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上士聞道, 勤而行之, 中士聞道, 若存若亡, 下士聞道, 大笑之, 不笑不足以爲道,
상사문도 근이행지 중사문도 약존약망 하사문도 대소지 불소부족이위도
若1. 같다 2. 어리다 3. 이와같다 4. 좇다 5. 너 6. 만약(萬若) 7. 및 8. 이에(及) 9. 바닷귀신(--鬼神) 10. 어조사(語助辭) 11. 성(姓)의 하나 a. 반야(般若: 만물의 참다운 실상을 깨닫고 불법을 꿰뚫는...
故建言有之, 明道若昧, 進道若退, 夷道若纇, 上德若谷, 大白若辱, 廣德若不足,
고건언유지 명도약매 진도약퇴 이도약뢰 상덕약곡 대백약욕 광덕약부족
昧(매)어두울/纇(뢰,뇌)실 마디,1. 실 마디 2. 맺힌 실 3. 흠 4. 잘못 5. 꽃봉오리 6. 어그러지다 7. 치우치다 8. 깊다/辱(욕)욕될/廣(광)넓을/夷(이)오랑캐,1. 오랑캐 2. 동방(東方) 종족(種族) 3. 잘못 4. 상하다(傷--) 5. 죽이다 6. 멸하다(滅--) 7. 평평하다(平平--) 8. 평탄하다(平坦--) 9. 깎다 10. 온화하다(溫和--) 11. 안온하다(安穩--: 조용하고 편안하다)...
建德若偸, 質眞若渝, 大方無隅, 大器晩成, 大音希聲, 大象無形, 道隱無名,
건덕약투 질진약유 대방무우 대기만성 대음희성 대상무형 도은무명
偸(투)훔칠,도둑질하다.사통하다,탐내다,구차하다/渝(투,유)변할, 넘치다,풀다,풀리다/隅(우)모퉁이
夫唯道, 善貸且成.
부유도 선대차성
- 참고 : 훌륭한 선비가 도를 들으면, 부지런히 행한다. 평범한 선비는 도를 들어도, 긴가민가 한다. 못난 선비가 도를 들으면, 크게 비웃는다. 웃지 않으면 도가 되기에 부족하다. 따라서 이를 굳이 말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밝은 도는 어두운 듯하고, 나아가는 도는 물러서는 듯하며, 평평한 도는 어그러진 듯하고, 훌륭한 덕은 계곡과 같으며, 크게 깨끗한 것은 더러운 듯하고, 넓은 덕은 넉넉하지 못한 듯하며, 말로 설명한 덕은 구차한 듯하고, 성질이 참된 것은 변하는 듯하며, 크게 모난 것은 귀퉁이가 없고, 큰 그릇은 천천히 만들어지며, 큰 소리는 들리지 않고 , 큰 모양은 형태가 없다. 도는 숨어서 이름도 없지만, 오직 도만이 (스스로를) 잘 빌려주고 (일을) 잘 이룬다.
- 참고자료1 : (출처 : 네이버블로그 무한진인)
뛰어난 근기를 지닌 사람은 道에 대해서 들으면,
그 말을 따라서 열심히 수행하려고 하오.
보통 근기의 사람은 道에 대해서 들으면,
듣는 둥 마는 둥, 긴가 민가 하는 것 같소.
낮은 근기를 가진 사람은 道에 대해서 들으면
크게 비웃어 버리는데,
그런 사람들이 비웃지 않는다면
참된 道라고 인정하기에는 부족한 듯 하오이다.
그러므로 아래와 같은 격언들이 있소.
밝은 道는 마치 어두워 보이는 것 같고,
도를 향해서 앞으로 나아가고 있는 것은 마치 뒤로 물러서는 것 같으며,
평평하고 일정한 道는 마치 울퉁불퉁한 흠집이 있는 것 같소.
덕이 아주 높으면 마치 깊은 골짜기처럼 낮아 보이는 것 같고,
지극히 순수한 마음은 마치 오염되어 불순해 보이는 듯 하며.
광대하게 넓은 德은 마치 모자른 듯이 보이는 것 같고 .
