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有物混成, 先天地生, 寂兮寥兮, 獨立不改, 周行而不殆, 可以爲天下母, 吾不知其名,
유물혼성 선천지생 적혜료혜 독립불개 주행이불태 가이위천하모 오부지기명
混(혼)섞을,혼탁하다,흐리다,가장하다,[ hùn ]혼합하다, 되는데로 살다, 함께교류하다, 함부로, 되는대로, 남을 속이다, 더럽다/寂[ jì ](적)고요하다, 쓸쓸하다/寥[ liáo ](료)쓸쓸할, 공허하다, 적다,드물다/寂寥[ jìliáo ]조용하다,고요하다,광활하다, 넓디넓다/殆[ dài ](태)위태로울, 거의, 대체로
字之曰道, 强爲之名曰大, 大曰逝, 逝曰遠, 遠曰反, 故道大, 天大, 地大, 王亦大,
자지왈도 강위지명왈대 대왈서 서왈원 원왈반 고도대 천대 지대 왕역대
逝(서)갈,죽다,날다,달리다,맹세하다,[ shì ](물,시간등이)지나가다, 흐르다, 죽다
域中有四大, 而王居其一焉, 人法地, 地法天, 天法道, 道法自然.
역중유사대 이왕거기일언 인법지 지법천 천법도 도법자연
法[ fǎ ] 법,방식,본보기로 삼다, 적법한, 모범, 도리/域(역)지경, 구역, 나라, 국가, 경계
- 참고 : 모든 것이 섞여있었으니, 하늘과 땅이 생기기 전이었다. 조용하고 알 수 없구나! 변함없이 홀로 서있네. 두루 미치나 쉬지 않으니 우주의 어미가 될 만하구나. 나는 그 이름을 알지못하나, 억지로 쓰자니 도라 쓰고, 억지로 부르자니 크다고 한다. 큰 것은 가는 것이요, 가는 것은 널리 미치는 것이며, 널리 미치는 것은 되돌아옴이다. 그리하여 도가 크고, 하늘이 크며, 땅도 크고, 사람 또한 크다. 우주엔 큰 것이 네 개 있는데 사람도 그 한자리를 얻는다. 사람은 땅을 따르고, 땅은 하늘을 따르며, 하늘은 도를 따르고, 도는 스스로 그러하다.
- 참고자료 : 혼돈되이 이루어진 것이 있었으니 천지보다도 앞서 생겼다. 적막하여라! 쓸쓸하도다! 외로이 서있건만 함부로 변하지 않는다. 가지 않는 데가 없건만 위태롭지 아니하니 천하의 어미를 삼을 만하네. 나는 그 이름 알 길 없어, 그것을 글자로 나타내어 ‘도’라 하고 억지로 그것을 이름 지어 ‘크다’고 말하지. 큰 것은 가게 마련이고 가는 것은 멀어지게 마련이고, 멀어지는 것은 되돌아오게 마련이네. 그러므로 도는 크고, 하늘은 크고, 땅은 크고, 왕 또한 크도다. 너른 세계 속에 이 넷의 큼이 있으니, 왕이 그 중의 하나로다. 사람은 땅을 본받고, 땅은 하늘을 본받고, 하늘은 도를 본받는데, 도는 스스로 그러함을 본받을 뿐이지.
* 우주 구상이 전국중엽에 이미 명료하게 보편화되어 있음을 말해주는 사상적으로 가장 포괄적이고, 핵심적인 장이다.
* ‘도’라는 카오스가 천지(天地)라는 우주에 대해 가치론적으로 더 본질적이며, 더 근원적이다. 모든 사물은 극에 도달하면 다시 원위치로 돌아온다는 자연 순환사상이 있다. 자연을 비실체적으로 파악하는 도(道)의 자연주의 개방주의 즉, ‘스스로 그러함’의 철학이 천지 코스몰로지적인 세계관의 틀 속에서 매우 명료하게 규정되어 있다.
* 하나님의 창조는 “무로부터 창조”이다. 아무것도 없는데서 천지(天地)를 창조해낸 것이다. 하지만, 노자사상은 천지(天地)이전에 혼성자(混成者)가 있었고, 그 혼성자가 또 역으로 천지로 변형되었음을 말하는 상호작용 관계를 설명하는 생(生)에 불과한 것이다.
* 기독교에서 말하는 로고스는 시간 밖에 있다. 하지만, 혼성은 시간 내에 있다. 즉, 천지에 앞선다는 것이 시간에 앞선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따라서 혼성자는 시간 안에 있다.
* 어지럽게 섞여 있어 그것을 도무지 규정할 길이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만물이 그로 말미암아 생성되고 있는 것이다. 그래서 “혼성”이라는 표현을 사용한 것이다. 그리고 또 그 혼성자가 누구의 아들인지 알 수가 없다. 그래서 “천지보다 앞서 생겨났다”라고 말한 것이다. ‘적막하다’니 ‘쓸쓸하다’니 하는 표현들은 모두 형체가 없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도(道)적인 세계에는 짝지을 만한 구체적 물상이 있을 수 없다. 그래서 “외로이 서있다.”라고 말한 것이다. 그리고 이것은 시작과 끝은 끊임없이 반복하면서 변화하지만, 그 항상 됨을 잃지 않는다. 그러므로 “함부로 변하지 않는다.” 라고 말한 것이다. 두루 다니어 이르지 않는 곳이 없으면서도 위험에 빠지지 않는다. 항상 생명력을 불어넣으며 그 큰 모습을 온전하게 한다. 그러므로 “천하의 어미가 될 수 있다.” 라고 말한 것이다.
