桑 뽕나무 상 1. 뽕나무 2. 뽕잎을 따다 [부수]木(나무목)
樞 지도리 추,나무 이름 우 1. 지도리(돌쩌귀) 2. 근원(根源) 3. 본질(本質) 4. 가장 중요(重要)한 부분(部分) 5. 관건(關鍵) 6. 계기(契機) 7. 고동(기계 장치) 8. 천자(天子)의 지위(地位) 9. 국가(國家)의 정권(政權) 10. 별 이름... [부수]木(나무목)
甕 독 옹 1. 독(큰 오지그릇이나 질그릇) 2. 항아리 [부수]瓦(기와와)
牖 들창 유 1. 들창(-窓: 들어서 여는 창) 2. 성(姓)의 하나 3. 깨우치다 [부수]片(조각편)
褐 갈색 갈,굵은 베 갈 1. 갈색 2. 베옷 3. 굵은 베 4. 털옷 5. 다색(茶色) 6. 천한 사람 7. 성(姓)의 하나 [부수]衤(옷의변)
塞 막힐 색,변방 새 1. 막히다 2. 막다 3. 차다 4. 성채(城砦: 성과 요새를 아울러 이르는 말) a. 변방(邊方) (새) b. 요새 (새) c. 보루(堡壘: 적의 침입을 막기 위해 튼튼하게 쌓은 구축물) (새) d. 주사위(놀이 도구의...[부수]土(흙토)
漏 샐 루,샐 누 1. 새다 2. 틈이 나다 3. 빠뜨리다 4. 구멍 5. 누수기(漏水器: 물시계) 6. 서북 모퉁이 7. 병(病) 이름 8. 번뇌(煩惱) 9. 물시계 [부수]氵(삼수변)
濕 젖을 습,나라 이름 합,물 이름 답 1. 젖다(물이 배어 축축하게 되다) 2. 축축하다 3. 마르다, 말리다 4. 낮추다 5. 스스로 비하하다(卑下--) 6. 습기(濕氣) 7. 물기 8. 자연(自然) 그대로의 것 a. 나라 이름 (합) b. 물 이름 (답) [부수]氵(삼수변)
匡 바를 광,앉은뱅이 왕 1. 바르다 2. 바로잡다, 바루다 3. 구원하다(救援--), 구제하다(救濟--) 4. 돕다, 보좌하다(補佐ㆍ輔佐--) 5. 비뚤다, 휘다 6. 두려워하다, 겁내다 7. 편안하다(便安--) 8. 눈자위(눈알의 언저리) 9. 광주리(대,... [부수]匚(튼입구몸)
弦 시위 현 1. 활시위, 시위 2. 악기줄(樂器-) 3. 초승달 4. 직각 삼각형의 사변 5. 시위의 울림 6. (현악기를)타다 7. (혈관이 부어)맥박(脈搏)이 빠르게 뛰다 [부수]弓(활궁)
紺 감색 감,연보라 감 1. 감색 2. 야청빛(검은 빛을 띤 푸른 빛) 3. 연보라 4. 반물 [부수]糸(실사)
表 겉 표,시계 표 1. 겉, 거죽, 겉면 2. 바깥 3. 표, 도표(圖表) 4. 모범(模範), 규범(規範) 5. 푯말(標-: 어떤 것을 표지하기 위하여 세우는 말뚝), 표지(標識) 6. 웃옷 7. 문체(文體) 이름 8. 시계(時計) 9. 해시계(-時計)의... [부수]衣(옷의)
素 본디 소,흴 소 1. 본디 2. 바탕 3. 성질(性質) 4. 정성(精誠) 5. 평소(平素) 6. 처음 7. 흰깁 8. 희다 9. 질박하다(質樸ㆍ質朴--: 꾸민 데가 없이 수수하다) 10. 넓다 11. 부질없다 12. 옳다 [부수]糸(실사)
軒 집 헌 1. 집 2. 추녀(처마의 네 귀에 있는 큰 서까래), 처마(지붕이 도리 밖으로 내민 부분) 3. 수레, 초헌(軺軒: 벼슬아치가 타던 수레) 4. 난간(欄干ㆍ欄杆) 5. 창(窓), 들창(-窓: 들어서 여는 창) 6. 행랑(行廊:... [부수]車(수레거)
巷 거리 항 1. 거리, 시가(市街) 2. 문밖(門-) 3. 복도(複道) 4. 궁궐(宮闕) 안의 통로(通路)나 복도(複道) 5. 마을, 동네 6. 집, 주택(住宅) [부수]己(몸기)