덕을 당당하게 내세우면 마치 교활한 듯이 보이는 것 같소이다.
참된 바탕은 마치 움직이는 듯이 보이는 것 같고,
네모가 아주 크면 마치 모서리가 없는 것처럼 보이며,
거대한 그릇은 가득 채워지는 것이 끝날 것 같지 않고,
소리가 너무 크면 들리지 않는 것 같소.
하늘의 생김새는 아무런 모양도 없으며.
무한하게 펼쳐진 道에는 붙힐 이름조차 없소이다.
그러므로
오직 道는 내면과 하나됨으로 바르게 시작하는 것이며,
또한 내면과 하나 됨을 바르게 이루는 것이외다.
- 참고자료 2 :(출처:http://blog.xuite.net/chun.hung693/twblog/155961214)
上士聞道,勤而行之;
有智慧的人聽到道就覺悟了,故能勤奮力行。
지혜있는 사람이 도를 듣게 된다면 바로 깨우치게 된다, 고로 능히 열심히 이를 행한다.
中士聞道,若存若亡;
一般人聽到道,覺得好像有些道理可是又沒有覺悟,所以不會身體力行。
일반인이 도를 듣게 되면 마치 이런 도리가 있는지 없는지 잘 몰라, 따라서 몸으로 열심히 행하지 않게 된다.
下士聞道,大笑之。不笑,不足以爲道。
等而下之的聽了道,完全無法體會高深的道,覺得所聽到的只不過是笑話。
수준이하의 사람이 도를 듣게 되면, 완전 높고 심오한 도를 체득하지 못하고 자신이 들은 바를 단지 우스개소리 정도로 느낀다.
故建言有之﹕明道若昧,
由於道是無法用感官的經驗傳達,所以要向尚未悟道的人傳道並不容易,有的甚至適得其反。所以有名言說:要把道闡明,卻反而使人更不懂了。
도는 감각기관을 사용하여 전달할 방법이 없기에, 따라서 아직 도를 깨닫지 못한 사람들을 위해 도를 전달하는 일은 쉽지 않은 일이고, 어떤 것은 심지어 그 반대의 결과가 된다. 따라서 명언은 이리 말한다 : 만약 도를 명확히 밝히려 한다면, 오히려 반대로 사람으로 하여금 더 모르게 해야 한다.
進道若退,
要向道精進,做的卻是在倒退遠離。
만약 도를 향해 정진한다면 하는 것이 오히려 뒤로 물러나 멀어지는 것이다.
夷道若纇,
要把悟道的路弄平坦,做的卻是把石塊給堆在路上造成阻礙。
만약 도를 깨닫는 길이 평탄하다 한다면, 하는 것은 오히려 돌을 길위에 있는 (돌)더미에 더하여 장애물을 만드는 거 같다.
上德若谷,
要崇尚道德卻又把它貶到谷底。
도덕을 숭상하려 한다면 오히려 그것을 계곡의 바닥으로 내려 놓는 것 같다.
大白若辱,
說誠實言,好像在羞辱人家。
성실한 말을 하는 것은 사람들에게서 치욕을 받는 것 같다.
廣德若不足,
想把德做得更廣卻反而讓人感到德變少了。
덕을 훨씬 더 넓게 하려 하는 것은 오히려 반대로 사람을 덕이 더 적어지게 느끼게끔 한다.
建德若偷,
要行德的人竟好像小偷一樣讓人厭惡(要人戒煙,好像要他的命似的)。
덕을 행하려는 사람은 의외로 도둑과 마찬가지로 사람들이 몹시 싫어하게 된다.(사람으로 하여금 담배를 끊게 하려면, 마치 다른 사람의 명령인거처럼)
質真若渝,
品質太完美竟像是變造過的贗品。
품질이 극도로 완전하고 아름다운 상은 변조된 가짜품 같다.
大方無隅,
方形太大會找不到角,以為不是方形。
사각형이 매우 크다면 그 모서리를 찾을 수 없게 된다, 그래서 방형이 아니라 여기게 된다.