* 도(道)는 근원적으로 혼성된 것이어서 어떠한 형체적 규정성도 거부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그 이름을 알 수 없다는 것이다. “내가 그것을 글자로 나타내어 도라고 했다.”고 한 까닭은 말로 표현할 수 있는 것 중에서 가장 큰 것을 일컬었다한 바로 그 사실에서 취하여 온 것이다. 그런데 또다시 그 글자가 규정하는 바의 말미암음을 정확히 따지려고 든다면 우리는 또다시 그 “크다”고 하는 말에 얽매이게 될 것이다. 그래서 노자는 말하기를 “억지로 그것을 이름지어 크다”라고 한 것이다. “도”라고 말한 것은 이미 그것이 말미암음이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다시 말해서 말미암음이 있고 나서 연후에 “도”됨을 일컬은 것이다. 그렇게 되면 이러한 “도”는 결국 언어문자로 일컬을 수 있는 것 중에서 “큰 것”이다. 그것은 결코 언어문자로 일컬을 수 없는 무칭의 큼이 아니다. 일컬을 수 없으며, 얻어 이름할 수 없는 것을 말하여 노자는 “역(域)”이라 하였다. 그래서 말하기를 “역(域) 속에 사대(도, 천, 지, 왕)가 있는 것이다.” 이 질
서적 구현 이외의 구현의 가능성도 무한히 존재한다는 뜻이다. 이 천지 이전의, 천지를 구현시키고 있는 그 바탕, 그 우주론적 최고 궁극의 가능태의 양(陽)을 왕필은 역(域)이라 부르고 있는 것이다.
* “스스로 그러하다”는 것은 말로 할 수 없을 때 나온 말이요, 그 극을 다했을 때 나온 말이다. 도는 스스로 그러함을 따라가기에 하늘은 그로 인하여 도를 말미암고, 하늘은 도를 본받기에 땅은 그로 인하여 하늘을 본받고, 땅은 하늘을 본받기에 사람은 그로 인하여 땅을 본뜨게되는 것이다. 그래서 사람은 왕이 되는 것이다. 도야 말로 “혼성(混成)”의 궁극자요, 더 이상본받아야할 대상을 지닐 수 없는 궁극적 무엇이라는데 있다. 무엇을 본받아야 한다. 그러나 본받을 수가 없다. 노자는 이에 대하여 현명한 대답을 제시한다. “도는 스스로 그러함을 본받는다.” 스스로 그러하다는 말은 부름이 없는 말이다. “스스로 그러하다”는 것은 아무런 정보를 주지 않는다. 그것은 어떠한 상태에 대한 기술이 아니다. 스스로 그러하다 함은 언어로 표현 불가능한 사태에 대한 유일한 언어적 표현인 것이다. 즉, 언어가 단절된 곳에서 피어오르는 언어인 것이다. “스스로 그러함, 自然”이란 “함이 없음(無爲)”의 다른 표현이다. 그러나 “스스로 그러함”이란 표현은 무위보다는 개방성이 강조되어 있다.
* “궁극”이란 결국 그 인간의 합리성의 극한에 도달한다는 말이다. “스스로 그러함”이란 인간의 합리성이 그 극한에 도달했을 때, 그것을 초극하는 최후적 발설이요, 그 발설이란 초합리적인 개방이라는 것이다. 인간의 위대성은 인간 자체로서 확보되는 것이 아니라, 지(地), 천(天), 도(道)를 거쳐 자연(自然)에 나아가는데 있다.
- 준이해석 : 천지가 생기기 전에 마구 섞여 있는 것이 있으니 고요하고 쓸쓸하며 홀로 서 있으면서도 개변하지 않고 두루 다니면서도 위태롭지 않으니 가히 천하의 어머니 같도다, 나는 그 이름을 모른다. 글로 쓰자면 도道라 불리우고 굳이 이름을 붙여 본다면 크다(大)라고 하고, 대는 가는 것(逝)이고, 서는 먼 것(遠)이고, 원은 반대(또는 돌아 온다,反)라고 하니, 고로 도가 크고, 하늘이 크고, 땅이 크고, 왕 또한 크다. 땅위에 있는 네 가지 큰 것, 그리고 왕 또한 그 중 하나이니, 사람은 땅의 법을 따르고, 땅은 하늘의 법을 따르고, 하늘은 도의 법을 따르고, 도는 자연의 법을 따른다(자연 = 스스로 그러하다)
- 준이생각 : 천지가 생기기 이전부터 있던 마구 섞여 있는 것... 이것이 자字가 도라 하고 명名이 대라고 하였다. (우리가 이름이라고 부르는 것이 바로 名字.) 이 도라는 것은 조용하고 쓸쓸하며(마치 우주공간과도 같은 느낌이랄까?),독립불개 하고 주행이불태라고 하는 속성을 지니며 이것은 크다고 하였다. 대라는 것은 이름에 해당 되는 것으로 이 성질을 설명하며 (크다)-(서서히 가다)-(멀다)-(돌아오다) 이 네가지 성질이 서로 이어져 있는 마치 하나를 가지면 자연히 다른 셋이 따라 오든가, 아니면 이 네가지 성질을 동시에 띄고 있는 것으로 이야기 하면서, 여기에 다시 (도)-(하늘)-(땅)-(왕) 4가지 큰 것을 이야기 하고 다시 (인간)-(땅)-(하늘)-(도)의 순으로 그 법을 따르며 도는 결국 그 자체로 따른다(자연)이라고 이야기 한다.
(크다)->(서서히 가다)->(멀다)->(돌아오다) = (도) (구름인가 ?)
(도) = (하늘) = (땅) = (왕,인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