冠 갓 관 1. 갓, 관 2. 닭의 볏 3. 관례(冠禮) 4. 관례(冠禮)를 올린 성인(成人) 5. 성년(成年), 나이 스무 살을 이르는 말 6. 으뜸, 우두머리 7. (갓을)쓰다 8. (무리에서)뛰어나다 9. 덮다 [부수]冖(민갓머리)
縰 머리쓰개 쇄 1. 머리쓰개(여자들이 머리 위에 쓰는 수건, 장옷, 너울 따위를 통틀어 이르는 말) 2. 많은 모양 [부수]糸(실사)
履 밟을 리,밟을 이,신 리,신 이 1. 밟다 2. (신을)신다 3. 행하다(行--) 4. 겪다 5. 지위(地位)에 오르다, 자리에 나아가다 6. 신, 신발 7. 괘(卦)의 이름 8. 복(福), 복록(福祿) 9. 행실(行實), 행하는 바, 행동(行動) 10. 밟는 땅,... [부수]尸(주검시엄)
杖 지팡이 장 1. 지팡이 2. 몽둥이 3. 장형(杖刑: 죄인의 볼기를 큰 형장으로 치던 형벌) 4. 창(槍) 자루(끝에 달린 손잡이) 5. 짚다 6. 때리다 7. 의지하다(依支--) 8. 잡다 [부수]木(나무목)
藜 명아주 려,명아주 여 1. 명아주(명아줏과의 한해살이풀) 2. 나라의 이름 [부수]艹(초두머리)
應 응할 응 1. 응하다(應--) 2. 대답하다(對答--) 3. 맞장구치다 4. 승낙하다(承諾--) 5. 화답하다(和答--) 6. 당하다(當--) 7. 응당 ~하여야 한다 8. 받다 9. 아마도 10. 조짐(兆朕)이나 대답(對答) 11. 성(姓)의... [부수]心(마음심)
逡 뒷걸음질칠 준 1. 뒷걸음질치다 2. 머뭇거리다 3. 차례(次例)가 있다 4. 빠르다 5. 토끼 6. 달의 운행(運行) [부수]辶(책받침)
巡 돌 순,순행할 순,따를 연 1. 돌다 2. 순행하다(巡行--) 3. 따르다 4. 돌아보다, 살피다 5. 어루만지다 6. 활 쏘는 수를 세는 단위(單位) a. 따르다(=沿) (연) b. 끼고 돌다 (연) [부수]巛(개미허리)
逡巡 (나아가지 못 하고) 뒤로 멈칫멈칫 물러남 ②어떤 일을 단행(斷行)하지 못하고 우물쭈물함
愧 부끄러울 괴 1. 부끄럽다 2. 부끄러워하다 3. 수치(羞恥)를 느끼다 4. 창피(猖披)를 주다, 모욕하다(侮辱--) 5. 탓하다, 책망하다(責望--) 6. 부끄러움 [부수]忄(심방변)
希 바랄 희,칡베 치 1. 바라다 2. 동경하다(憧憬--) 3. 희망하다(希望--) 4. 사모하다(思慕--) 5. 앙모하다(仰慕--) 6. 드물다 7. 성기다(물건의 사이가 뜨다) 8. 적다 a. 칡베 (치) [부수]巾(수건건)
慝 사특할 특,숨길 닉,숨길 익 1. 사특하다(邪慝--: 요사스럽고 간특하다), 간사하다(奸邪--: 마음이 바르지 않다) 2. 악하다(惡--), 못되다 3. 더럽다, 더럽혀지다 4. 어긋나다, 변경되다(變更--) 5. 재앙(災殃), 재해(災害) 6. 악(惡)한... [부수]心(마음심)
飾 꾸밀 식,경계할 칙 1. 꾸미다 2. 단장하다(丹粧--) 3. 위장하다(僞裝--), 거짓으로 꾸미다 4. 씻다 5. 꾸밈 6. 장식(粧飾) 7. 보물(寶物) 8. 가선(-縇: 의복의 가장자리를 딴 헝겊으로 가늘게 싸서 돌린 선) a. 경계하다(警戒--)... [부수]飠(밥식변)
(참조 : http://www.yetgle.com/2jangja.htm 옛글닷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