大器晚成,
大的器具總要得多花些時間才能完成工作。
큰 기구는 수많은 시간이 걸려서야 비로소 만들어 낼 수 있다
大音希聲,
大的聲音震耳欲聾就聽不到了。
큰 소리는 귀를 울려 귀머거리로 만들어 버리니 곧 들을 수 없게 된다.
大象無形。
物像太大就看不出形象(不識廬山真面目,只緣身在此山中)。
매우 큰 물체는 즉 그 형태를 보아 알 수 없다(여산의 진면목을 볼 수 없는 것은 몸이 이때 산중에 있기 때문이다)
道隱無名,夫唯道,善貸且成。
道無所不在卻無法藉感官來察覺描述,道就是那麼善於借給萬物使用而成就萬事萬物。
도는 없는 곳이 없고 오히려 아주 많은 감각기관으로 관찰하여 묘사할 방법이 없으며, 도는 즉 저렇게 만물에게 잘 사용되도록 하여 만사 만물을 성취하게 해 준다.
- 준이해석 : 상급선비上士는 도를 들으면, 부지런히 그것을 행하려 하고, 중급선비는 도를 들으면 있는지 없는지 잘 몰라 하고, 하급선비는 도를 들으면 그것을 웃어넘기고, 웃지 않더라도 도를 행하기에 부족하다. 고로 말을 (굳이) 세워 그것을 표현한다면, 밝은 도는 어두운 듯 하고, 도를 나아감은 뒤로 가는 듯하고, 평평한 도는 울퉁 불퉁해 보이고, 높은 덕은 계곡과 같이 낮아 보이고, 완전히 흰 것은 더러워 보이고, 넓은 덕은 부족한 듯 보인다. 덕을 세우는 것은 도둑질처럼 보이고, 진실함은 변하는 것처럼 보이고 그 크나큼은 모서리가 없으면, 큰 그릇은 만듦에 오래 걸리며, 큰 소리는 들리지 않은 소리이고, 큰 형상은 형태가 없으면, 도는 이름없이 숨어 있다. 대저 오로지 도만이 선뜻 빌려주어 그것을 이루게 한다.
- 준이생각 : 이번 장도 도의 실체에 대한 이야기다. 도를 들려주더라도, 상,중,하사로 나누어 그 받아 들임을 설명하는데, 들어서 바로 깨닫고 이를 힘쓰 하는 사람, 긴가 민가 망설이는 자, 웃어넘기거가 웃지 않아도 가진 그릇이 작아 이를 행할 수도 없는 사람으로 세부류로 나누는데...(나는 어디지 ???)처음 들으면 바로 그려지고 이해 안되니 상사는 안될거 같고, 있는것도 같고 그게 먼지는 명확히 안그려지니 아마도 중사정도에 해당 되는 듯하다. 그나마 공부해도 안되는 작은 그릇은 아닐거라고 스스로에게 타일러야 겠다. 그리고 도에 대해 이런 것이라고 설명을 한다. 도를 행함에 어두운 듯 하고, 후퇴하는 거 같고, 울퉁불퉁한 거 같고, 깊은 골짜기 바닥 같고, 더러운 거 같고, 부족한 듯 보이는 것. 그리고 도둑질 같이 욕을 듣고, 오리지날이기 보다는 먼가 만져서 변한 거 같고, 하지만 커서 그 모서리가 보이지 않고, 천천히 완성되고, 오히려 들리지 않고, 형상이 없으며, 이름조차 없이 숨어 있으면서, 오히려 오직 도만이 능히 자신을 빌려주어 세상 만사를 이루어지게 한다고 하였다. 어쩌면 이번 장만 완벽하게 글이 머릿속에 살아 들어와 꿈틀 거려도 도 트는 것이 아닐까 싶다만...오늘도 중사中士는 한발 한발 전진...
'매일조금씩배워보자 > 道德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道德經 - 43 [天下之至柔] (0) | 2016.02.02 |
---|---|
道德經 - 42 [道生一] (0) | 2016.02.01 |
道德經 - 40 [.反者, 道之動] (0) | 2016.01.28 |
道德經 - 39 [昔之得一者] (0) | 2016.01.27 |
道德經 - 38 [上德不德, 是以有德] (2) | 2016.01.26 |